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dao Ando designed Dream Chair as a tribute to Hans J. Wegner. The chair is made of three-dimensional plywood and with this material, Tadao Ando and the cabinetmakers at Carl Hansen & Søn pushed the size and curvature of the plywood sheet in order to achieve the necessary characteristics of a chair, attaining a result beyond what was thought to be possible. It is available in oak and walnut wit..
자연을 CMYK로 나타낼 수 있을까? 건축가 MCKNHM Architects의 대답은 "예스"다. CMYK 하우스는 기존 수변가에 위치한 주거 증측프로젝트로 기존 박공지붕의 주거를 포함한 3개의 파빌리온으로 구성된다. 각기 다른 포지셔닝의 파빌리온은 주출입구에 위치한 워크샵 및 차고 파빌리온과 사우나, 게스트 하우스를 포함하는 두번째 파빌리온 그리고 수변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 할 수 있는 오픈형 테라스를 포함한 박공지붕 파빌리온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를 유니크하게 만드는 파사드 디자인은 주변 자연환경을 이미지화한 픽셀을 다시 여러개의 컬러도트로 표현하며 또다른 방향으로 자연을 이야기 한다. 이러한 패턴디자인은 파사드로 다가갈수록 수많은 도트들로 구성된 그래픽이 보이고 파사드로 멀어질 수록 자..
장소의 기억을 되살린다. 태시마 요쿠하우스는 태시마섬의 아름다운 자연환경 수복을 위한 기념비적 공간으로 1975년에 들어선 산업폐기물 처리장으로 인하여 단절된 장소성을 현재에 연결하는 매개체, 박물관 역활을 수행한다. 박물관은 이 지역에 위치한 일본전통가옥을 개조하여 인간 삶의 다양한 단편들을 전시, 퍼포먼스한다. 자연과 사람을 연결하는 공간은 다이나믹한 시퀀스를 연출하며 장소에 대한 기억을 불러 일으킨다. reviewed by SJ For a museum on Japan’s Teshima island, Yuko Nagayama employed coloured glass to create dynamic scenes. Teshima – once a beautiful island rich in natural..
캠퍼스 중장기 발전 플랜의 일환으로 교내에 필요로 하는 교육지원 프로그램과 갬퍼스 내 고유한 캐릭터 창출을 위해 이번 도서관 프로젝트는 시작된다. 주변시선을 압도하는 오가닉한 형상 -에어로 다이나믹한 형상-과 메자닛 층으로 겹겹히 레이어드 된 내부 콘크리트 슬래브로 도서관의 건축은 분리 된다. 구조로 부터 분리된 자유로운 외피는 지속가능한 건축의 지향점을 목표로 디자인된다. 같은 체적 내 가장 적은 외피면적을 차지하는 에어로 다이나믹한 형상은 건축물의 열에너지 운영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동시에 외부 태양으로 부터 유입되는 다량의 직사광선을 차단, 버퍼하게 된다. -때로는 투명하게 때로는 불투명하게 외부 판넬은 디자인되며, 이에 따라 유입된 자연광은 내부 이중 외피로 설치된 멤브레인 막을 ..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건축물은 해체되어 흔적을 남긴다. 박스힐 가든에 새롭게 조성되는 야외 체육시설은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문화활동과 체육활동을 제공하기 위한 장소로 크게 커뮤니티 스페이스와 각종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활동을 위한 코트로 구성된다. 재미 있는 점은 이전 테니스코트 클럽 빌딩의 잔해? 일부분을 이곳 시설물을 디자인하는 요소로 사용하여 공간의 장소성과 기능성을 충족 시킨다는 것이다. 재활용된 테니스코트클럽 빌딩의 요소들은 운동장 외피 일부분과 사람들의 좌석을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 되며 감각적인 슈퍼그래픽과 더불어 유쾌하며 즐거운 시퀀스들을 생성시킨다. reviewed by SJ ASPECT Studios was commissioned by the City of Whitehorse to..
중국 북서부 유서깊은 작은 마을 강가에 거대한 연꽃이 피어난다.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투영된 Wuzhen 극장은 "쌍둥이 연꽃"을 모티브로 1200석 규모의 대형극장과 600석 규모의 소형극장으로 구성된다. 이는 이곳에서 열리는 축제와 관광에 대한 수요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물로, 퍼포먼스 공연과 아방가르드 창작공연, 패션쇼, 컨벤션 그리고 웨딩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더불어 지원한다. 아이텐티한 외형적 특징을 보이는 극장은 볼륨의 중심을 기점으로 우측으로는 슈퍼벽돌을 사용한 솔리드가 좌측으로는 중국전통창 문향을 재해석한 지그재그 팬으로 볼륨이 감소하는 타원형을 띈다. 이러한 극적인 대비는 수변위에 극적인 시퀀스를 형성하는 한편, 대지의 솔리드와 물의 보이드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자연을 건축 속에 동기화 시..
버블 프로젝트의 독특한 외형적 특징은 도시공간 속 고유한 캐릭터를 생성하는 디자인 매개체 이자 노후된 건축물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 이러한 외형은 어반보이드로 전락한 건축물의 장소성을 다시 부여하는 복원사업이자 내부 비즈니스 환경을 개선하는 공간적 특징을 보여준다. 기존 윈도우와 새로 제안하는 풍선같은 멤브레인 막은 내부환경을 외부로 부터 버퍼하는-이중외피의 확장판으로 생각해도 될듯- 그린하우스를 생성, 효율적인 단열효과와 식생된 식물로 부터 내부공기를 정화시키는 산소발생의 역활을 수행한다. 버플프로젝트가 일반적인 리노베이션 방법과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보이는 생소한 디자인 구현이지만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할 듯- 새로운 건축공간을 구현하는데 있어서는 생각해볼 여지를 충분히 ..
나노테크놀로지를 위한 대학의 프로그램 확충은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를 발촉시킨다. 대학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제안되는 테크놀로지 센터는 지역적 건축,자연 문맥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대학내 새로운 교육환경을 수용하는 타입폴로지를 정립한다. 건축물의 선형을 따라 배치된 내부의 연구실은 건축물 중심부에 위치한 중정, 그리고 이 중정에 면한 복도로 연결, 소통된다. 이러한 건축적 특징은 내외부의 간극을 밀착시키며 긴밀한 연결관계와 소통공간을 확보한다. 소통의 연속은 과학에서 예술로, 연구자에서 학생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며 소통된다. reviewed by SJ Poised at a new threshold to campus, the Krishna P. Singh Center for Nanotechnology w..
강아지, 고양이를 비롯한 많은 반려동물은 이제 단순히 소유주의 만족감을 충족시키기 위한 동물이 아닌 삶의 동반자로써 입지를 넓히고 있다. 여기 클라우드 세븐은 이러한 삶의 동반자들을 위한 현대적이며 모던한 소품들을 디자인, 제안한다. 소유주의 어반라이프에 부합하는 디자인 소품들은 애견들에게는 안락함을, 소유주에게는 삶의 질과 행복감을 전달해주는 삶의 조각으로 받아 들여 질 것이다. reviewed by SJ If you’re an animal lover, have a huge passion for fashion, your design values obey simplicity, functionality and eco-friendliness and you have immense respect for mode..
학교 증축 프로젝트는 2가지 전략?에서 접근한다. 그것은 기존공간에서 추가적으로 필요로하는 시설물의 확충과 새로운 교육공간의 타입폴로지를 창출하는데 있다. 기존건축물, 학교로부터 직교한 두동의 새로운 건축물은 중정을 형성하며 나란히 평행으로 배치된다. 먼저 길다란 선형의 솔리드 볼륨은 인상적인 건축물의 외관으로 내부에 2개의 교실과 교수실 그리고 연구실로 구성된다. 여기에 외형적 특징을 잘 나타내는 그리드스틸메쉬는 외부 태양으로 부터 내부환경을 보호, 필터링하며 솔리드 볼륨을 캐릭터화 한다. -심플, 모던, 비물질성으로 새로운 타입폴로지를 제안한다.- 중정을 마주한 또다른 신축공간은 식당과 드레싱룸을 포함하는 웨어하우스로 학교내 각종 지원시설과 부대시설로 구성되며, 중정으로 확장 가능한 플렉서블한 공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