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나 캠퍼스 법대학동과 대학 관리동 신축은 비엔나 캠퍼스 전체 마스터 플랜 중 하나로 소통을 근간으로 하는 연속된 배움의 장을 목표로 진행된다. 다이나믹하며 생동감 있는 건축물의 외형은 캠퍼스 아웃도어 스페이스와 연속된 공간으로 건축물 중정에 위치한 센트럴 플라자; 어반 랜드스케이프로 확장된다. 내외부의 밀착된 건축은 밝고 볼드하다. 지면으로 부터 그라데이션된 오렌지컬러는 각 레벨마다 다른 스펙트럼으로 이 지역의 팀버루버와 발란스를 이루며 건축물의 외형을 정의한다. 그리고 또한 이 루버 시스템을 통하여 내부공간은 태양의 직사광선으로 부터 자유로워지는 동시에 배움의 공간에 일정한 조도를 유입시키는 채광장치로 사용된다. 여기에 디자인된 외부 랜드스케이프는 이 지역의 자생식물을 통한 고유한 자연환경의 연장은..
소통공간을 지향한다. 70년 지어진 오피스 건축물 내부를 관통하는 14미터 높이의 보이드 스페이스는 각 레벨공간의 물리적인, 기능적인 연결은 물론 내부의 소통을 주도한다. 지그재그, 사선으로 각 레벨을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공간의 시퀀스는 거대한 조각 예술작품의 심미적인 효과를 전달한다. 저렴한 인더스트리얼 테크닉 디테일은 스틸 프레임 스트럭쳐를 감싸는 심플한 플라이우드 시트로 완성된다. 커피 아로마향이 보이드 스페이스를 통해 각 공간에 전달되듯이 소통공간의 구심점으로 보이드/ 계단 공간은 제공된다. reviewed by SJ The office building on the Burgemeester Pabstlaan dates back to the 70's and is centrally located in ..
Vision to make the impossible possible Under the leadership of Prof. Dr Rainier Goebel, the Cognitive Neuroscience department at the Maastricht University (Department of Psychology and Neuroscience) expressed its ambition in 2008 to further expand its name in the field of brain research. The department also wished to offer research groups and external parties the possibility of using advanced re..
An international group of graphic designers have recently responded to the inherent systematicity of Braun Design by creating a poster for the Systems exhibition curated by the incorrigible Dieter Rams' work collectors of das programm,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Braun. The commissioned poster designs as well as a selection of 60's Braun products, that make up the exhibition, will be on view un..
borrowing a basket-like aesthetic from ‘nestrest’, french designer daniel pouzet has presented his latest hanging lounge chair for brand dedon. entitled ‘swingrest’, the outdoor furniture piece draws reference from the high ceilings of dedon’s outdoor living lab island resort in siargao, philippines, providing a tranquil space for hanging over the lake or relaxing on the terrace. featuring a uni..
상반된 두가지 시선을 병합한다. 내외부의 경계를 구분짓는 건축의 당위성은 여기 법원이 상징적으로 추구하는 이미지; 빛과 어두움, 형평과 처벌를 적나라하게 표현한다. 삼각형태의 대지에 맞다 있는 두개의 도로는 두개로 분리된 건축물을 각각 연결하며 대지와 건축물의 공극을 메운다. 이렇게 구분된 건축물; 각 건축물은 평행한 두개의 월로 자신만의 특징적인 얼굴; 파사드를 갖는다. 솔리드와 보이드, 엄격한 규칙과 자유분방한 패턴은 파사드를 디자인하는 상반된 시선으로 광장으로 면한 전면파사드에 법원의 외형적 특징을 두드러지게 표현하는 볼드한 그리드 패턴으로 아이텐티를 구축한다. 또한 이 외피는 법원 내부의 미팅룸을 포함한 사무영역을 외부와 버퍼해주는 동시에 저층에서 부터 수직으로 오픈된 에어아트리움을 형성, 공간의..
당신에게 꼭 맞춘 안식처를 선물합니다. ÁBATON가 제안하는 파빌리온; APH80시리즈는 일반적인 주거의 특징을 함축시킨 미니 하우스로 사용자의 취향,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이동 설치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숲속의 오두막 또는 깊은 곳에 숨겨진 개인적인 은식처은 이번 파빌리온을 디자인하는 모티브로 왠만한 주거 못지 않은 거주환경을 제공한다. 탁 트인 전면창으로 열린 거실과 주방 그리고 더블베드가 준비된 침실로 연속된 리니어한 내부 공간은 어느샌가 외부로 확장되며 거주자에게 또다른 생활 바운더리를 제공한다. -27m2, 약 8평 조금 넘는 내부공간은 이제 거주자에게 어느 단독주택 부럽지 않은 공간으로 변신한다.- 여기에 심플한 박공지붕으로 구현된 외형적 특징은 그레이 시멘트 우드 판넬을 이용 완성..
건축은 내외부 경계에 대한 결과물로 이에 합당한 건축적 어휘가 사용되었을때 비로서 우리는 건축의 미학적 쾌감을 맛 볼수 있다. 다양한 볼륨의 집합체로 구성된 테크니컬 센터의 다이나믹한 외형은 내부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각각 만족시키는 기능공간; 각 공간들의 경계 그리고 접합으로 형성된다.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를 표방하는 내부 프로그램은 저층부에 대형 오픈 워크스페이스를 위시하여 연구실과 락커룸, 미팅룸이 자리하며 이에 상응하는 오피스와 트레이닝룸 및 미팅룸이 상층부에 배치된다. 특히 이번 테크니컬 센터의 건축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외피시스템은 건축물의 효용적인 에너지관리과 내부환경의 거주성을 확보하는 차양시스템; 브리즈-솔레이 으로 아노다이징 처리한 알루미늄 버티컬 루버로 디자인된다. -외부 강렬한 태양의..
중국, 첨단산업개발 단지 정저우에 새롭게 조성되는 어반가든은 지역주민들을 위한 퍼블릭 스페이스 제공을 위해 계획된다. 첨단산업단지의 장소적 의미가 투영된 랜드스케이프 디자인은 포스트-인더스트리얼을 모토로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의 식생을 포함하는 주변자연환경을 재구성한 도시정원으로 조성된다. 보행로를 따라 연속된 랜드스케이프는 도시도로에 면하는 광장으로 부터 유입된 큰 흐름을 따라 조닝, 연속된다. 아이들의 놀이공간이 포함된 드라이 파운데이션과 광장 그리고 다양한 랜드스케이프는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이벤트와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퍼블릭스페이스로 제안된다. reviewed by SJ Located in the Advanced Technology Industries Development Zone of Zhengz..
새롭게 리노베이션된 오피스 빌딩의 인상적인 외형은 전체 건축물의 디자인을 정의하는 무지개 컬러의 지붕 디자인에서 구현된다. 1920년대 공장건물을 새롭게 재구성한 건축물은 200명 수용 가능한 오디토리움과 보드룸, 오피스, 그외 카페 및 레스토랑으로 구성된다. 3층규모의 오피스 빌딩의 주요한 디자인 이슈를 던지는 지붕 디자인은 무지개 컬러의 타일을 접어 붙이며, 보는 이의 시각 차이에 따라 파란색에서 보라색으로 다양한 스펙트럼의 컬러를 구현한다. 이것은 유선형의 건축물을 감싸는 완만한 곡선의 지붕과 더불어 생동감 있는 공간을 생성한다. -관찰자의 시선이 흐를수록 지붕 타일은 마치 용의 비늘처럼 살아서 꿈틀거린다.- 여기에 인상적인 지붕 디자인과 대비를 이루는 외벽면은 클리어한 글래스 파사드와 버티컬 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