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평으로 연속으로 흘러가는 공간을 나누어야 한다. 분명한 이유가 있다. 수직으로 공간을 안내하기 위한 장치이던가, 높이와 위상차를 통해 공간에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테라스 하우스 [ Okuno Architectural Planning ] Nikotama Terrace Cooperative House
빌라오슬로 [ Paulsen & Nilsen ] Villa, Oslo
간선도로에 인접한 주택-[ FujiwaraMuro Architects ] House in Tokushima
반응형
비대칭 하우스 [ eureka + maru ] asymmetrical building complex
일본 Aichi의 최소형 협소주택-[ Airhouse ] House in Iwakura
그리드형
'REF.' 카테고리의 다른 글
5osa_weekly_추천 컨텐츠 5 : skip floor : 스킵플로어 (0) | 2022.06.20 |
---|---|
5osa_weekly_추천 컨텐츠 5 : shape design : 외관디자인 (0) | 2022.06.13 |
5osa_weekly_추천 컨텐츠 5 : Stair : 계단 (0) | 2022.05.29 |
5osa_weekly_추천 컨텐츠 5 : Room : 룸 (0) | 2022.05.23 |
5osa_weekly_추천 컨텐츠 5 : retail : 상업공간 (0) | 2022.05.15 |
5osa_weekly_추천 컨텐츠 5 : renovation : 리노베이션 (0) | 202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