프로젝트 제목처럼 매달리는 두개의 공간을 통해 이번 하우스는 정의, 구성된다. 건축주 요청에 따라 두명의 자녀(이제는 성인으로 성장한)를 위한 체육시설과 거주공간이 2개층에 걸쳐 공존하도록 리노베이션 된다. 리노베이션의 기본 원칙은 각 거주자의 독립적인 개인공간 확보와 실용적인 기능을 공유하는 생활공간 생성을 목적으로 한다. 보이드 스페이스 및 전체 하우스를 특징짓는 두개의 박스볼륨은 별도의 마감이 없는 플라이우드 판넬로 구성, 각각 침실과 욕실이 배치된다. 3개의 간극; 틈을 생성한다. 그중 2개층 높이의 중심 생활공간은 체조링 한쌍이 설치된 체육공간으로 제공된다. 보이드 스페이스(생활공간)를 지원하는 블랙블록은 길이방향으로 공간을 연계하는 계단실, 샤워실, 주방 일부분이 배치된다.reviewed by..
브룩클린 홈은 일반주거환경에서 확장된 오픈스페이스와 심미적 공간구현을 목표로 재구성된다. 아티스트, 제니퍼 발렛(Jennifer Bartlett,)를 위한 19세기 조적식 하우스는 기존공간을 유지한 거주공간과 그녀의 작업 및 협업공간 그리고 아이들을 위한 복합공간으로 재구성된다. 섬세한 그녀의 일련 작업들은 (대조되는)심플한 갤러리에 배치 되며, 그녀의 생활과 창조적인 작품세계는 작업장(스튜디오)와 거주공간, 유사한 인테리어 환경을 통해 연속된다.reviewed by SJ,오사 A Brooklyn home eschews conventional domesticity in favor of dramatic, open spaces and a stripped-down aesthetic.When the artist..
캐나다 사진작가, Christopher의 사진작업 속에 담겨진 몬트리얼 지하철역사는 빛과 그림자 그리고 이것에 바탕이 되는 콘크리트에 대한 이야기로 삶의 단편 속에 고스란히 담아 낸다. 다양한 건축양식의 축소판으로 시작된 68개의 역사프로젝트는 60년대부터 지금까지 이른다. 더 자세한 내용은 작가의 인스타그램의 해시 태크, #mtlmetroprojec 를 참조하기 바란다. Canadian photographer Christopher Forsyth has spent the last seven months shooting the subterranean stations that make up Montreal's four-line metro system. The Montreal Metro is Canada's ..
내외부의 경계는 없다. 쿠마겐고 최신작, 일본 아오모리현에 위치한 우든 커뮤니티 센터의 인상적인 내부공간은 아이들의 활동적인 놀이공간으로 제공되는 동시에 이웃한 도시와의 연속적인 도시풍경을 나타내는 건축디자인으로 적용된다. 여기에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함축, 재구성한 박공지붕의 들쑥날쑥한 (지붕형태는 그대로 내부 천장에 반영된다.) 형상이 공간에 흥미로움을 배가시킨다. 외부 그리고 내부로 천장재로 사용된 웨인스콧 판넬은 이러한 건축환경(내외부 경계가 모호해진, 오히려 내외부가 밀착된 건축환경)을 보장하며 아이들의 놀이공간을 연결하는 센트럴 포이어(중앙 전실)의 인테리어를 정의한다.reviewed by SJ,오사 in the japanese city of aomori, architect kengo kuma ..
니가타현 카미토코로 시나로 강가에 위치한 새로운 웨딩채플은 결혼의 신성함을 투영한 건축환경을 지향한다. 이러한 지향점은 단일한 재료(석재 슬래이트)를 이용한 외벽 및 박공지붕의 건축외형과 무결점, 화이트 앤 클린 스페이스로 디자인된 내부공간으로, 내외부 상반된 장면을 연출한다. 웨딩 채플의 분명한 지점은 이 공간이 바로 경계에 서 있다는 것이다. 다양한 세속적인 삶의 단편들을 이야기하는 외부마감들 그리고 이 마감들이 모여 하나의(모놀리틱 볼륨) 덩어리를 이루는 건축환경을 통해 우리삶을 표현한다. 그리고 다시 세속적인 이전 삶과 새로운 삶을 구분하는 결혼을 위해 순수한 공간을 생성한다. (예로 부터 백색은 종교적으로 중요한 컬러로 사용된다. 순수함, 정갈함과 같은 (악으로 양분되는) 선을 상징한다. 여기에..
분주한 런더너(런던 거주민)의 맞춤형 휘트니스를 제공하는 럭셔리 부띠크 짐, 1Rebel는 라이브 음악과 함께하는 고강도 휘트니스 세션(우리나라에서 스피닝으로 불리우는 프로그램)과 맞춤형 개인 휘트니스, 헬스푸드 및 럭셔리 소품을 판매하는 리테일로 구성된다. 노출콘크리트 월과 노출된 덕트 및 파이프라인, 스프레인 스텐실로 디자인된 사인 등 다양한 인더스트리얼 요소들은 빈티지 가구, 재활용 조명기구, 맞춤형 디자인요소들과 조합되며 이곳만의 인더스트리얼 럭셔리 인테리어를 완성한다. 고강도 휘트니스를 제공하는 'RIDE'스튜디오 내부는 3열 횡대의 자전거가 강사를 중심으로 배치, 신나는 음악과 함께 에너지를 발산한다. -출입구에는 예전 시네마 사인과 유사한 거대한 사인이 감성을 자극한다.- 지하에 위치한 'R..
성공적인 2020 도쿄올림픽을 위해 새롭게 추가된 나리타 국제공항에 새로운 여객터미널의 지향점은 분명하다. 목적동선의 명확한 위계구분과 정확한 사인체계 구축을 포함하는 통합 디자인을 완성, 터미널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흡사 육상 경기장 트랙을 연상시키는 러닝 트랙 인테리어는 동선을 구분하는 컬러라인과 목적을 정확히 전달하는 픽토그램으로 정확한 정보전달 및 정확한 동선유도를(여행객들의 원활한 목적동선 제공) 제공한다. 이는 한정적인 예산 내에 즐거운 아이텐티를 확보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제안된다.reviewed by SJ, 오사 completed well in advance of the 2020 olympics in tokyo, narita international airport’s new termin..
19세기 건립된 내셔널 스트라스부르 대학 도서관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총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1950년대를 첫번째로 2006년과 2014년 단계별로 진행된다.- 오리지널 센트럴 디자인은 수복되고 불필요한 오너먼트 및 장식은 배제되는 사이, 내외부를 밀접하게 연결하는 관계는 새롭게 정립된다. 이는 오리지널 파사드 캐릭터로 부터 차용된 클래식 요소의 (내부에 적용된) 재해석과 기존 구조물과 명확히 구분되는 현대적인 건축어휘의 적용을 통해 발현된다. 이중 천창으로 부터 떨어지는 빛의 항연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중앙계단의 구조미와 상징성은 프로젝트의 지향점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또한 프로그램의 실질적인 수직동선 역활과 유입된 자연채광을 내부 깊숙히 유도하는 매개공간으로 활용된다. 새롭게 정..
끽연가의 설자리. 도쿄 외곽지역, 쇼핑센터 내 자리한 흡연실은 흡연자의 권익보장?을 위한 쾌적한 끽연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설치된 곡선 우드 스크린은 흡연의 원활한 배기를 도와주는 유도장치인 동시에 인테리어 디자인의 주요한 요소로 접목된다. 효율적인 배기는 두가지로 함축된다.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우드 스크린의 유선형태와 스크린 후면 이격된 공간에 설치된 배기팬을 통해 각각의 배기를 분담한다.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는 곡선을 따라 공기의 흐름을 타고 상부 배기 팬으로 담배연기는 데스크 후면을 따라 집적 배기된다.) 담배는 백해무익하다. 하지만 그 무익함이 아직은 좋다. 맛없는 담배가 맛있지는 않다. 하지만 그 맛없이 아직은 좋다.하지만 허락된 시간이오면 그와도 이별할 것이다. 그래서 ..
자연으로 부터 찾아 오다. 히로미사에 위치한 채플의 아름다운 설치물은 나무를 모티브로한 기모노 패턴을 차용한다. 이 거대한 우드판넬은 조상 뿌리에 대한 존중과 다음세대의 번영을 표현하는 '플라워 파워'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자인의 바탕에는 (기모노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하여 얻어진) 일본전통 기모노 패턴이 자리하며 다양한 꽃과 식물의 재현을 충실히 수행한다. 실질적인 구현에는 총 100개의 우드판넬이 사용된다. 각 유닛은 3feet by 6feet 크기로 모듈화한 하프-인치 두께의 일본 사이프러스 우드 판넬을 사용하며 수작업으로 커팅된 패턴이 새겨진다. 이러한 복잡한 패턴(곡선)이 생성하는 공간감은 일본에서도 전례가 없는 스케일의 우드 돔 채플을 완성하며 조명(빛)과 어우러져 무성한 숲(자연)의 이미지를..
이번 프로젝트는 이전 인더스트리얼 웨어하우스(산업용 창고) 리뉴얼과정(섬세한 건축 삽입)을 통해 시드니 서측에 위치한 새로운 칠드런케어센터(어린이 보육원) 건립을 목표로 한다. 외부와 내부의 확장된 놀이공간 확보는 물론, 풍부한 자연채광과 자연환기 그리고 친환경 소재를 통해 내부공간은 완성된다. 여기에 지역색체를 연장한 컬러 및 그래픽 디자인은 인근 주거단지 및 집과 유사한 포근한 공간감을 제공, 친근한 교육및 놀이공간을 완성한다. 크게 잘려진 기존 창고지붕은 반외부 놀이공간과 오픈공간을 생성한다. 이와 함께 남겨진 지붕은 새로운 건축적 요소와 결합, 적절한 쉐이딩과 쉘터로 어린이들에게 제공된다. 가급적 기존 공간(웨어하우스)의 요소들은 유지한다. 이는 대지에 담겨진, 장소에 새겨진 시간의 흔적들을 연장..
ulus savoy는 ulus지역에 위치한 이스탄불 공동주거 프로젝트로 25개동, 301세대 아파트먼트로 구성된다. 이중 클럽하우스를 포함하는 커뮤니티(지역건축가, autoban가 디자인)는 지역 문화활동을 위한 노드스페이스로, 현대적인 모던한 인테리어 디자인이 제안된다. 건축가의 디자인 방향은 주변 지형과 연속되는 오가닉한 형상구현(서로 다른 높낮이를 가진)을 통한 고유한 캐릭터 창출과 효율적인 공간확보(오픈플랜)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건축환경 구현은 삼각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구조체 디자인과 공간을 구획하는 벽과 바닥 (수평과 수직적 요소)의 실질적인 통합 구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러는 동안 설비기능은 건축 속에 숨겨진다.)ulus savoy의 중심부, 클럽하우스는 2개층 높이의 글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