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텔모박물관 리노베이션의 궁극적인 목표는 실질적이며 기능적인 박물관 캐릭터 구축에 있다. 이보다 앞서 풍부한 자연환경에 자리한 기존 박물관의 장소성을 현재에 투영하는 일; 자연과 인공적인 건축물을 연결하는 작업을 선행한다. 축척된 시간의 켜를 통해 매우 유연한 경계를 이루는 이질적인 관계는 이번 프로젝트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공간에 필요한 기능성 확보와 주변환경과 조우, 그리고 시간과 장소를 관통하는 디자인을 구현한다.자연과건축을 연결하는 그린월 그린월은 프로젝트를 관통하는 건축어휘로 자연과 공간을 연결(건축적 아이디어 실현과 그속에 잔재된 은유를 표현한다.)하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내부환경을 위해 자연채광을 공간 깊숙히 유도한다. 내외부를 구분하는 필터링 역활과 각 프로그램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파티션, ..
인더스트리얼 빌딩을 리노베이션한 스마트폰 제조회사, 페어폰의 암스테르담 오피스가 추구하는 건축환경은 회사의 방향; 지속가능한 생산, 생태환경을 목적으로 한다.기업가치는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제작을 위한 윤리적인 재료(소스) 사용과 사용자(소비자)가 직접 수리, 복원이 가능하도록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모듈 디자인 제작을 원칙으로 한다. -회사의 가치추구가 지금 스마트폰 시장을 주름잡는 애플, 삼성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이러한 환경 조성(지속가능한 생태환경)는 새로운 워크스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인테리어에 적용되며, 1884년 건립된 암스테르담 북부, 웨어하우스를 지금의 오피스 환경으로 변화한다.한정적인 예산과 구축기간은 최대한 기존 구조물 및 요소를 존치, 복원하는 방향으로 (원래 기업 가치추구와 같이) 대..
전통적인 알프스 지역, 작업장(workshop) 개선 사업은 전체 개선 공사 및 워크샵 일부 변경을 포함한다. 기존 전통 건축공간에 대한 건축주, 조각가, 예술가의 재고는 다량의 채광을 유도하는 건축어휘를 적용, 건축물에 고유한 캐릭터를 부여한다.공간의 구성 기존 구조물로 이루어진 대형홀은 평행한 두개의 벽으로 구분, 3개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중심부에 자리한 공용창고를 기점으로 양끝단에 각각 작업장이 자리하며 각 공간은 긴 계단실을 통해 상부 2층과 연결된다. 새로운 선반은 기존 바닥재(나무)를 재활용, 각 공간을 구분짓는 파티션 역활을 함께 수행한다.워크샵 캐릭터의 재구성 워크샵의 메인 캐릭터는 남측 입면에 자리한 윈도우 3개와 서측에 위치한 도어를 새롭게 디자인한 대형 오프닝 '라이트 캐쳐' 2개로..
필립스탁과 트립티크의 건축 프로젝트, 쌍파울로 토크 플래그쉽 스토어가 이야기하는 건축은 브랜드 캐릭터 창출과 문화소비를 통한 고객 만족 실현을 지향한다. 이전 80년대 오래된 게임클럽은 다양한 제품 전시를 위한 순백색 공간으로 변화된다. 이전 건축어휘는 새로운 디자인과 대비감을 이루는 좋은 소재로 사용된다. 거친 벽과 매끄러운 바닥, 천장에 콘크리트 보가 자연스레 노출된다. 문화소비를 위한 상공간 계획 21세기 앤디워홀 팩토리 버전 같은 스토어 인테리어는 현재 상업공간의 트랜드를 적나라하게 구현, 사고 먹고 마시는 기본적인 소비행위는 물론 춤추고 읽고 만드는 등 다양한 문화활동까지 폭넓게 지원하는 포탈 문화 상업공간으로 제공된다. 지금의 상업공간은 단순히 물건을 판매하는 공간에서 확장, 문화를 소비, 즐..
STUDIOSC have designed the transformation of a 10,000 square foot ground floor factory space into a contemporary co-working office in Brooklyn, New York. Within an empty 10,000 Sq. Foot Ground floor space, STUDIOSC was commissioned to envision a creative co-working office in Bushwick, Brooklyn.The concept was to create a refined working environment using materials that would normally be consider..
인상적인 지붕형상(Roofline),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개의 박공지붕은 지역건축으로 부터 추출한 전통을 현대적인 재해석을 통해 디자인 한다. 재활용된 내부 재료 및 요소는 친숙한 거주공간 제공은 물론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위한 거주공간의 지속성을 도모하는 장치적 역활을 함께한다. The extension sits on the property’s north side. Its zig-zag shape is a continu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he more traditional double hip roof of the existing house. The new construction combines Shadowclad boards, a Lysaght Longl..
커튼 오피스의 건축환경은 현재, 비즈니스환경의 지향점과 일치한다. 워킹 그룹 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동시에 효율적인 생산방식 지원과 각 개인의 거주환경을 보장하는 비즈니스 환경을 지향한다.과거와 현재, 전통적인 구조형식과 현대적인 모던공간이 혼합된 1938년 건립 건물의 특징은 커튼오피스의 유연한 오픈스페이스를 지원한다. 기존 구조물; 기둥은 카본을 통해 강화되는 동시에 가시적인 아이텐티를 구현하는 동안, 바닥과 천장은 시멘트 마감으로 보강과 디자인을 완성한다. 유연한 작업환경은 고정된 파티션을 사용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요구 또는 작업환경과 공간구성에 따라 커튼시스템으로 다양한 공간활용을 지원한다. 테이블이 있는 대형 미팅룸, 또는 미니 라이브어리와 주방이 겸비한 식당으로 즉각적으로 변화, 대..
창고(warehouse)에서 가족의 포근한 안식처, 중정 하우스(courtyard house)로 변신.(경제적인)한정적인 예산, 하우스 리노베이션방향을 이야기한다. 지속가능한 거주공간 확보 및 2명의 자녀를 포함한 가족간의 화목한 소통공간 생성을 위해 하우스의 중심공간, 중정을 설계한다. 기존 창고건물의 사각형태로 부터 U자 형태로 볼륨을 덜어 낸다. 그리고 거주공간을 직접 연결하는 중정을 위치 시킨다. 심플, 모던한 거주공간은 총 연면적 2,200sqf, 2층으로 구성, 위아래에 자리한 중정 2개와 연속된다. 오픈 그라운드 플로어 (open ground floor)는 오피스, 주방, 식당, (중정과 직접 연결되는)거실과 한켜에 위치한 워크샵으로 구성된다. 상부, 잘려진 형상의 두번째 중정은 2층에 위치..
여행의 시작과 끝. 루아 로사리오(ROSA ET AL)게스트 하우스는 포루투칼 예술지구 중심부, 작은 빈티지&인디 상점들이 즐비한 아트 갤러리 거리 한켜에 위치한다. 19세기 타운하우스를 리노베이션한 게스트 하우스는 장소성이 새겨진 건축물에 대한 존중을 시작으로 (기존 건축어휘를 최대한 활용) 현대 거주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개입을 진행한다. 자연 재료; 나무소재 바닥재와 하얀 캔버스 같은 벽은 레트로& 빈티지 공간의 바탕이 되며, 현대적인 디자인 요소와 디테일이 접목된다. 과거와 현재가 혼재된 공간, 모던함 속에 레트로 이미지가 강하게 풍기는 하우스는 이곳, 포루투칼을 여행하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장소로 제공될 것이다.reviewed by SJ,오사 Right in the heart of Porto's ..
열린 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하이스쿨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대지의 장소성 존중에서 시작된다. 기존, 오래된 학교와 연접한 새로운 교실 건물은 총 5개층으로 증축, 15개의 교실을 추가한다. 유연한(flexible), 열린 교육환경은 추가된 교실뿐만 아니라 다양한 내부 공간 내에서 생동감 넘치는 공간; 쾌적한 중정, 가로환경을 옮겨 놓은 연결복도에서 학생들의 확장된 소설활동을 지원한다. 이와같은 공용부는 재조정된 역사적인 건물의 입면의 각기 다른 건축어휘와 이를 감싸안은 현대적인 건축어휘의 만남 속에서 이루어 지며 외부환경으로 부터 학생들의 프라이버시와 안전 그리고 쉐이딩을 확보하게 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design brief grew out of a review of the s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