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 빛과 만나다. 디자이너의 감각적인 컬러디자인은 그레이 컬러의 콘크리트 지하 주차장 공간을 밝고 활력이 넘치는 '퍼니 스페이스' 로 탈바꿈 시킵니다. 다이나믹하며 연속적인 컬러의 조합은 거대한 벽화와 같이 막힘없는 연속적인 공간을 흐름을 유도하여 지하 주자창 내부로 유입되는 간혈적인 외부 빛을 더욱더 부각 시키는 요소로 사용됩니다. 마음까지 가벼워 지는 느낌입니다. reviewed by SJ A drab, concrete parking lot has been covered into an eye-popping display of colour in Sydney, Australia. The large-scale mural has been realized by illustrating duo Craig & ..
다양한 컬러와 다양한 형상의 조합이 인상적인 커뮤니티 센터 입니다. 그린, 엘로우, 레드의 강렬한 컬러는 각기 다른 형상의 메인컬러로 사용되어 센터내 각 프로그램을 직설적으로 나타냅니다. 이러한 원색적인 컬러와 다양한 형태의 조합은 자칫 유아스러운 구조물을 잉태하기도 하지만 이번 커뮤니티 센터는 이런 기후를 조화로운 볼륨감으로 극복하는 센스를 보여줍니다. reviewed by SJ A covered public square: this was the initial idea behind the design that has been seen through to the end. Its elevated and privileged location in one of the routes into Almería, ens..
수이타시내 주거단지가 내려다 보이는 낮은 구릉지에 위치한 하우스는 50년 묵은 벚나무와 함께 나이를 먹어갑니다. 주변의 일반적인 주거의 형태와는 차별화되는 모놀리틱한 볼륨으로 구성된 하우스는 북측으로 면한 커다란 2개의 글래스 큐브가 인상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이 2개의 글래스 큐브는 각각 저층부의 식당과 상층부 거실에 면하여 내부 퍼블릭 스페이스와 외부 파노라마뷰를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창구 역활을 수행합니다. 이것은 낮은 구릉지 위에 위치한 하우스의 캐릭터를 잡는 역활을 하는 동시에 내부와 외부가 소통하는 연결공간으로 작용합니다. 무심한 듯한 얼굴인 것 같지만 균형잡힌 볼륨감과 디테일한 내부공간 조닝이 돋보이는 하우스 입니다. 특히 거실에서 바라보는 벚나무 풍경은 돈주고 살 수 없는 최고의 선물입니다...
파리를 여행하는 여행자를 위한 하이메틱 호텔은 별다섯개 등급의 고급 숙박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지만 여행자들에게 모자람 없는 기능적 공간을 제공합니다. 독립적이며 기능적인 가구들은 다양한 컬러로 디자인 된 내부 공간과 현대적인 모던함의 디테일 속에서 매치됩니다. 특히 현대디자인의 특징중 하나인 플렉서블한 가구의 활용성은 제한적인 공간적 한계를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확장하는 실용성을 보여줍니다. 여행자들을 위한 객실은 일본식 로칸을 현대적 모던함으로 재해석하여 공간적 간결함을 보여줍니다. 사용자의 쓰임새에 따라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침실로 때로는 작은 모임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파리에 들린다면 꼭 한번 이용해봐야겠습니다. 무엇보다도 대담한 색감이 주는 강렬함이 지나치지 않고 모던하게 ..
그린컬러는 항상 우리에게 편안함과 즐거움을 준다. 도심 속의 자연과 중정을 즐길 수 있는 중정형 공동주거는 도시적 스케일과 호흡하며 싱글과 훼밀리 주거에 적합하도록 디자인 되었다. 특히 층별마다 각기 다른 테라스와 그린컬러의 그라데이션 효과는 건축물이 외부환경과 만나는 색다른 방법을 이야기 하는 동시에 도심지 내에서 도시적 아이텐티를 갖는 좋은 방법을 알려준다. 여기에 내부 조닝은 거주자의 가족규모에 따라 침실과 공간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디자인으로 계획되었다. 무엇보다 이번 공동주거는 컬러가 주는 힘이 디자인을 넘어서서 풍부한 공간감을 준다는 것이 참으로 이채롭다. reviewed by SJ austrian practice alleswirdgut has completed 'herzbe..
4미터 높이의 외벽은 도로변에 개구부 없이 디자인되어 이전의 주택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내부로 열린 프라빗 하우스는 로마시대의 주택과 같이 중앙의 중정을 기점으로 외곽에 룸이 배치되어 있다. 외부 자연환경으로 부터 집과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로마인들의 주거형태가 그러했지만 여기 프라빗하우스는 무엇으로 부터 보호를 받고자 한걸까? 이것은 아마 외부의 불필요한 시선을 차단함으로써 내부의 자연과의 집중력 있는 조우를 계획한 것이 아닐까? 이탈리아 전원이 아닌 도심지에 있어야 할 주거형태가 아닐까 싶다. reviewed by SJ Nothing but a four metre-high door penetrates the plain facade of this house in norther..
무엇으로 이것을 정의할 수 있을까? 모던, 리니어, 지오메트릭, 엘레강스 그리고 기괴한 암석? 이 모든 단어들은 함축적인 공간으로 표현되어 외부의 황량한 암석들 사이에 백색의 레지던스로 정의 된다. 절제된 다면의 형태는 거친 원석사이에 놓여진 보석과 같다. 폴딩된 공간 사이로 떨어지는 빛의 그림자가 공간의 깊이감을 표현해 주둣이 형태를 깊이를 알 수 없는 공간의 꺽임은 우리네 산수의 배치와 같이 곂곂이 쌓여 있고 감추어져 있다. 공간과 공간 사이, 그리고 교묘하게 비틀어져서 꺽여 있는 공간의 틈 사이 그리고 이 모든 어휘를 감싸는 화이트는 외부에서는 황량한 암석들과 대비를 이루며 내부에서는 깊은 그림자로 강한 대비감을 준다. 얼마나 많은 스터디를 했을까? 얼마나 많은 대지 분석을 했을까? 얼마나 많은 밤..
간장공장공장장은.... 이렇게 역사는 우리앞에 새롭게 쓰여지고, 새롭게 피어난다. 샘표 창립 65주년 기념으로 열린 아트웍은 기존 페인트의 보수에서 벗어나 지역주민과 소통하는 기업을 만들고자 하는 샘표의 강한 의지가 엿보인다. 간장은 그 성격 만큼이나 역사와 전통을 중요시 한다. 일본의 몆백년된 간장공장에서는 그 낡은 목조 건물의 천장안에 뽀얗게 앉아 있는 먼지를 없애지 않고 보존한다. 이것은 어쩌면 서구의 위생개념에서는 불가한 일이겠지만, 그들의 청결함에서 오는 멸균의 의미는 결국 우리에게 유익한 균 마저도 죽이는 결과를 낳게 된다. 하지만 발효를 하기 위해서는 서구의 시선에서는 이해 되지 않는 어려 균들이 공기와 접하고 소통하면서 간장을 익혀야 한다. 간장은 발효의 미학이자 소통의 미학인 것이다. 어..
아키타시의 도심지에 위치하여 있지만 특이하게도 주차장에 둘러 쌓여진 하우스1은 외부와 내부의 아이러니한 관계속에 놓여 있다. 적절히 외부와의 관계를 차단하는 동시에 인클로저된 내부공간이 페쇄되지 않도록 반 공간을 디자인 하였다. (외부에 있는 내부 중정과 같이 반외부공간 이와는 반대로 내부에 있는 외부공간을 여기서는 이미로 반공간이라 지칭하겠다.) 반 공간은 내부의 인클로저 스페이스와 외부환경과의 적절한 관계를 유지시켜주며 하우스의 공용공간으로 사용된다. 또한 내부와 외부의 아이텐티한 볼륨을 표현하는 인클로저 스페이스는 주방, 욕실, 화장실, 침실등으로 구성하여 거주자의 프라빗한 주거환경을 제공한다. 도심지의 주거환경은 이처럼 프라빗 스페이스와 퍼블릭 스페이스가 균형감 있는 조화를 이룰때 도심형 주택으로..
화이트 볼륨의 메스들 간의 긴장감은 수직과 수평의 분열을 일으키며 슬릿한 틈을 발생시킨다. 틈은 공간과 공간, 메스와 메스사이에서 적절한 버퍼공간을 유지시키며 외부환경을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렇게 유입된 빛은 내부공간의 화이트 스페이스에 펼쳐져 있는 긴장감을 완화시켜주며 공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중요한 역활을 수행한다. reviewed by SJ japanese practice tetsushi tominaga architect & associates has sent us images of 'gap house', a two-storey private residence in the center of tokyo, japan. working with the small and narrow site, the de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