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하우스를 모티브로 디자인한 공동주거 [ Joliark ] Tappen

반응형

어릴적 꿈꿔왔던 인형하우스(건축가가 어렸을때부터 꿈꿔왔던)가 스톡홀롬 외곽에 위치한 공업지대에 44세대를(2개의 동으로 구성) 위한 공동주거 프로젝트로 탄생한다. 재료 물성에 대한 순수함 그리고 단순함을 투영하는 건축환경을 디자인 원칙으로 우드, 콘크리트, 스틸와 같은 재료는 왜곡되지 않고 비틀어 지지 않으며, 있는 그대로 사용된다. 이는 공동주거의 외형을 정의하는 수단으로 몇장의 시퀀스 속에서 적나라하게 표현된다.

먼저 남측 공용정원과 마주한 내측은 중심부에 자리한 계단타워를 기점으로 2동의 건물이 배치된다. 그리고계단을 통해 내측에 자리한 외부복도로 각 세대는 연결된다. 여기에 건축물의 외형적 특징을 보여주는 아연 스틸판넬이 매끈한 디테일로 마감, 서측입면에 디자인된 이층 층고 높이의 발코니 입면과 함께 인형하우스와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 특히 서측입면은 건축가의 건축적 성향을 보여주는 디자인으로 건축의 직관적인 형태론과 각 단위세대의 효용성 있는 발코니를 제공하는 기능역활을 수행한다.

총 44세대의 단위세대는 높은 층고의 메자닛 세대 23개와 그보다 짧은 메자닛 세대 1개 그리고 단층으로 콜라보레이션된 세대로 구성된다. 각 세대의 프라빗 스페이스는 퍼브릭 영역으로 부터 동떨어진 지점에 배치, 메자닛 세대에서는 상부층에, 단층 세대에서는 북측에 개인 침실을 배치시킨다.

파사드 판넬은 프레임웍으로 접합된다. 그리고 이는 콘크리트 월과 집적 연결되며 윈도우의 일정한 간격 배치와 함께 전체 건축물의 조화를 이루는 리듬을 발생한다. 여기에 공용공간의 주요한 테마인, 개방감이 내외부를 하나로 연결하는 매개체로 작용, 각 세대 발코니를 구획하는 세대간벽과 발코니 슬래브로 격자형태의 입면을 구현한다.

아늑한 메탈 외피의 미끈한 캐릭터는 금속 외장재 구현 및 디자인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으로 루프 거터와 드레인파이프 또한 디테일한 디자인을 통해 삽입된다.

reviewed by SJ,오사



Having nourished an unfulfilled dream of his own doll’s house since boyhood, Per Johanson of Joliark has finally seen it take real shape in this metallic apartment complex on a former industrial site outside Stockholm.




Architects: Joliark
Location: Mariehäll, Bromma, ,
Architect In Charge: Per Johanson
Design Team: Stina Johansson, Amanda Hedman
Area: 5750.0 sqm
Year: 2015
Photographs: Joliark/Torjus Dahl, Courtesy of Joliark

The project comprises 44 dwellings organised within two volumes. A driving force in the design process has been the preservation of a pure and simple material expression. Rigorously composed meetings between wood, concrete and steel ensure the maintenance of a sense of whole.

The façade wraps around the structure like a protective cloak of galvanised steel sheet, an image emphasised by flush precision detailing. The thematic solidity of the project is juxtaposed by its western elevation where double height balcony compartments create the explicit doll’s house aesthetic. As a metaphor the doll’s house also relates particularly well to the legibility of the buildings, the internal arrangement manifesting itself clearly to the passer-by as the balconies define the scope of each dwelling.

The units are modularly assembled into a taller volume stacking 23 maisonettes and a shorter one where maisonettes and single storey apartments collaborate. A south facing communal garden separates the two metal clad buildings that are connected by a glazed circulation tower distributing access to the apartments by a system of balconies. Strategically positioned between the garden and the kitchen these access terraces become a natural place for social interaction.

The private zones of the apartments are set apart from the more public areas by straightforward means, collecting the bedrooms upstairs in the maisonettes or facing north in the single storey dwellings. Internal wall openings illuminate central spaces to generate a greater volumetric transparency without compromising the sense of privacy.

Openness is a common theme throughout,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cast fin walls framing the balcony compartments continue internally as an exposed concrete wall. Natural stone slabs in the window ledges spill down on the floor where the heating is distributed via a stone frieze sitting flush with the timber boards. The wood in turn transcends the domestic realm to form a warm backdrop within the balconies.

The seamless character of the snug metal envelope holding the project elements together has been achieved through meticulous technical solutions. Roof gutter and drainpipes have been carefully integrated into the surface, the galvanised fabric folds sharply over corners, tucks away window frames and pleats into a weather bar. Perforated sheet make up the metal balustrades and coats the freestanding escape towers to further the smooth material impression. The façade panels are welded to a framework that connects directly to the concrete wall, their rhythm harmonizing with the spacing of windows and is reflected in the glass pane arrangement of the main circulation tower.





















from  archdaily


그리드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