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은 사람들이 만나는 장소를 만드는 것이다. 그것이 건축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알바 알토(Alvar Aalto)
![]() |
![]() |
![]() |
투명한 행복: 헬싱키를 물들인 나이지리아 작가의 꿈 transparent happiness: yinka ilori transforms iconic mounds of helsinki's amos rex
도심 한복판에 펼쳐진 거대한 캔버스
2025년 6월 20일, 핀란드 헬싱키의 심장부가 하루아침에 변했다. 라시팔라치 광장에 자리한 Amos Rex 박물관의 지붕 위로 오렌지, 핑크, 노란색이 물감처럼 번져나갔다. 영국 출신 나이지리아계 작가 Yinka Ilori의 손끝에서 탄생한 '투명한 행복(Transparent Happiness)'은 단순한 예술 작품을 넘어 도시 전체의 표정을 바꾸어 놓았다.
헬싱키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이곳에 갑자기 나타난 이 화려한 풍경은 지나가던 시민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만들었다. 박물관의 상징적인 돔형 구조물들이 거대한 놀이터가 되어, 딱딱했던 도시 공간이 모든 연령대가 함께 뛰놀 수 있는 소통의 무대로 탈바꿈한 것이다.
런던 놀이터에서 헬싱키까지
Ilori가 이번 프로젝트에 담은 것은 개인적인 기억들이다. 나이지리아 전통 문화의 생동감 넘치는 색채와 런던에서 보낸 어린 시절 놀이터의 추억이 북유럽의 차가운 공기 속에서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
"함께 만들어가는 이야기"라는 작가의 표현처럼, 이 공간은 단순히 보는 예술이 아니다. 사람들이 직접 뛰어들어 자신만의 이야기를 써나가는 살아있는 캔버스다. 농구코트에서는 친구들과 함께 공을 주고받고, 스케이트보드 트레일에서는 바퀴 소리와 함께 젊은이들의 웃음이 터져나온다. 탁구대 주변에서는 가족들이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놀이기구 사이로는 아이들의 재잘거림이 끊이지 않는다.
모더니즘과 아프리카 전통의 만남
흥미롭게도 Amos Rex 박물관의 세련된 모더니즘 건축과 Ilori의 대담한 색채 실험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 오히려 박물관의 깔끔한 기하학적 형태 위로 물감이 번진 듯한 유기적 패턴이 흘러가면서, 건축물 자체가 거대한 예술 작품으로 거듭났다.
기존의 돔 구조물들은 각각 다른 성격을 부여받았다. 어떤 돔은 아이들이 올라가 놀 수 있는 작은 언덕이 되었고, 다른 돔은 푸른 원형 연못을 품에 안은 채 사색의 공간이 되었다. 하얀 자갈로 뒤덮인 표면 위로 황금빛 패턴이 흩뿌려져, 마치 햇살이 물 위에서 춤추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소재의 대비다. 차가운 콘크리트와 따뜻한 색채, 딱딱한 기하학적 형태와 부드러운 곡선이 만나면서 전혀 예상치 못한 조화를 이루어낸다. 마치 우리나라의 동대문디자인플라자가 보여주는 곡선의 아름다움처럼, 이곳 역시 전통적인 건축 언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성공 사례로 읽힌다.
"어떤 정체성이 환영받는가?"
박물관 관장 Kieran Long은 이번 설치를 통해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효율적이고 잘 정비된 북유럽의 공공영역에서 과연 어떤 정체성들이 환영받고 있는가?"
이 질문은 단순히 예술계의 화두를 넘어 우리 사회 전반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Ilori의 작품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변이다. 나이지리아의 전통 문양과 현대적 디자인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이 공간에서는 국적과 나이, 문화적 배경을 불문하고 누구나 자신만의 방식으로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공공예술 프로젝트들이 추구하는 방향과도 맞닿아 있다. 서울시가 추진하는 도시재생 사업이나 부산의 감천문화마을 같은 사례들처럼, 예술이 지역 공동체와 만날 때 어떤 변화가 가능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일상 속으로 스며든 예술
오후 늦은 시간, 직장에서 돌아오는 사람들이 하나둘 이곳을 지나친다. 어떤 이는 잠시 멈춰 서서 농구코트에서 뛰노는 아이들을 바라보고, 또 어떤 이는 돔 위에 올라가 헬싱키 시내를 내려다본다.
주말이면 가족 단위 방문객들로 북적인다. 부모들은 탁구채를 들고 아이들과 게임을 즐기고, 십대들은 스케이트보드를 타며 자신만의 기술을 연습한다. 연인들은 색색의 바닥에 앉아 도시락을 펼치고, 어르신들은 벤치에서 손자들이 뛰노는 모습을 흐뭇하게 바라본다.
이 모든 순간들이 쌓여가면서, '투명한 행복'은 단순한 예술 작품을 넘어 헬싱키 사람들의 일상 속 소중한 기억의 무대가 되어간다. 작가가 의도했던 "투명한" 행복이라는 말의 의미가 여기서 드러난다. 이곳에서의 기쁨은 누구에게나 열려있고, 누구나 함께 나눌 수 있다.
북유럽 공공예술의 새로운 가능성
Ilori의 이번 작품은 작가에게는 북유럽 지역에서의 첫 공공영역 프로젝트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 연중 대부분이 추운 기후인 헬싱키에서, 이처럼 활기찬 색채와 역동적인 에너지를 담은 공간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무엇보다 이 프로젝트가 보여주는 것은 공공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이다. 기존의 조각상이나 설치물처럼 '보는' 예술에서 벗어나, 시민들이 직접 '사용하고 경험하는' 예술로의 전환을 제시한다. 이는 예술의 민주화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025년 10월 12일까지 계속될 이번 전시는 Amos Rex가 매년 선보이는 공공 커미션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박물관 측은 앞으로도 이런 방식으로 라시팔라치 광장을 예술과 시민들이 만나는 살아있는 무대로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색채가 전하는 보편적 언어
결국 Yinka Ilori가 헬싱키에 가져온 것은 색채라는 보편적 언어를 통한 소통의 가능성이다. 언어와 문화가 다르더라도, 밝고 따뜻한 색채 앞에서는 누구나 자연스럽게 미소를 짓게 된다.
도시의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이 작은 기적은, 결국 예술이 가진 가장 본질적인 힘을 증명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벽을 허물고, 일상에 스며든 소소한 즐거움을 통해 우리 모두를 하나로 연결하는 것.
'투명한 행복'이라는 제목 그대로, 이곳에서 벌어지는 모든 순간들은 순수하고 진실하다. 어른도 아이도, 현지인도 관광객도, 모두가 똑같이 즐거워할 수 있는 공간. 어쩌면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공공예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이 아닐까.
작품명:투명한 행복(Transparent Happiness)
작가:Yinka Ilori | @yinka_ilori
장소: Amos Rex | @amoskonst
위치:헬싱키, 핀란드
전시기간: 2025년 6월 20일 — 10월 12일
사진:© Mika Huisman / Amos Rex
출처: designboom
Write by Claude & Jean Browwn
a vibrant new roof for helsinki’s underground museum
Yinka Ilori: Transparent Happiness opens at Helsinki’s Amos Rex museum as a vibrant public art commission that invites the Finnish capital to reimagine its urban spaces. Unveiled on June 20th, 2025, the large scale work engages the museum’s signature mounds, transforming them into a space that is interactive and accessible. Through the project, Ilori reinterprets a popular urban site, bringing a sense of joy and communal spirit to Lasipalatsi Square, one of Helsinki’s most well-frequented spaces.
Transparent Happiness is the first in an annual series of public commissions hosted by Amos Rex, an institution known for activating its unique urban setting through art. Ilori’s work stands in contrast to the sleek, minimalist lines of the museum’s Modernist architecture, offering an environment designed for both reflection and play. The installation features a variety of functional spaces, including a playground, a pedestrian and skateboarding trail, a basketball court, and a ping pong table, all encouraging public interaction. Through this transformation, Ilori breathes new life into the urban square, making it a destination for people of all ages.
yinka ilori’s playful reinterpretation of amos rex
Inspired by the vibrant colors and cultural narratives of his Nigerian heritage, Yinka Ilori’s installation at Amos Rex brings to life his childhood memories of playgrounds in London. Transparent Happiness is a space not just for physical play but for collective storytelling. Visitors are invited to interact with the space, engaging in playful activities that spark memories and anecdotes, creating an atmosphere that feels both nostalgic and refreshing. The installation reflects the artist‘s belief that public art should be accessible, joyous, and capable of creating connections between individuals from diverse backgrounds.
The museum’s mission to activate Lasipalatsi Square with dynamic art and events aligns with Ilori’s vision of public space as a place for inclusion and community. As the artist’s first public realm project in northern Europe, the work raises questions about the identity and accessibility of public spaces.
installation art for the community
Yinka Ilori’s installation at Amos Rex is a celebration of art’s power to foster social connections. Visitors will find themselves immersed in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interaction, play, and the sharing of personal stories. As the installation remains on view through fall 2025, it brings an opportunity for the people of Helsinki to experience public art and contribute to the space through their presence and engagement.
‘Which identities are welcome in the efficient, well maintained Nordic public realm?‘ asks Museum Director Kieran Long, echoing the underlying themes of Ilori’s work. Through this joyful installation, Ilori opens a dialogue on the role of public spaces in fostering connection, community, and belonging.
name: Transparent Happiness
artist: Yinka Ilori | @yinka_ilori
museum: Amos Rex | @amoskonst
location: Helsinki, Finland
on view: June 20th — October 12th, 2025
photography: © Mika Huisman / Amos Rex
from designb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