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은 기존의 것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위에 새로운 층을 쌓아가는 일이다." - 피터 줌토르
![]() |
![]() |
![]() |
휘게 카페 파빌리온: 원형 속에 담긴 겸손한 혁신 Dhanie & Sal-Hygge Cafe
휘게 카페 파빌리온의 리노베이션은 기존 구조의 가능성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새로운 재료와 디자인 요소를 도입해 건물에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파빌리온의 가장 인상적인 특징인 원형 구조는 외벽을 감싸는 대리석 타일 마감을 통해 더욱 강조되었다.
이러한 처리는 건물에 깔끔하고 연속적인 형태를 만들어내며, 도시적 맥락 속에서 파빌리온이 보다 명확한 존재감을 갖도록 한다. 원형 구조는 실용적인 이점도 제공한다. 카페 내부에 있는 방문객들이 주변 도시 풍경을 사방으로 막힘없이 조망할 수 있게 해준다. 형태와 기능 사이의 이러한 관계는 파빌리온이 교차로를 마무리하는 겸손하면서도 인식 가능한 랜드마크 역할을 하도록 돕는다.
설계 접근법은 기존 건물의 원래 특성을 완전히 교체하기보다는 함께 작업함으로써 기존 건물을 존중한다. 파빌리온의 주요 골조를 이루는 방사형 철골 구조는 노출된 채로 두어 중심적인 시각 요소로 다뤄진다. 이러한 결정은 파빌리온의 건설 방식을 부각시키고 내부에 원초적이고 솔직한 공간감을 부여한다. 철골 부재들이 중앙에서 사방으로 뻗어나가면서 원형 형태를 강화하고 공간에 리듬감을 더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목재판이 건물 내부 벽면 마감재로 새롭게 활용되었다. 거친 질감과 자연스러운 나뭇결이 미니멀한 내부에 따뜻함을 더한다. 이처럼 간과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하기로 한 선택은 친숙함과 편안함의 요소를 도입하여, 대리석과 철강 같은 더 차갑고 세련된 표면과 균형을 맞춘다. 그 결과 지나치게 장식적이지 않으면서도 접근하기 쉽고 시각적으로 흥미로운 내부가 완성되었다.
거푸집 목재를 보완하기 위해 무광 유리가 사용되었다. 이는 공간의 다른 재료들과 응집력 있는 관계를 유지하면서 바 공간을 중심점으로 규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유리의 반사 특성은 파빌리온 내부의 빛과 상호작용하며, 디자인의 단순함을 압도하지 않으면서도 역동적인 층위를 더한다.
전체적으로 휘게 카페의 리노베이션은 기존의 것을 보존하는 것과 새로운 것을 도입하는 것 사이의 신중한 균형이다. 기존 구조와 함께 작업하고 신중한 재료 선택을 통해, 설계는 파빌리온의 성격을 강화하면서 기능적이고 환영받는 공간으로 남아 있도록 보장한다. 노출된 철강, 재활용된 목재, 대리석, 그리고 무광 유리의 조합은 실용적이면서도 사려 깊게 설계된 공간을 만들어낸다. 원형 형태는 파빌리온의 외관을 규정할 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에게 독특한 공간 경험을 제공하여, 휘게 카페를 도시 건축 풍경의 조용하면서도 독특한 부분으로 만든다.
Write by Claude & Jean Browwn
The renovation of the Hygge Cafe pavilion focuses on making the most of the existing structure while introducing new materials and design elements to give it a new identity. The circular shape of the pavilion, which is its most striking feature, has been emphasized through the use of marble tilework that wraps around the exterior.
This creates a clean, continuous form that gives the building a more defined presence in its urban setting. The circle also offers practical benefits, providing visitors inside the cafe with an unobstructed 360 degree view of the surrounding cityscape. This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function helps the pavilion conclude the intersection as a modest yet recognizable landmark within the area.
The design approach respects the existing building by working with its original features rather than replacing them entirely. The radial steel structure, which forms the main framework of the pavilion, is left exposed and treated as a central visual element. This decision highlights the pavilion's construction method and gives the interior a raw, honest quality. The steel members radiate from the center, reinforcing the circular form and adding a sense of rhythm to the space.
Wood planks typically used as formwork in concrete casting are repurposed as wall cladding inside the building. Their rough texture and natural grain add warmth to the otherwise minimal interior. The choice to use this overlooked material also introduces an element of familiarity and informality, balancing out the cooler, more refined surfaces like the marble and steel. The result is an interior that feels both approachable and visually interesting without being overly decorative.
To compliment the woodplank, the acid glass helps to define the bar as a focal point while maintaining a cohesiv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materials in the space. The reflective quality of the glass also plays with the light within the pavilion, adding a dynamic layer without overwhelming the simplicity of the design.
Overall, the renovation of the Hygge Cafe is a careful balance between preserving the old and introducing the new. By working with the existing structure and making deliberate material choices, the design enhances the pavilion's character while ensuring it remains functional and welcoming. The combination of exposed steel, repurposed wood, marble, and mirrored glass creates a space that feels both practical and thoughtfully designed. The circular form not only defines the pavilion's appearance but also offers visitors a unique spatial experience, making the Hygge Cafe a quiet yet distinctive part of the city's architectural landscape.
FROM ARCHDA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