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61 공동주거 프로젝트의 가장 특징은 거주자의 생활패턴,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주거유닛을 구성하는 동시에 그로 인해 생성되는 건축환경의 특성이 건축물의 캐릭터로 반영되는 통합 디자인에 있다. 폴라코 지역 내 기존 공업지대의 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협소한 대지의 환경을 반영, 128개의 유닛은 두개의 동으로 분리된 건축물에 배치된다. 450sf~1,350sf의 다양한 주거유닛은 외부 파사드에 디자인된 2개의 재료와 맞물려 한정적인 대지의 관계속에서 각기 다른 뷰포인트 형성과 아이텐티한 파사드로 구현, 디자인 된다. reviewed by SJ AD61 is a unique and exclusive development in the area of New Polanco. This area has be..
오가닉 형태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적층된 데저트 하우스는 주변 자연환경의 조우를 통해 구현된 산물로 내외부가 밀착된 건축환경을 생성한다. 건조기후, 사막기후의 반영은 긴 처마선을 통한 직사광선 유입방지, 수평으로 열린 사이공간으로의 자연한기를 유도, 계획한다. 무엇보다 바람이 조각한 듯한 유연한 콘크리트의 형상은 안토니오 가우디로부터 계승된 디자인DNA를 재현한다. -가우디 건축의 가장 특징적인 오가닉한 형태는 자연으로 부터 얻은 영감을 자연의 형태를 재현하는데서 시작된다. 그리고 그렇게 구현된 건축공간은 또다시 자연으로 회귀하는 특성을 보이며 자연과 동기화 된다. 건축가의 자의적인 해석으로 이루어진 심미적인 형상은 자기만족을 위한 하나의 사치품일뿐, 시간을 관통하는 건축 및 공간을 형성하지는 못한다.- ..
호주 멜버른 교외지역, 브라이튼 하우스는 거주자에게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다음과 같은 여러 장치로 쿼드 컨셉을 완성한다. 각 공간을 연결하는 중심에 위치한 주동선, 프라빗 야외활동과의 연계 및 외부환경을 적극적으로 유입하는 전창, 쾌적한 거주환경을 향상시키는 2개층 높이의 보이드 스페이스, 그리고 후면부에 자리한 발코니를 통해 내외부는 밀착되며 각 내부공간은 통합된다. reviewed by SJ InForm have designed a family home in Brighton, a suburb of Melbourne, Australia. This five-bedroom family home, custom designed in collaboration with our clients, is locat..
This house was designed by Hiroyuki Shinozaki Architects for a family of three in a residential area of Tochigi, Japan. Each space is divided by the stone wall, mined locally, and by the arcs supporting the big roof. House I, Tochigi, Japan Program: single family house Architects: Hiroyuki Shinozaki Architects Design team: Hiroyuki Shinozaki, Sota Matsuura, Tatsumi Terado Structural Studio Struc..
atelier fcjz 가 디자인한 버티컬 글래스 하우스는 신건축 주거 현상의 당선작으로 여기 상하이에 건축가, 예술가를 위한 게스트하우스로 구현된다. 모놀리틱한 거대한 콘크리트 큐빅의 압도적인 외형과는 사뭇 다른 내부는 텅빈, 보이드된 튜브형태로 투명한 컴템퍼러리 글래스 슬래브 -thk 70 강화유리-로 이루어진다. 내부 중심을 가로 지르는 스틸프레임; 기둥과 보는 내부공간을 정육면체로 구획하며 각기 다른 공간을 형성한다. 욕실, 침실, 거실, 식당,명상실등으로... 여기 금속재질의 나선형계단은 4개층을 연결하며 최상층에 설치된 하늘정원으로 거주자를 인도한다. reviewed by SJ the ‘vertical glass house’ by atelier fcjz was designed as an ent..
거대한 캔버스가 펼쳐진다. 건축주의 다양한 예술장식품을 감상 할 수 있는 프라빗 갤러리 하우스 카사쿠바는 예술작품을 위해 한발 물러선 건축환경을 형성한다. 소극적인 건축이 아니라 내부에 전시된 예술작품의 감상을 위해 컬러가 배재된 백색의 공간으로 디자인된다. -철저히 장식이 배제된 무형질공간- 총 3개층으로 구성된 내부 공간은 오픈 플랜으로 구성된 도서관이 위치한 메자닛층을 기점으로 그라운드 레벨에 리빙스페이스와 로비가 배치되며 독창적인 나선형 계단으로 연결되는 상부에 건축주의 프라빗 룸이 배치된다. 건축주의 개인적인 여가생활은 물론 손님 접대를 위한 게스트하우스로도 사용된다. reviewed by SJ Just like Hong Kong’s Duddell’s, a restaurant-cum-creati..
컨테이너 하우스의 가장 큰 장점은 자연과 일체화되는 건축환경, 감상을 위한 자연이 아닌 생활공간의 일부분으로 자연을 유입시키는데 있다. 친자연적인, 지속가능한 건축은 이전 전화기부스였던 자리위에 산업물의 부산물인 컨테이너를 이용, 내외부가 밀착된 공간을 연출한다. 거주환경을 위해 변형된 컨테이너는 재활용수를 사용하는 옥상정원과 전면에 조성된 정원을 바라보는 데크 및 캐노피 등 최소한의 재구성을 통해 구현된다. 자연 속에서. reviewed by SJ Built from a used shipping crate as a guest house in San Antonio, this residence has sustainability in mind with every aspect of its design. Env..
상반된 두개의 시선이 공존한다. 감추기와 드러내기. 뉴욕시 외곽, 한적한 전원마을에 인상 깊은 시퀀스를 연출하는 하프든 하우스는 두명의 시인의 공생을 위한 주거시설로 1972년 건립된 주거를 리노베이션하여 1층에는 차고와 복도를 2층에는 서재와 작업실 그리고 3층에는 그들에게 영감을 불어 넣는 독서실로 구성된다. 특히 마을을 향해 열린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와 그것을 동질화 시키는 백색 실리콘계열의 패브릭은 주거의 전면부를 디자인하며 후면부에 자연으로 열린 거대한 보이드와 상반된 시선을 형성한다. 과연 하우스는 드러내는 것일까? 감추는 것일까? reviewed by SJ The Haffenden House, designed by Para-Projects, is a writing studio for two ..
자연과 만나는 모던 스페이스, 풍부한 자연환경 속에 자리한 캐빈우드; 주말주택은 현대적인 건축디자인을 통하여 거주자에게 안락한 여가와 휴식을 전달하는 동시에 자연속 유니크한 거주공간을 형성한다. 콘크리트, 우드, 글래스 윈도우 그리고 후면부 산등성이의 풍경이 삽입된 주말주택의 아름다운 시퀀스는 풍화된 사이딩 패널과 버터플라이 루프 -나비의 날개짓과 같이 펼쳐진 지붕-와 더불어 함께 풍경 속으로 사라진다. 자연의 모습을 형상화한 버터플라이 루프는 두개의 공간으로 구분된 주거를 하나로 연결하는 동시에 주말주택의 외형적 특징을 증폭시키며 내외부의 소통을 위한 매개체로 디자인된다. 여기에 각기 다른방향에 위치한 두개의 출입구는 주말주택을 상징하는 얼굴로 각각 상부 지붕과 더불어 인상적인 시퀀스를 형성한다. re..
새롭게 재구성된 모바일 하우스; 템퍼러리 쉘터는 유목문화의 향취를 재현, 아웃도어 레크레이션을 제공한다. 이전 유목생활을 위한 공간과 유사한 외형과 내부 구성은 중심부에 위치한 화덕을 기점으로 자리할 수 있는 벤치가 배치된다. CNC 커팅된 플라이우드와 폴리카보네이트는 3.8 지름에 4.7미터 높이의 돔의 형태로 구현되며 가죽을 덧 붙여 구성한 것과 같이 백색의 폴리카보네이트 연결재를 피스결합으로 디자인한다. 두개의 출입구와 상부의 오프닝은 사람들의 출입을 용이하도록 돕는 역활과 내부 화덕으로 피어 오르는 연기를 배출하는 스모그 오프닝으로 기능한다. 여기에 상부에 설치된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는 솔리드한 돔형태의 공간 속에 주간에 태양빛을 유입시키는 채광창 역활과 야간시 이곳을 여행하는 여행자의 안내를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