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 가구는 한정적인 스페이스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거주자의 생활을 지원한다. israeli architects ranaan stern and shany tal have redesigned an artist’s central tel aviv apartment into a versatile 20sqm studio workspace. the adaptable interior contains a varied family and personal collection of 2D pieces dating from the 1940′s to today, which was specifically measured for storing. they were organized and ordered according to gro..
문화를 담는 그릇. 다인빌 도서관 증축프로젝트는 새로이 증축되는 두개의 박공지붕 형태의 볼륨을 통해 도시와의 호흡, 지역적 유산의 계승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를 꾀한다. 이전 농장의 타이폴로지를 재구성한 박공지붕형태는 현대적인 건축 디자인을 통한 장소적 의미의 재현, 도서관 내부환경의 효율성을 확보한다. 상반된 디자인 어휘는 상부에 설치된 수평 버티컬을 통한 풍부한 간접광 유입을 유도하는 볼륨과 도시와 도서관의 원활한 동선확보를 유도하는 전창으로 열린 주출입구 계획이 반영된 볼륨으로 완성된다. 이와같은 건축환경은 지역문화의 원활한 소통을 제공하는 장소로 농업문화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된다. reviewed by SJ french studio bplusb architectures has extended th..
오스트리아 린츠공항 메인 출입구 전면에 설치된 거대한 오브제는 물결치는 웨이브의 인상적인 시퀀스를 형성한다. 사실은 250대 분량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 시스템으로 모듈화된 30개의 깔대기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틸 스트럭쳐 위에 백색의 멤브레인으로 마감, 디자인된 모듈(11X18미터) 유닛은 개별적인 형태미는 물론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사용자 또는 사용처에 따라 모듈을 빠르게 가변적으로 확장, 축소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reviewed by SJ austrian studio HPSA has completed an undulating carpark roof using 30 separate funnel-shaped membranes. located in front..
공존하기 소통하기. 그리고 긍정적인 생활하기. 덴마크 알보그에 위치한 암상담센터는 덴마크에 거주하는 암환자들의 소셜활동과 건전한 생활을 보장하는 소통지향형 공간으로 제안된다. 전혀 소독냄새 나는 병원같지 않아 보이는 센터의 외형은 환자들에게 자연 속 집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 시킴으로써 경직된 그들의 삶을 풀어주는 여유와 평온한 안식, 휴식 그리고 그를 통한 치유의 과정을 막힘없이 보여준다. 소통지향형 건축은 인근에 위치한 주거단지를 투영한 건축양식으로 심플한 형태의 잔디가 식재된 경사지붕과 따뜻한 적벽돌마감되어 이와같은 분위기를 연출시킨다. 무엇보다 암센터가 지향하는 대화형상담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5개의 유닛은 막힘없이 리드믹컬하게 연계되며 환자들의 자발적인 소통을 불러 일으킨다. 그리하여 완성된 암..
상반된 두개의 시선이 공존한다. 감추기와 드러내기. 뉴욕시 외곽, 한적한 전원마을에 인상 깊은 시퀀스를 연출하는 하프든 하우스는 두명의 시인의 공생을 위한 주거시설로 1972년 건립된 주거를 리노베이션하여 1층에는 차고와 복도를 2층에는 서재와 작업실 그리고 3층에는 그들에게 영감을 불어 넣는 독서실로 구성된다. 특히 마을을 향해 열린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와 그것을 동질화 시키는 백색 실리콘계열의 패브릭은 주거의 전면부를 디자인하며 후면부에 자연으로 열린 거대한 보이드와 상반된 시선을 형성한다. 과연 하우스는 드러내는 것일까? 감추는 것일까? reviewed by SJ The Haffenden House, designed by Para-Projects, is a writing studio for two ..
팬타입의 인상적인 외형으로 유니크한 건축환경을 연출하는 알렉산더 프린세스 오디토리움은 캠퍼스 내 학생들의 자유로운 교내활동은 물론 다양한 예술활동을 지원한다. 강가에 위치한 아카데미 블록 - 클래스룸과 댄스 및 드라마 그룹활동을 지원하는 다목적 실이 포함된- 과 주출입구를 공유하는 오디토리움의 플렉서블한 디자인은 800명의 효과적인 가시성 확보와 효과적인 소음차단은 물론 공연에 필요한 다양한 기자재를 프로그램에 따라 효율적으로 배치, 조닝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팬타입의 외형적 특징은 공연장 내부에 자연채광을 유입, 조도를 확보하는 한편 캠퍼스 마스터플랜 내 독특한 아이콘을 형성하는 디자인 요소로 작용한다. reviewed by SJ Earlier this year Associated Arch..
이번 프로젝트는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 볼만하다. 도시공간 속 건축물의 입지적 특징으로 도시구조를 연결하는 링크포인트 역활과 건축물 내부 프로그램과 주변 도시환경을 연결하는 매개공간의 구축이다. 이러한 건축환경은 내부의 주요한 3가지 프로그램의 컴팩트한 계획을 바탕으로 밀도 높은 디자인을 완성한다. - 밀도 높은 디자인은 메시브한 외형과 이를 구성하는 벽돌, 각 세대 채광을 위한 개구부에서 적나라하게 표출된다.- 그것은 한정적인 대지 공간 속에 이민자와 젊은 노동자를 위한 밀도 높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공동주거 확보와 그들의 자녀 또는 주변 이웃의 자녀를 위한 저층부 유치원 시설을 디자인 한다. 여기에 앞서 말한 두가지; 도시공간 속 링크포인트, 도시와 건축물을 연결하는 매개공간은 컴팩트한 건축물의..
스페인 북부, 로그로뇨를 여행하는여행자의 안락한 쉼터를 제공하는 호스텔은 기존 낙후된 건축물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현대적인 모던함이 베어나는 숙박시설로 제공된다. 생동감 넘치는 지역문화의 경험을 위한 전초기지, 호스텔 내부공간은 기존 공간의 존중과 적절한 조율 속에 깊은 공간감을 형성한다. 특히 기존 지붕 지지재 -목조 프레임-는 새로운 지붕을 지지하는 구조체 역활과 새로운 백색벽과 시간을 뛰어 넘는 대비감을 통해 내부를 풍부하게 연출한다. reviewed by SJ Spanish architect Sergio Rojo has recently completed the extensive refurbishment of a building which began to deteriorate at the turn o..
건축은 태생적으로 자연을 지향하며, 자연과의 접점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계획, 구축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이 완성되었을때 비로서 건축은 자신의 당위성을 인정받는다. 여기 아름다운 남해가 내려다 보이는 드라마틱한 장소에 위치한 사우스케이프 오너스 클럽하우스는 내외부가 밀착된 공간계획을 통하여 건축을 자연 속으로 동기화 시킨다. 내외부의 경계가 없는, 외부환경을 내부로 필터링 없이 유입시키는 투명한 글래스 파사드, 그리고 이러한 건축공간을 구조적으로 가능케 하는 필로티 기둥과 콘크리트 바로 이루어 진다. 두동으로 분리된 내부 프로그램은 골프리조트 시설과 식당 그리고 스파시설(남,여)로 구성된다. 특히 수려한 곡선미를 보여주는 콘크리트 바는 클럽하우스의 외형적 특징을 정의하는 디자인 요소이자 구조부재로 두..
주변 생태환경을 복원, 존중하는 지속 가능한 건축의 연장선상에서 알칸타라 중수재활용시설의 현대화 사업은 건축과 랜드스케이프의 통합에 의한 인프라시설 구축을 이룬다. 주변 자연환경에서 연장된 건축환경은 시설물을 뒤덮는 생태지붕으로 인공적인 건축물을 자연 속에 숨긴다. reviewed by SJ In Alcantara Wastewater Treatment Plant’s modernization project, some environmental preservation reasons imposed the creation of a green roof. Furthermore, the program foresaw two service buildings: one for monitoring the Plant, and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