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은 요구에 따른 기능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향후 공간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인도하는 키와 같은 역활을 수행합니다. 로테르담 부두에 신축된 공용도서관은 투명한 피라미드가 인상적인 외형적 특징을 보여줍니다. 사실은 그보다 그 투명한 피라미드 내부로 비추어지는 북 마운틴이 이번프로젝트의 핵심입니다. 프로그램을 상징화하며 특정공간에 아이텐티를 부가하는 건축적 기법을 사용한 북 마운틴은 480미터의 루트로 연속되는 책장을 피라미드 형태로 적층하여 이곳을 이용하는 주민들과 외부인들에게 색다른 공간적 체험을 선물 합니다. 문화적 생태환경의 새로운 구축은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주변을 통합하는 구심점으로써 공용 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입니다. reviewed by SJ Close to the Port of Rotte..
관계 및 연계성은 동시성에서 옵니다. 다른 공간, 다른 용도, 다른 형태의 성질이라도 같은 주파수를 맞추며 같은 시간을 공유한다면 그것은 동조를 일으키며 같은 성질의 것으로 전향됩니다. 피트 하우스는 이러한 동시성 작업을 통하여 자연과 건축을 하나로 묶는 일련의 작업을 보여줍니다. 공중을 부유하는 듯한 인상을 풍기는 외형은 저층부의 열린공간과 상층부의 솔리드 공간으로 크게 구성됩니다. 저층부는 일반적인 개실타입의 주거와 차별화되는 오픈플랜의 평면형태를 띠며 투명한 글래스로 외부로 오픈된 주거형태를 보여줍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외부환경을 내부로 끌어 들임으로써 내외부를 혼합 또는 동조하는 평면구성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이와같이 동조된 내부 저층부 공간을 중앙에 위치한 실린더 형태의 코어를 통하여 상층부로..
프랑스 북부에 위치한 수도원에 새롭게 덧붙진 글래스 큐브는 뮤직스쿨의 이미지를 새롭게 정의하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내부의 커다란 중정을 중심으로 연속적인 긴 회랑을 갖고 있는 수도원은 재판소와 교회 그리고 교도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에 새롭게 증축되는 글래스 큐브는 과거의 유산을 투영하여 연결하는 동시에 물리적으로는 수도원 공간과 과거의 교도소 공간을 분할합니다. 그것은 1990년도 부터 뮤직스쿨로 활용되는 수도원의 클래식한 공간에 대비되는 이질적인 현대적 공간의 삽입을 통하여 과거와 현재를 합성하는 이종접합을 보여줍니다. 여기에 참 재미있는 것 중 하나는 이전 재료와 새로운 재료의 접합인데, 마치 우리 전통건축의 그렝이와 같은 접합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과거를 단순히 옛것으로 보지 않고 자연의 일..
또 한번 과거로의 여행이 시작됩니다. 로마시대의 포럼장은 도심의 중요한 사회적 공간으로 정치, 경제, 종교, 재판 등 중요기능을 수행하는 장소입니다. 또한 시 중앙에 위치한 포럼장은 서로 다른 형태와 기능을 가진 건축물들을 연결하는 오픈에어 광장으로 둘러 쌓여 있으며 도시를 관통하는 동서와 남북 도로로 연결됩니다. 이번 복원 프로젝트는 스페인 지로나에 위치한 로마시대의 포럼장을 순차적이며 균형있는 복원으로 과거의 유물로 머무르는 공간이 아닌 현재시간 속에 삽입하는 일련의 작업으로 진행합니다. 과거의 유적을 가로 지르는 산책로는 이전 도심지를 연결하는 주요한 도로를 활용함으로써 각 공간들을 자연스럽게 조닝하는 동시에 최소한의 건축으로 유적지를 관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이것은 이번 복원프로젝트..
대지 주변의 다양한 외부환경은 건축물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건축물 개념을 형성하는 시작이 됩니다. 웨스트랜드의 중심 문화센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어진 이 아카데미 센터는 인근 주민들의 음악적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커뮤니티 공간의 집합체입니다. 음악 관련한 다양한 공간들은 인근 주민들의 음악교육을 위한 교육실과 댄스, 이벤트, 공연 등 다양한 활동적인 문화활동을 지원하는 플렉시블 오디토리움-시어터로 구분됩니다. 기능적으로 문화활동을 보장하는 요구의 수용과 더불어 인접한 주거단지의 스카이라인-박공지붕을 연속시키는 듯한 지그재그 형태의 지붕형태, 그리고 접근 방향에 따라 다른 입면을 연출하는 다이나믹한 파사드 디자인은 주변 외부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을 형상화한 것으로 건축물의 독특한 아이덴..
사막속 스타디움 광할한 사막 속에 숨겨진 스타디움은 건축과 랜드스케이프의 교묘한 합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어디까지가 건축인지, 어디까지가 랜드스케이프인지 경계는 모호합니다. 사막의 척박한 기후로 부터 경기활동과 관중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선큰된 트랙과 관중석부터인지, 아니면 지면으로 부터 들려져 하부 관중석을 보호하는 캔틸레버 루프 가든인지, 모호 하기만 합니다. 그렇습니다. 건축가가 모티브를 얻은 그리스의 노천원형 경기장과 같이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자연을 건축으로 경계로 끌어 들이는 기법은 자연과 건축의 경계를 긋지 않으며 통합된 자연의 일부분으로 스타디움을 귀속 시킵니다. reviewed by SJ lebanon and abu dhabi-based practice MZ Architects were ..
1930년대에 개발된 스팀벤딩 공정을 이용한 소넥 바이크는 수려한 곡선이 독특함을 넘어서는 기능적 아름다움을 선사합니다. 여기에 비치우드를 벤딩한 프레임은 별도의 강성처리를 통하여 탄력과 강성을 확보합니다. 이렇게 통합된 기능과 디자인은 소넥 바이크의 독특한 아이텐티를 만듭니다. reviewed by sj thonet has collaborated with london-based designer andy martin to develop a concept road bicycle using their steam bending process developed in the 1930s. constructed using beech wood, the frame is precisely adjusted with a CN..
당신의 거실 안으로 세계적인 랜드마크가 들어 온다면? 일본 아티스트 타츠 니쉬의 작업은 우리가 이전에 접하지 못하는 색다른 공간적 체험을 이끕니다. 집안 가운데 설치되어 있는 커다란 동상은 일반적인 주거공간에서는 만나기 힘든 경험을 선물하는데, 사실 이것은 뉴욕에 위치한 세계적인 랜드마크 콜롬버스 동상 상부를 감싸 안은 임시가설물로 구현된 공간입니다. 멀리서 바라보던 기념비적 작품을 가까이 쇼파에 앉아 감상하는 경험이란, 예술과 실생활, 과거와 현재, 가장 대중적인 공간과 가장 사적인 공간을 합성합니다. 그리고 이전에 없었던... reviewed by SJ A Monument at HomeNo stranger to building temporary out-of-place dwellings in the s..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에서 30분 거리에 위치한 프라빗 하우스는 외부환경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중정에서 공간을 시작합니다. 다양한 외부환경을 반사하는 내부 연못을 포함하는 중정의 랜드스케이프는 중정을 둘러쌓고 계획된 주거공간을 통합하는 연결점이자 구두점입니다. 처음 주출입구에 위치한 크로스 브릿지는 전실과 퍼브릭 스페이스를 연결하며 공간을 안내합니다. 이렇게 시작된 공간은 거대한 더블 볼륨으로 마치 대성당의 트러스 아치를 보는 듯한 천장을 갖고 있는 라운지 스페이스와 연결됩니다. 그리고 곧 라운지 하부에 위치한 식당지역으로 자연스럽게 공간은 연결됩니다. 식당은 수평띠와 같은 형태의 벽난로가 인상적인 파티션 월과 루프형태의 샹들리에 그리고 그 밑에 위치한 럭셔리 오크 테이블로 구성됩니다. 이렇게 내부공간은 중..
건축가가 진정 이번 채플프로젝트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건축과 종교가 하나되어 자연 속으로 사라지는 것 입니다. 수많은 영혼은 불꽃으로 변형되고 또다시 채플을 지지하는 기둥으로 무작위하게 계획되어 집니다. 그리고 곧 사각형태의 채플실로 형성화 됩니다. 하지만 채플실을 구속하는 것은 비와 뜨거운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한 가벼운 지붕이 전부 일뿐, 외부로 열린 채플은 곧 자연 속의 일부분이 됩니다. 특히 수면위를 떠 있는 듯한 채플의 드라마틱한 풍경은 자연과 건축이 만들어 내는 최고의 하모니가 아닐까요? reviewed by SJ The architectonic concept for this ecumenical chapel is that the countless columns that disorderly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