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또다른 드라마를 목격할 차례이다. 인간과 신을 연결하는 장소; 교회를 현대적인 생활이 투영된 공용공간; 도서관으로 리노베이션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퀘백의 유명 어린이 동화작가 Monique-Corriveau를 위한 헌정도서관으로 이전 교회의 강한 카리스마를 이용, 그녀를 기념하는 상징적 오브제로 탈바꿈 시킨다. 이전 신을 향한 짙은 종교적인 색채는 거대한 메타포를 담아 유동적이며 다이나믹한(동적인) 형상으로; 거대한 텐트와 같은 형상으로 건축적 아름다움과 종교적 공간으로 완성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외형적 특징, 동적인 흐름의 구현은 지면으로 부터 경사지붕을 들려 올리며 그 사이로 내부의 채광을 위한 창문을 수평으로 연속시킴으로써 구현된다. 특히 이러한 건축적 장치를 가능케하는 내부 구조시스템은 거대한..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만나는 접점에 위치한 가로환경의 재구성은 어반컨텍스트의 일부분으로 주민들에게는 쉼표를 도시에게는 다양한 야외활동을 제공하는 구두점을 선물한다. 작은 쌈지공원과 도로변 가로환경 재정비는 차량으로 부터 안전한 보행로 확보를 위해 유연한 선형으로 랜드스케이프되는 조경공간과 주민들의 다양한 야외활동;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쌈지공원의 디자인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쌈지공원에 자리 잡은 거대한 빨대 조형물은 아이들에게는 재미난 놀이터로 어른들에게는 장소에 대한 회상을 떠올리는 기념비로 제공되며 장소의 성격을 부여한다. reviewed by SJ,오사 Hapa Collaborative and Vancouver Park Board consulted with Mount Pleasant residents..
로테르담 중앙역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에서 인상 깊은 시퀀스를 연출하는 캐노피 디자인은 도시와 건축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새로운 캐릭터를 로테르담 중앙역에 부여한다. 1957년 부터 로테르담과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한 교통허브, 중앙역 리노베이션은 새롭게 대두되는 어반라이프의 변화를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도심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주의에 흩어진 어반 컨텍스트를 하나로 묶는 밴드 역활을 수행한다. 이는 역사와 연결된 대형광장을 포함한 주변부의 다양한 공용시설을 하나의 바운더리로 묶는 동시에 커다란 복합문화 공간대를 형성한다. 특히 이러한 건축적 성향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거대한 캐노피 디자인은 이곳을 찾는 승객들에게는 광장과 역사를 연결하는 웰컴 스페이스 이자 건축에게는 도시를 향한 새로운 어프로치로 특유한..
필요는 건축을 만들고 건축은 기능을 구현하는 바탕이 된다. 주차빌딩 프로젝트는 솔라 테크놀로지 AG 생산시설 확장으로 인한 부족한 직원주차공간 확보를 위해 건립. 하이테크놀로지를 구현하는 회사의 이미지에 부합하는 주차빌딩의 외형은 지면에서부터 지붕에 설치된 태양광 전지판까지 연속된 메탈메쉬 커튼월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4층 규모의 주차빌딩 내에는 자동차 561대와 오토바이 23대를 주차 할 수 있으며 지면에 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주차구획이 17개 계획된다. reviewed by SJ,오사 New car park for SMA Solar Technology AG The company SMA Solar Technology AG decided to build the employee car park descri..
청소년을 위한 캠프, 팰리스 오브 스쿨칠드런은 청소년을 위한 쉘터를 목표로 지역 전통의 거주방식 (Khan Shangyrak)의 재해석과 절대주의 (기하학적 형태론을 바탕으로 형태 본질을 탐구한다.) 의 장중한 볼륨의 만남으로 구축된다. - Khan Shangyrak은 카자흐스탄, 유목민들의 전통적인 거주공간으로 가운데 모닥불을 중심으로 실린더형태로 구성된다. 나무를 이용한 골격위에 가축의 가죽을 둘러 완성, 목초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경량화 된 것이 특징이다.- 이와같은 재해석 과정은 센터의 상부에 지름 156미터, 높이 8미터의 대형 실린더 형태를 디자인하며 하늘로 열린 천창과 더불어 내부 아트리움으로 대량의 자연채광을 유입시킨다. 그리고 형태의 구성을 보는 듯한 적층된 '박스'는 청소년들을 위..
그곳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스페인 남부, 지중해 인근에 풍부한 자연환경 속에 작은 파빌리온 하나가 자리한다. 자연과 대지, 그리고 인공적인 건축물과의 관계 속에서 파빌리온의 형상은 형성되고 정의된다. 이것은 오스카 니마이어의 어프로치처럼 자연으로 부터 시작, 다시 자연으로 회귀하는 순환루트로 자연과 동기화되는 지속가능한 건축을 지향한다. 그리하여 선택한 건축 어휘는 자연과 대지위에 개입하지 않으며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연한 글래스로 파사드를 디자인, 외부환경을 조도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하며 적절하게 사라진다. 내부공간은 특별히 프로그램을 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플랜으로 디자인한다. 전시장, 뮤직홀, 커뮤니티를 위한 다양한 이벤트 공간으로 사용된다...
그의 생각을 담다. 자연으로 부터 추출한 요소들은 합성되고 중첩된다. 그리고 이렇게 다시 동적인 에너지를 받아 움직이며 2차원 캔버스에 3차원 공간으로 확장된다. 포루투칼을 대표하는 화가 디르 알폰소를 위한 아트센터는 그렇게 그가 추구하는 예술세계를 담는 그릇이 된다. 이질적인 상반된 두개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예술세계를 구현한 그의 작품처럼 중세의 시간을 간직한 작은 마을 보티카스에 감각적이며 현대적인 외형으로 아트센터는 자리한다. 시티홀과 국제 고속화도로의 교차점을 연결, 협소한 후면과 광활한 전면부를 연결한다. 마을 향한 전면 커튼월과 자연이 연속된 루프가든은 이러한 접점을 백색 콘크리트로 구축된 무균질한 전시장 속으로 유입, 자연스레 그의 작품 속으로 연결시킨다. 아트센터는 그의 작품을 위한 백색..
인테리어 디자인의 첫번째 목표는 기업이미지 고취와 직원들의 쾌적한 업무환경 구축에 있다. 5개층에 연속된 오피스랜드스케이프는 각 레벨공간의 효율적인, 플렉서블한 작업환경을 구축하는 동시에 개별적인 공간의 특성을 투영하는 강한 컬러코드로 디자인한다. 작업자를 위한 선반유닛과 격자천장 디자인 그리고 주요 동선에 반영된다. 직원들의 여가활동 및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공용공간 또한 이러한 흐름을 반영, 긍정적인 분위기를 연속시킨다. reviewed by SJ,오사 Planes of vibrant colour run-through a series of classrooms, call centres and break-out nooks. Adding to its strong online presence, Dutch ..
제주, 나인브릿지에 위치한 '포럼'은 CJ사의 다목적 지원시설로 풍부한 주변 자연환경을 투영, 거대한 인공지반으로 건축과 자연을 경계를 무너뜨린다. 건축물의 컨셉이 잘 드러난 슬로프 루프가든은 지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 및 동선 그리고 장연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연장, 드라마틱한 시퀀스로 주변의 시선을 압도한다. 지붕면을 따라 연속된 상부의 중심에 형성된 거대한 보이드 스페이스는 CJ사의 로고를 형상화하는 동심원 형태로 내부에 위치한 미팅룸과 워크스페이스의 코어 역활을 수행한다. -하늘의 기운을 내부로 전달, 유입하는 소통공간이자 풍부한 자연광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채광공간- 그리고 지하층에는 테니스 및 농구를 할 수 있는 다목적 홀과 미팅룸이 배치, 각종 이벤트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reviewed..
가든을 디자인하는 영감은 아라비아 반도의 고유한 자연과 문화환경으로 부터 파생된 모래언덕, 지역의 전통적인 관개시스템, 오아시스, 베두인의 직물 및 아랍 에미리트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헤자를 모티브로 사용한다. 눈물방울 형태의 랜드스케이프는 지역의 마이크로 기후 조절 기능과 중심상업지역내 거주자들의 다양한 커뮤니티 및 휴게공간 제공을 위한 아웃도어 스페이스; 척박한 기후로 부터 지역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자연공간, 정원의 일부분으로 자리한다. 주변환경의 관계를 반영한 유기적인 배치, 그리고 유기적인 랜드스케이프로 내외부 건축환경을 완성한다. reviewed by SJ,오사 Sowwah Square is the first development within the larger Sowwah Island m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