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뉴욕에 건립된 영상박물관 리뉴얼 작업이 드디어 끝났네요. 박물관이 가지고 있는 랜드마크 때문에 입구의 파사드 또한 작은 부분만을 리뉴얼 했어요. 영상이라는 특수성의 박물관이다 보니 트랜드의 변화와 영상의 발전속도에 맞추어 리뉴얼을 했어요. 비물질적이며 가장 빠르게 변화,발전하는 영상(미디어)과 가장 더디게 트랜드를 반영하며 구축적인 건축적공간의 만남은 어쩔 수 없이 대응의 폭이 한정적 일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요. 이런 프로그램의 만남 일 수록 건축적 공간을 상당히 플렉시블하게 계획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의 트랜드를 맞추면 결국 몇년안의 다시 예전것이 되어 버리는 현실에서 유니크하며 특수성이 있는 공간은 오히려 영상이라는 프로그램과의 조우에서 트러블을 일으키게 되겠죠. 공간을 균질하며 ..
크로아티아 디자인 호스텔 누구나 머물고 싶게 만드는 디자인 호스텔입니다. 저렴한 가격으로 방문자들 특히 외국 여행자들이 주로 이용하게 되는 호스텔을 독특한 아이디어로 구성했네요. 디자인 계통에 있는 사람이라면 원색을 사용하는 것이 상당히 힘든일인데 여기에 노란색은 제가 생각하는 그 이상의 힘을 발휘하네요. 디자인 능력, 배치 그리고 컬러, 정말 대단합니다. 지금이라도 크로아티아로 가서 꼭 묵고 싶네요. Hi! First off, there are a couple of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Golly&Bossy hostel. First of all — Golly&Bossy is a design hostel. Which means it looks great, but you fi..
워터 하우스 물가에 위치한 산자락에 지어진 기존 1층집을 리뉴얼한 프로젝트입니다. 옆집의 뷰도 존중하여 2층정도의 볼륨으로 다시 리뉴얼 했어요. 북쪽으로는 바다를, 중정으로는 풀장을, 어찌보면 물속에 있는 하우스 라는 생각이 드네요. 저층부에 넓게 펼쳐진 식당과 거실은 각각의 외부 공간과 만나서 내외부의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네요. 이번 프로젝트 역시 고급개인주택의 주된 패러다임으로 보여주고 있어요 뷰를 위한 공용공간의 선형적 배치 그리고 마스터 스페이스와 게스트 스페이스의 적절한 위계 배치. 뷰와 공간적활용에 의해 나오는 최선의 구성이 아닐까 싶네요. Corben Architects designed the Mosman House in Sydney, Australia. This new, three stor..
미네소타 도서관 리노베이션 고밀도 주거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외면 받던 도서관을 새롭게 리노베이션 했어요. 우선 2층에 공간을 증축하여 부족했던 공간을 충족시켰네요. 공간이 넓어진 만큼 중앙에 오픈스페이스 공간을 두어 이곳으로 외부의 빛과 시야가 들어 올 수 있도록 하였어요. 결과론적으로 이 효과를 통하여 친환경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였지요. 건물의 깊이가 깊어지면 질수록 쾌적성은 떨어지기 마련이거든요. 공간이 아닌 실로써의 기능을 위해서는 계획시 실의 깊이를 어느정도에서 맞출 것인가도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해야 하는 부분중에 하나지요. 너무 깊으면 쾌적성을 위해 기계장치의 도움을 많이 받아야 하고 깊이가 얕으면 그만큼 실로 사용하기가 어려우니까요. 다시 돌아가면, 저층부에는 마젠타색의 ..
오리가미 콘크리트 종이를 접듯이 오리가미 패턴으로 건물의 형태를 구축했어요. 외부와 내부의 경계, 바닥과 천장과의 경계 마저 오리가미 패턴 안에 숨겨 버렸어요. 그 덕분에 우리가 보는 이미지와 같이 독특한 내외부 공간들이 연속성을 가지면 펼쳐지네요. 접혀진 부분이 많은 곳은 자연스럽게 프로그램이 위치하고 열려진 곳은 외부와 연결되는 공용공간으로 계획되었네요. 맨 외곽의 한켜씩 펼쳐 나가면 결국에는 한장의 면이 되어 버릴 것만 같네요. This multimedia library in Anzin, France, by Strasbourg architects Dominique Coulon & Associés is wrapped in overlapping slices of concrete. Reading room..
폴딩테이블 간단히 접어서 사용 할 수 있는 테이블 이에요. 수납도 편리하고 디자인 또한 훌륭하네요. 구조 또한 간단해서 접었다 펴는 방식이 편리하게 되어 있어요. 다목적 강당이나, 레크레이션 홀 같은 곳에서 플렉시블 하게 사용하면 좋겠어요. Cologne 2011: this folding table by Swedish designers AKKA is one of two joint winning projects in this year’s [D3] Contest, an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young designers organised by trade fair imm cologne. Called OLA after one of the designers’ fathers, the ..
오엠에이 와 프라다 두개의 공간으로 연출되는 캣워크라 재미있네요. 수평적 리니어한 공간를 두개의 레이어로 나누어 구성했네요. 두개의 수평적 레이어는 수직으로 내려온 가벽을 통해 연결되고 있어요. 두개의 레이어를 연결하는 가벽은 마치 열주의 반복적인 패턴으로 관람자로 하여금 긴장감의 연속의 끈을 놓지 못하게 하네요. 디자인은 모두 연결되어 있는데 소통하지 못하는 지금의 현실이 안타깝네요. 이번 프로젝트와 같이 유형의 디자인과 그 디자인의 확장된 개념으로의 공간이 만난다면 더 좋은 디자인으로 발현 될 것 같아요. following a number of successful creative collaborations in the past, internationally renowned architect rem k..
메스 만나서 비틀기 포루투칼에 위치한 노인시설이에요. 데이케어센터가 어린이를 대상하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우리 어르신들에게도 필요 하겠어요. 이렇게 날씨가 추운데 빈 공원, 공터에 계신 분들 보면 안스럽기도 하고... 복합 문화 센터로 모든 연령층이 쉬고 즐길 수 있는 컨텐츠 프로그램이 있는 시설을 계획하면 좋을 것 같아요. 분명히 세대간에 차이는 있지만 차이가 단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차이의 다름을 인정하고 생각의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지금처럼 "지하철 XXX녀" 는 안 나오겟죠. 제가 또 너무 유토피아 적인 이야기를 했나요... 박스에서 시작된 메스의 가운데 홀을 기점으로 비틀어 각각 다른 공간과 높이를 연출했어요. 높이와 깊이감의 다름에서 오는 차이를 중정에서 해결하고 있어요. lisb..
100 Planos Architecture designed the Jorge Guedes’ House in Póvoa de Varzim, Portugal. Located on top of a valley, Jorge Guedes’s house, appears as a large window that covers the landscape. The building rises to the principles of aggregation volumetric patents in vernacular architecture of the region. We draw an organic whole, composed of three bodies, which extends to the ground, searching each..
plexus no. 3 + site specific installation at guerillaarts + gütermann thread, wood and nails + 12' x 6' x 16' + 2010 from gabrielda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