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건축가 타쿠 사카우쉬가 디자인한 카구라자카 하우스는 도쿄에 위치한 미니멀 하우스 입니다. 법규에 정해진 가이드라인을 따라 반지하층을 포함한 3층 규모로 완성되었습니다. 각 층 면적은 30m2 입니다. 작은 공간구성을 위해 건축가는 연속적인 공간을 설계했습니다. 이를 위해 수직 및 수평동선은 정주공간과 휴식공간은 막힘없이 연결합니다. Kagurazaka House is a minimalist residence located in Tokyo, Japan, designed by Taku Sakaushi. Considering the legal restraints of the site, the composition of the building that can be built here is a house w..
콘크리트 와플구조가 인상적인 레스토랑은 지역커뮤니티 시리즈 중 하나로 제안됩니다. 바닷가를 따라 연속된 건축과 문화 그리고 자연환경의 조화를 형성합니다. 바닷가 전망을 최대한 확보하는 여타 건물; 도서관과 다르게 내부공간에 집중, 바닷가 전망을 벽에 걸린 거대한 차경으로만 사용합니다. 외부에 위치한 여러개의 중정과 세미-아웃도어 장치들은 빛과 환기; 자연요소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활을 수행합니다. situated in china‘s beidaihe new district, vector architects has designed ‘restaurant y sea‘, marking the completion of a series of buildings in the seaside location at the a..
브루탈리즘 건축은 미니멀 디자인을 바탕으로 최소한의 어휘로 인상적인 오브제를 형상화 합니다. 특히 콘크리트의 물성은 이러한 구현; 형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냄으로써 효과적인 장면을 연출합니다. 스톡홀롬에 위치한 슈즈 스토어의 공간구성은 간결하면서도 담백한 콘크리트를 바탕으로 완성됩니다. 가운데 위치한 거대한 계단공간은 신발을 진열하는 공간과 상층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동선역활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중요한 오브제 역활도 함께 수행합니다. The monolithic concrete forms associated with brutalist architecture inspired the interiors of Axel Arigato's Copenhagen flagship store, which..
외부자연환경은 집안 내부로 관통하여 주택 내부에 위치한 중정에 머무르게 됩니다. 열림과 닫힘은 주거내부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건축적 어휘로 4개의 볼륨으로 이루어진 각 실의 거주환경을 보장합니다. 여유롭게 풍경을 즐길 수 있는 방법과 쾌적한 거주환경을 만드는 방법이 공존합니다. archstudio’s courtyard villa is situated on a flat site in the suburbs of hebei, china. surrounded by an orchard, farmland and rivers, the site boasts beautiful landscapes, the perfect backdrop for the project. there was originally a wooden ho..
전통 차를 판매하는 상점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브랜드가 갖고 있는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합니다. 트랜디한 현대적인 감각이 아닌 그 본질에 집중합니다. 유리가 갖고 있는 투명성과 유동성은 물을 형상화하는 어휘로 사용되어, 거친 자연석이 갖고 있는 정적인 이미지와 대비를 이루는 공간감에 만들어 냅니다. 은유적으로 비유하는 돌과 물; 자연을 재해석한 공간을 표현합니다. Commissioned by HEYTEA to design a store situated at The MixC Mall, Nanning, China, we tried to figure out a new design concept and approach by taking cues from the origin of tea culture..
자투리 공간, 다락방 리노베이션. Con Form Architects has converted a small London loft into a bright home office by inserting a glazed section with a large steel dormer window. Called Dormore – a portmanteaux of "dormer" and "more" – the loft conversion has turned a difficult, low-ceilinged space into a bright workspace for the client, who has started to work from home.Con Form Archictects made a simple yet d..
풍경과 연결되는 집. 메자닛층으로 구성된 내부는 2개층 높이의 거실을 중심으로 마스터침실과 또다른 침실이 상층부에 위치하며, 그 아래 주방이 자리합니다. 열린 창문계획과 더불어 내외부의 접점을 높이는 외부공간 계획은 오픈데크로 확장 가능한 주방영역에서 살펴 볼 수 있습니다.경제적이면서, 사용연한이 좋은 건축자재 사용을 위해, 코르텐스틸강(내후성강판)을 외장재에 사용하였으면, 부드러운 실내공간을 연출하는 목재가 내장재에 사용되었습니다. The clients are a couple of environmental scientists who, along with their two sons, relocated from the Oakland Hills to the warmer climate of Orinda. Th..
과거의 시간은 현재의 공간에도 유효하게 적용됩니다. 빈티지 또는 인더스트리얼한 분위기로 재해석한 디자인 요소가 적용됩니다. 내외장재를 마감하는 재료는 그대로(실사용이 가능하게 다듬은) 사용하기도 하고, 기능과 공간적 특성에 알맞게 적용된 건축어휘와 맞물려 재구성되기도 합니다. 쉬운 작업처럼 보여도, 리모델링과 같이 이전 공간과 재료를 현재에도 유효하게 적용하는 것은 축척된 이야기를 이해하는 어려움과 보편적인 활용에 알맞게 적용 시켜야 하는 난제가 있습니다. The site, vacant for many years, was formerly an electrical transformer factory. The existing building had layers of character from its past..
일본 건축가, 다바쉬가 설계한 모모켄 파크는 미니멀한 공간감이 특징으로 일본 쿠마모토시에 위치합니다. 다양한 활동과 영역을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을 디자인 하였습니다. 이는 두가지 상충된 용도; 상업과 공용공간을 함께 만족시켜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기도 했습니다. 길쭉한 대지 형상을 따라 자리 잡은 건물은 자연채광과 환기를 확보하기 위한 최적의 배치를 완성합니다. 위아래, 카페공간과 단으로 이루어진 지붕 데크는 역동감 있는 공간감을 제공합니다. Omoken Park is a minimalist space located in Kumamoto City, Japan, designed by Tabashi Architects. The architects wanted to create a multi-..
상점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두가지 장면이 있습니다. 적절히 차폐된 중정과 목재루버로 길다란 회랑같은 분위기를 만드는 진입복도가 있습니다. 노출 콘크리트를 바탕으로 따뜻한 감성의 목재가 만나 차분하면서도 온화한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EMME prides itself on its collection of cashmere, silk and other exquisite textiles. It has chosen its first location at the Columbia Circle, a recently rehabilitated hub that is bustling with commercial and cultural activities. Among its neighbouring prominent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