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 Architects-NAM Coffee 건축가는 방문객들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모색했다. 첫번째는 다양한 형태의 블럭과 연못 그리고 개울이 길을 따라서 연속되도록 배치한다. 길을 따라가면서 자연스레 내부의 모든 공간을 만날 수 있도록 한다. 두번째는 이런 공간을 연속시키기 위해서 계단과 같은 다양한 건축언어를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연속되면서 확장된 경험을 제공한다. 세번째는 볼륨의 규모를 대비시켜 공간의 은율을 접하게 한다. 벽돌의 틈새 또는 다양한 타일 패턴을 사용하여 자연광과 조명으로 이러한 경험을 확장시킨다. The Nấm ( Mushroom coffee shop) was built on a pre-existing garden. The site is located in a ..
Steve Larkin Architects-Ballyblake Hous 30년 이상 사람이 살지 않았던 200년 농가; 발리브레이크 하우스 확장 및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입니다. 오래된 울타리와 골목길로 이루어진 한적한 대지 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외부 녹지와 마당 및 초원을 재구성하여 남측공간을 확보합니다. 이렇게 확보된 공간을 중심으로 건축물의 내부를 리노베이션 합니다. EXTENSION AND REFURBISHMENT TO BALLYBLAKE HOUSE Ballyblake House is a two hundred year old farmhouse that had been uninhabited for over thirty years. It is on a secluded site within an old..
Claesson Koivisto Rune creates red-painted house in northern Sweden 스웨덴 보덴시에 위치한 시몬손 하우스는 스웨덴 건축가, 클레손 코이비스토 룬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지역에서 생산되는 소나무 위에 레드컬러로 완성되었다. 북극권에 가까이에 위치하여, 해당지역의 엄격한 계획 규정에 따라 설계되었다. 이 규정에 따라 시몬슨 하우스는 최대높이와 바닥면적이 정해져 있었고, 인근에 위치한 다른 건물들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 레드컬러의 지붕을 사용했다. Swedish studio Claesson Koivisto Rune has completed the Simonsson House in the city of Boden, Sweden, cladding it entir..
Patterson Associates-Pouaka Waikura_Steel Gift Boxes 내후성강판이 전달하는 시간의 흔적은 이번 프로젝트에도 여김없이 표현된다. Patterson Associates의 건축언어는 대지가 전달하는 생생함과 건축의 인공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결합한다. 그 결합방식은 심사숙고를 걸쳐 만들어진 미니멀이다. 자연과 건축을 단순화하여 하나의 공간으로 표현한다. Aligning as a considered sequence of nomadic forms sculpting its own rural street, Pouaka Waikura sits anchored to its site, extending a vernacular familiar and resonant to its ow..
LR-Architetti-Church of the Holy Spirit in Pegognaga 교회의 인상적인 장면을 만드는 정면은 박공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로방향의 패턴은 거대한 기둥이 연속된 모습으로 붉은색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Church of the Holy Spirit in Pegognaga, near Mantua. The new Church of the Holy Spirit in Pegognaga, near Mantua, is the result of restricted competition. It replaces the previous parish church, damaged by the 2012 earthquake. The project ensures a proper scal..
Civic Architects-Schoenenkwartier Shoe Museum 신발 박물관은 지난 세기 시청으로 사용되었던 유서깊은 건물이 있는 역사적인 도시의 한가운데 위치한다. 일반적인 박물관 기능 뿐만 아니라 카페, 작업공간 등, 마을에 일어나는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박물관인 동시에, 마을의 혁신센터, 커뮤니티의 중심지 역활을 수행한다. The Schoenenkwartier Museum is a new and innovative knowledge center for shoe design, shoe production, and shoe fashion in the center of Waalwijk, the Dutch leather and shoe city. It is house..
Miguel Ortego-The Weight of the Void 여유와 휴식을 제공하는 도시쉼터로 제공된다. 붉은색 벽돌로 변주된 건축공간은 물리적인 구획으로 바운더리를 만들지만, 시각적으로 열린 공간을 생성한다. The idea of the Eternal Recurrence is mysterious, and with it, Nietzsche perplexed the other philosophers. "To think that once everything has to be repeated as we have already experienced it, and that even that repetition must be repeated to infinity." he myth of the Eternal R..
Nicole Blair lifts Austin guesthouse above existing bungalow 기존 단독주택 위에 코르텐강으로 마감된 비대칭형태의 파빌리온이 증축된다. 기존 건물과 뒷 마당을 유지한채, 기존건물에서 60cm 이격된 높이에 스틸구조로 구축되었다. 재미있는 건축의 방향은 파빌리온을 지지하는 4개의 기둥이 기존구조물과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만들어 진다. Weathering steel panels clad the exterior of this asymmetrical house extension that architect Nicole Blair lifted above a single-family home in Austin. Called The Perch, the building wa..
dmarchitects-Nhaso 27 House 베트남 특유의 덥고 습한 기후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막힘없이 열린 공간을 통해, 환기를 원활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40년된 오래된 주거의 리노베이션 작업은 이러한 공간구현을 목적으로 열린거주공간을 완성한다. 스플릿레벨로 자리한 공간은 침실과 공용공간을 가운데 위치한 계단을 기점으로 번갈아 가며 배치된다. 특히 백색공간을 바탕으로 적용된 레드컬러는 계단을 비롯한 포인트되는 장면에 적용하여 은율감있는 건축을 완성했다. from archdaily
Colectivo C733-Music House 새로운 커뮤니티 센터는 다양한 지역문화를 지원하기 위한 공간으로 제공된다. 32*24크기의 오픈플랜을 중심으로 화장실, 주방, 셀러가 지원시설로 준비된다. 반층 위에는 지역 음악가를 위한 스테이지 또는 워크샵공간이 구성된다. Music and festivities play a fundamental role in Nacajuca´s daily life, both in the Mesoamerican rooted pochó dance and in contemporary manifestations. The new Community Center reuses the foundations of the pre existed building and provides spac..
유난지역의 유명한 '돌숲'으로 부터 박물관의 모티브는 시작된다. 수많에 걸쳐 생성된 날것 그대로의 자연은 강렬하면서도 아름다운 풍경을 전달한다. 마치 소중한 보물을 담은 보물상자들이 켜켜이 적층되어 있는 것처럼. 건축가는 이러한 자연환경으로 부터 추출된 은유; 컨테이너와 같은 인공구조물이 적층된 듯한 장면을 연출한다. 반대로 장중한 단일메스를 나선형태로 분절한 개별적인 장면을 연출하기도 한다. 박물관 디자인 구성 박물관 입구는 좁은 통로로 부터 시작된다. 돌숲을 통과하는 구불구불한 길과 같은 통로를 따라 그 끝에는 중앙 아트리움의 광대한 오픈 스페이스가 펼쳐진다.외부 규모는 전시회 공간과 관리 사무소 공간 사이에 구분을 암묵적으로 보여주는 기준선이 수직적으로 그어져 있다. 이 선은 또한 유난의 천연 돌의..
Arkides Studio-GN House 지엔 하우스. 건축주의 성격을 존중하는 내향적인 집. 부끄러운 것은 아니고, 단지 자신에게 더 집중하고 싶은 공간에 거주를 원합니다. 건축주를 닮아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지극히 절제한다. 도로에서 마주하는 집의 형태는 두개의 사각형의 집합체로만 보인다. 대신 대지를 따라 구축된 벽을 따라 자연스레 내부지향적인 외부공간, 중정들이 만들어 진다. 그 중정과 내부공간은 적극적인 호흡으로 누구 간섭없는 편안한 거주를 구현한다. The introverted personality of this house is seen from the front. The facade that looks like two stacked boxes looks massive without 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