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이치현, 주거단지 내 교차로에 위치한 요코이 치과병원의 지향점은 무뚝뚝한 겉모습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심플과 클린; 단순함과 청결함은 프로그램; 치과병원이 추구해야하는 건축환경과 동일, 건강한 건축환경을 구현한다. 균질한 백색과 매우 단순한 사각형태, 그리고 단조로움을 즐거움으로 변화시키는 다양한 크기의 창문들을 통해 건물은 인지되고 고유화된다. -불필요한 장식은 배제한다. 이는 단순한 건축 스타일 뿐만아니라 사인과 광고를 최소화함으로써 건축 컨셉을 증폭시킨다.- 그리고 지역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장소로 아이콘화 된다. 내부공간은 앞서 이야기한 창문과 천창을 통해 밝은 분위기를 유지하며, 대기실의 실제 크기보다 확장된 공간감과 편안함을 환자들에게 전달한다. 상담실 또한 이러한 공간적 특징을 연..
19세기 건립된 내셔널 스트라스부르 대학 도서관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총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1950년대를 첫번째로 2006년과 2014년 단계별로 진행된다.- 오리지널 센트럴 디자인은 수복되고 불필요한 오너먼트 및 장식은 배제되는 사이, 내외부를 밀접하게 연결하는 관계는 새롭게 정립된다. 이는 오리지널 파사드 캐릭터로 부터 차용된 클래식 요소의 (내부에 적용된) 재해석과 기존 구조물과 명확히 구분되는 현대적인 건축어휘의 적용을 통해 발현된다. 이중 천창으로 부터 떨어지는 빛의 항연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중앙계단의 구조미와 상징성은 프로젝트의 지향점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또한 프로그램의 실질적인 수직동선 역활과 유입된 자연채광을 내부 깊숙히 유도하는 매개공간으로 활용된다. 새롭게 정..
건축 스튜디오 아파라트-C는 서울 도심 주택가에 사면을 건물들과 이웃하고 있는 건물을 창문과 발코니를 위한 최적의 위치들로 둘러싸인 레이아웃으로 설계했다. 화이트콘 하우스라는 이름인 이 5층 건물은 서울 마포구 내 위치하고 있으며 여섯 가구의 소형 원룸형 아파트와 2층의 펜트하우스 아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펜트하우스에 충분한 일광을 보장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지만, 아파라트-C는 자연 채광을 제공하고 건물 1, 2층의 가구들에게 개인정보 유지를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사용했다. " 원룸 단위 계획에서 핵심과제는 각 가구들에 충분한 채광을 제공하면서도 사생활을 유지하느냐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이는 여러가지 아이디어들을 상충시켰지요."라고 이 건물을 담당한 건축가 3명 중 한사람인 이시..
브라질 쌍파울로 서측 외곽 한적한 전원도시에 자리한 엠지하우스는 자연과 밀착된, 외부로 열린 공간을 지향한다. 이는 전면도로와 연직방향으로 깊숙한 대지의 풍부한 자연환경으로 부터 발현되며 이를 유입하기 위한 건축은 오픈플랜을 바탕으로 시작된다. 하우스는 지하층을 포함, 총 4개층으로 구성, 1층은 후면부 거대한 정원 및 25미터 풀장과 내부로 연속되는 저층부 소셜 스페이스로 거실, 주방, 식당이 배치된다. 지하층에는 10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 서비스 시설 그리고 기계실이 위치한다. 글래스의 풍부한 표현력은 내외부를 밀착시키는 매개체로 외부 방문객의 환영과 아이들방, 거실, 식당등, 내부공간의 시각적 열림을 거주자에게 전달한다. 특히 아트리움 및 3층(전창으로 디자인)은 내부로 자연채광을 유입, 확..
플라토 몬트 로얄에 위치한 3층 단독주거 리모델링 프로젝트는 거주자에게 현대생활을 위한 거주환경 구축을 목표로 진행된다. 1880년대 기존 건축물의 구조물은 재구성 및 보강된다. 그리고 모던 디자인 으로 통합, 화이트 스페이스를 통해 리노베이션 된다. 그중, 마스터룸과 스튜디오를 구분 짓는 화이트 유틸리티 큐브는 재활용 목재로 구성된 선반으로 디자인, 실 내부의 구심점 역활을 수행한다. 최소한의 디자인을 통해 향상된 거주기능은 거주자에게는 심플한 라이프 스타일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 건축에게는 다시 태어나는 기쁨을 선물한다.reviewed by SJ,오사 Juliette aux combles | Remodeling of a third-floor single-family dwelling in Plateau..
독일 칼스루에에 위치한 4층 규모, 개인주택의 지향점은 거주환경의 지속성에 있다. 이는 유니버셜 디자인을 통한 무장애공간 연출과 패시브 디자인이 접목된 지속가능한 건축환경을 통해서 얻어진다. 먼저, 하우스 4개층은 오픈형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동시에 북측에 위치한 램프 및 통합 수직동선(엘리베이터 코어)은 공간을 막힘없이 연속시킨다. 여기에 마주한 앞마당은 이웃한 환경과 하우스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건축의 대조(채움과 비움, 건축과 조경, 솔리드와 보이드)를 만족시키는 건축어휘로 제공된다.하우스의 환기와 냉방은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루버 윈도우(자동 조절되는)를 통한 맞통풍과 글래스 윈도우에 시공된 태양열 차단시스템으로 냉방부하를 감소함으로써, 별도의 에어컨디션을 운영하지 않는다.하우스..
언덕위의 샤론하우스는 이곳을 찾는(야구경기장 관람 및 응원을 위한 가족단위 구성원) 방문객들의 소셜활동 보장을 위해 제공된다. 스탠드형 야구경기장 한켜, 야외에 보행자 동선을 따라 선형으로 배치된다. 주변과의 긴밀한 연결고리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계단(파빌리온으로 연결되는 출입동선이자, 야구경기 관람을 위한 좌석형 스탠드로 제공되는)에 마주한 주출입구를 위치시킨다. 파빌리온의 건축적 캐릭터를 구체화하는 버티컬 메탈 스크린은 화장실, 주방, 홀(테이블 배치, 식사 및 담소, 경기관람을 위한 주공간)의 각각 외부 파사드에 각기 다른 간격으로 정렬된다. 이는 용도에 따른 오프닝(간격)을 통해 외부 시야확보는 물론 자연채광 유입을 확보한다. -외부로의 시각적 차단과 간격에 따라 출입통로 역활을 수행한다.- re..
어린이를 위한 아지트, 캐비넷 침대. Belgium-based Van Staeyen Interieur Architecten designed a wall of cabinets with a sleeping nook for a child’s bedroom.Design: Van Staeyen Interieur Architecten Photography by Luc Roymans from contemporist
아르헨티나 고도바에 위치한 파이브 하우스는 (두개가 쌍으로 이루어진) 언덕을 따라 배치, 길게 뻗은 형상들을 통해 리드믹컬한 시퀀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치는 최상의 뷰와 채광을 위한 건축적 방법론과 주어진 대지;자연을 최소한으로 훼손하는 지속성을 바탕으로 진행되며 공중으로 부양하는 듯한 볼륨들을 통해 유쾌한 공간을 생성한다. 하나의 뿌리로 부터 갈라진 두개의 이란성 쌍둥이 하우스는 기본 모듈을 바탕으로 동일한 건축적 특징을 보이지만 (지형에 순응한) 대지에 반응하며 자신들을 유니크화 한다. 지붕형상 또한 두쌍이 유사하게 박공과 경사지붕으로 이루어 진다. 하우스의 외부는 벽체, 지붕, 바닥까지 전체 백색으로 마감, 돌출 처마나 창틀 또한 배제된 미니멀 디자인으로 건축 자체가 전달하는 미학적 쾌락보다 주어..
포루투칼 리스본으로부터 북측에 위치한 역사적인 도시, Óbidos에 거대한 스퀘어(긴 선형 볼륨이 클러스터 된)빌딩이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 속에 수평의 장대한 스퀀스를 생성한다. 이는 테크놀로지 파크 내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를 위한 스타트업 공간창출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 지역문화활동을 보장하는 유연한 공용공간이 함께한다.(주변건물과의 유연한 관계성과 용이한 접근이 가능한) 건축물은 먼저 지면으로 반정도가 묻힌 단층건물로 대지에 자리한다.미팅룸, 패브랩 워크삽, 레스토랑, 삽, 테크니컬 스페이스이 프로그램된다. 그리고 인접한 언덕과의 조우를 꾀하는 거대한 외부중정이 함께 한다. 지면에 묻혀진 볼륨 위에 자리한 메인 스퀘어 볼륨은 전체 건물의 디자인을 캐릭터화하며 또다른 클러스터 스페이스를 생성한다. 오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