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ardware and machine learning startup based out of austin, texas has developed AirType, a keyboard-less keyboard that allows users to type on virtually any surface, or none at all. fitting in the palm of one’s hand, the ‘AirType’ self-learns finger movements and is accompanied by an app that brings dynamic text prediction and correction to each typing experience. the compact piece of technolog..
patricia urquiola has developed a family of outdoor furniture that expresses textural and visual contrasts. drawing formal influences from architectural facades, the spanish designer has employed a mix of industrial and natural materials, hard and soft, solid and perforated surfaces to realize the sofa and table pieces. produced by kettal, the basis of the ‘mesh’ collection is an expanded metal ..
the ‘trig’ lampshade has been produced by daniel hilldrup in collaboration with stratasys using their objet500 connex3 fused deposition modelling technology. influenced by the works of antonio gaudi, the work features polygonal shapes of the cyan, magenta, and yellow color palette (one of ten palettes available) and is seen as the perfect vehicle to exhibit the connex3’s multi-color and material..
이번 프로젝트는 이탈리아 남부 메초조르노 지역 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폐쇄된 공장부지에 지역문화를 통섭하는 컬쳐허브 구축에 의의가 있다. 장소에 대한 재구성은 지역문화 부흥을 위한 컬쳐센터로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을 위한 퍼블릭 오픈 스페이스로 제안된다. 이곳 산업단지의 관문 역활과 이 사업의 첫 단추 역활을 수행하는 오디토리움은 그 상징적인 의미를 건축 환경에 적나라하게 표현함으로써 장소에 대한 기억과 성격을 리셋 시킨다. 광활한 오픈 광장 위에 미래지향적인 배의 형상은 주야간 다른 시퀀스로 연출된다. -주위환경을 반사, 흡수하는 주간과 달리 야간시에는 어반 라이트 하우스로 극적인 공간감을 생성한다.- 내부 구성은 전시공간과 300석 규모의 오디토리움, 바, 리셉션 구역 등의 주요시설이 배치된 지상층과 창고..
코르바 대학내 '바이알-노트 빌딩'의 그 특유한 파사드는 환경과 건축, 내부 프로그램과 건축, 도시와 건축의 새로운 관계정립을 위해 시작된다. 이러한 관계성은 먼저 글래스와 콘크리트, 두가지 재료의 극적인 대비를 통한 패러독스 디자인을 형성하며 장중하지만 가벼워 보이는 북측 파사드의 독특한 시퀀스를 연출 시킨다. 자연채광의 적극적인 유입과 직사광의 유입을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더블스킨은 내외부의 관계에 따라 개구부의 사이즈와 위치를 조정, 배치하며 이격된 측면으로 다량의 공기를 순환 시킨다. 이를 통해 확보된 내부 거주환경은 가시적인 뷰 확보는 물론 효과적인 쉐이딩으로 내부 열손실과 열부하 방지를 확보하게 된다. -남측 파사드는 이와 달리 반투명한 알루미늄 패널로 디자인, 연속적인 어반 패브릭을 구현한다..
과거의 시간과 현재의 공간은 하나의 장소에서 공존하며 기존 시간이 투영된 흔적들을 따라 배치된 저층부와 새로운 어반스트럭쳐를 따라 배치된 상층부로 이번 스쿨 프로젝트는 진행된다. 역사적인 도시 이탈리아 제노아의 중심부 재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스쿨 프로젝트는 포르타 소프라나 와 성 도나토와 에르베광장이 위치한 구 수도원 위에 건립된다. 두개의 메스로 나누어진 저층부 2개층과 상층부 3개층은 약 500여명의 학생들을 위한 교실로 제공되며 아이들을 위한 식당 및 음악실 그리고 오디토리움과 도서관이 지역주민들과의 문화교류 증진을 위해 건립된다. 이전 18세기의 수도원은 이러한 공간들을 융화, 연결하며 새로운 복합시설로 재탄생, 커다란 시간의 축 위에 공간을 정렬 시킨다. 그리고 건축 외형적 특징을 잘..
중국 근현대사의 황금시대를 재조명하다. 모나코에 들어선 송퀴는 1930년대 중국상하이를 배경으로 엘레강스하며 아르데코 드라마가 펼쳐지는 레스토랑을 연출한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인테리어는 고적이며 모던한 레트로 디자인과 재료를 전체 공간에 투영,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동시에 현대적인 디테일의 마무리로 감각적인 소셜스페이스로 완성된다. reviewed by SJ,오사 Striking in its elegance and Art Deco drama, the restaurant everyone’s talking about at the moment is Song Qi in Monaco. The first gourmet Chinese restaurant in the principality, Micheli..
드라마틱한 시퀀스를 자아내는 로모큐브의 건축환경은 외부와 내부의 밀접한 관계가 생성하는 안락하며 쾌적한 거주공간을 거주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디자인된다. 혁신적 형태는 정교한 디테일의 만남으로 루가노 호수를 내려다 보는 경관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급스러운 주거의 오픈 플랜 구현을 도와준다. 무엇보다 확장된 내외부의 접점과 투명, 불투명의 반복적인 공간 구현은 이곳을 풍부한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매혹적인 공간미 창출을 통해 거대한 조각품으로 거주자에게 선물하게 된다. reviewed by SJ,오사 MPA Architetti have designed the Lomocubes building in Lugano, Switzerand. Lomocubes is a new innovative and sophisti..
트리하우스가 추구하는 지속성은 경제적인 효율적인 건축의 거주환경 개선과는 차별화된 자연 공간 형성과 소극적인? 건축의 개입을 통한 자연과의 동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0미터 높이에 매달린 타원포트 형태의 거주공간은 오크나무와 4개의 인공적인 스트럭쳐를 통해 지지되며 2개의 사다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접근루트는 3.8미터에 위치한 하부 테라스와 10.6미터에 위치한 상부 테라스를 구분 지어 연결하는 사다리로, 풍부한 자연환경과의 접점을 최대한 증폭시키는 아웃도어 스페이스; 테라스를 수직으로 연속, 배치한다. 타원형태 주거의 외형을 마감하는 우드와 징크 판넬은 부유하는 달걀형태를 주변 환경과 조화시키는 동시에 트리하우스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완성시킨다. -건축가의 연속적인 시리즈 중..
샬럿 시내 중심가에 위치한 뮤지엄은 도시 재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팅겔리, 니키 드 생 팔르, 피카소, 자코메티, 마티스, 미로, 드가, 워홀, 르꼬르뷔지에, 레제와 같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아티스트, 베체틀러의 주요 작품들을 전시한다. 그리 크지 않은 규모에 정형화된 디자인과 스케일에도 불구하고 뮤지엄의 외형은 단순한 건축적 어휘; 솔리드와 보이드를 통해 강력한 메타포를 던지며 도시공간 속에 거대한 이정표를 세운다. 이는 4층 뮤지엄의 저층부 (2~3층 정도의 높이)를 외부로 덜어 냄으로써 도시와의 접점공간; 퍼블릭 중정을 생성하며 인접한 플라자와 연계된다. 건축 속으로 삽입된 도시공간은 거대한 캔틸레버를 지지하는 기둥과 함께 뮤지엄의 캐릭터를 구축, 마리오보타가 즐겨 사용하는 테라코타 외장재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