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한자리에 공존시키다. 나란히 강을 바라다 보며 두개의 건축물은 자리한다. 하나는 과거의 모습을 -돌로 이루어진 박공지붕형태- 고스란히 간직한 고풍스러운 주거의 모습으로, 또다른 하나는 현대적인 거주공간이 연출된 모던한 건축공간으로 자리한다. 이러한 극적인 대비감은 상반된 두개의 시간을 한자리에 공존시키는 건축 디자인으로 상이한 재료, 시간, 공간, 볼륨을 병렬로 접합 연속시킨다. 그리고 시간에 반응하는 코르텐 스틸의 물성은 이중적인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특성으로 두 건축물을 버퍼하며 연결한다. reviewed by SJ The original structure once belonged to the Hudson Bay Company and had the main entra..
도시의 뒷면을 디자인하다. 폴딩 지오메트릭 파사드는 도쿄 긴자 메인 스트리트에 면한 건축물의 후면부를 디자인한다. 메인 스트리트로 부터 확장된 거리환경은 -가로수길에서 세로수길이 자생적으로 확장되는 것처럼 거리의 네트워크는 확장된다.- 이면도로로 확장되며 증가된 보행자들의 유입을 흡수하기 위한 매력적인 파사드를 디자인하게 한다.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 생성된 불규칙적인 형상은 에어컨디셔닝이 고려된 기능적 스케일로, 그래픽 처리된 알루미늄 펀칭 메탈 판넬을 이용하여 더블 스킨으로 구축된다. 도시의 수직과 수평의 다양한 컨텐츠는 여기 함축적인 건축언어로 귀결, 새로운 랜드마크가 된다. reviewed by SJ a folding geometric facade makes this building by jap..
건축물 중심부에 위치한 리니어한 아트리움을 감싸는 3개의 L자 볼륨은 로우센터가 추구하는 로우스쿨의 상징적 이미지를 투영한다. 여기에 그린톡 -아트리움-은 교실, 사무실, 법률자문실, 법률도서관으로 구성된 내부 프로그램의 상호 연계는 물론 학생과 교수와의 원활한 소통을 지향하는 공간으로 제안된다. 특히 각 공간의 프로그램이 투영된 파사드 패턴은 공간의 특성, 조망, 향이 파사드에 반응한 기능적 디자인으로 적절한 채광을 내부로 유입시킨다. -직사광선은 방지, 내부 조도를 위한 간접광 유입- 각 볼륨이 형성하는 조화 속에 형성되는 하모니는 로우센터를 정의하는 건축언어로 공간에서 장소로, 건축물을 랜드마크화 한다. reviewed by SJ The new home of the John and Frances A..
사가현에 위치한 주거프로젝트는 특징없는 필지 속에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구축하기 위한 건축에서 시작한다. 지면으로 부터 상승하는 폴딩된 파사드는 상층부로 연결되며 자연스럽게 저층부의 전실과 상층부의 중정을 형성한다. 여기에 백색으로 마감된 기본 볼륨과 대비를 이루는 블랙 우드판넬은 폴딩된 파사드를 더욱더 두드러지게 형성하며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구체화한다. 여기에 거주환경의 질 향상을 위한 자연채광과 환기는 파사드를 디자인하는 기본원칙으로 포함되어 디자인의 당위성을 배가시킨다. reviewed by SJ This house was built in the subdivision in Tosu in Saga. A lots of Subdivision was homogenize site, and also houses..
러닝스페이스는 소통지향형 배움의 공간으로 개별적인 집중실과 내부 중심에 위치한 보이드 스페이스 및 인터렉션 스페이스로 구분된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공간구성은 엄격한 그리드 내에 규칙을 내외부 적용하며 두드러진 대비 속에 심플하지만 리드믹컬한 디자인 경향을 보여준다. 1.5미터 간격으로 디자인된 버티컬 핀은 프리케스트 콘크리트를 이용, 벽돌과 유리의 대비감을 연계하는 장치이자, 건축물의 전체 외형적 특징을 정의하는 디자인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앞서 말한 소통지향형 내부 보이드 스페이스와 계단실은 밀집된 내부공간을 원활하게 연속시키는 숨구멍으로 내부공간의 구심점이 된다. reviewed by SJ ORTUS, home of Maudsley Learning is a 1,550sqm pavilion housi..
샵 내부에 배치된 3개의 황금 큐빅은 와치 및 쥬얼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케이스와 VIP를 위한 라운지 그리고 스텝을 위한 백오피스로 구성된다. 고급 시계와 쥬얼리를 취급하는 부티크 샵, Relojería Alemana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주변환경을 흡수, 황금색으로 밝게 빛나는 골드미러로 마감된 큐빅을 스토어에 배치, 절제된 공간 속에 찬란하게 빛나는 보석을 직간접적으로 표현한다. 기능적 파티션 기능을 수반하는 동시에 쥬얼리 부티크의 상징적인 공간을 표현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은 럭셔리 스페이스의 또다른 대안으로 살펴 볼 만하다. reviewed by SJ For the Relojería Alemana, a watch and jewelry boutique in Majorca’s new Puerto Adrian..
버티컬 빌리지, 자연과의 교감의 방향성을 제시하다. 싱가폴에 새롭게 제안되는 공동주거 프로젝트는 38층 높이의 고밀도 복합주거 공간으로 싱가폴을 대표하는 어반하우징 타입폴로지로 제안된다. 고밀집 공동주거의 필요선택인 고층은 주거환경과 자연과의 교감대를 이격시키며 삶의 질을 떨어 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여기 공동주거 프로젝트는 이러한 외부환경을 하부층 단위유닛의 다양한 조합, 구성으로 발생하는 상하부의 잉여공간을 상층부의 테라스로 사용하며 효과적으로 풀어 낸다. 여기에 각각 주거만의 프라빗 발코니 또한 제공된다. 그리고 또한 주변 경치를 감상 할 수 있는 뷰 포인트를 확보하도록 각 주거유닛은 동간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된다. 버티컬 빌리지는 그렇게 새로운 자연교감형 공동주거로 만들어 진다. reviewed ..
문화와 역사의 편린들을 장소에 기록하다. 멕시코 차풀테펙 공원에 위치한 멕시코 메모리얼 파크는 자연생태환경 복원을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사업과 멕시코 폭력사태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공간으로 제안된다. 시간의 기억, 장소에 투영된 시간의 기록들은 희상자들을 추모하는 70개의 코르텐스틸 기둥으로 반영된다. 이러한 공간적 특징은 숲 속에 식재된 나무처럼 -숲은 나무가 모여서 형성되고, 나무는 숲의 자연의 일부분이다.- 시간의 기억을 장소에 심어 우리 삶의 일부분으로 편입, 삽입한다. 시간의 흔적, 공간의 흔적은 그렇게 코르텐 스틸의 재료적 특징과 -산화과정, 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와 물과 접축하며 자신의 성질을 변화시킨다. 물리적 환경에 반응하며 우리처럼 나이를 먹어간다.- 같이 산화되고 장소화된다. 결..
Not every architect would compete to renovate a department-store facade situated between a supermarket and an Applebee’s on a sign-saturated, multilane highway 6,000 miles from home. But in 2008 when Eric Bunge and Mimi Hoang, principals of Brooklyn–based nArchitects, received an invitation from Lebanese high-fashion retailer ABC to submit a proposal to update the south, west, and north exposure..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informed by the sustainable properties of bamboo, these bikes made by belgium industrial designer michael verhaeren were based on buckminster fuller's geodesic domes. incorporating the material properties of bamboo as much as possible instead of steel or aluminum, they are an ecologically-friendly alternative. the majority of existing bamboo bicycle frames are constructed using c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