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프로젝트의 특징은 기존 주거공간과의 연속성을 보장 하는 동시에 개별적인 생활공간 및 휴식공간을 창출한다는 점이다. 대가족과 생활하는 젊은 부부의 사적인 공간 확보를 위한 주거프로젝트는 가족과의 관계, 기존생활공간과의 연계성을 신설된 주거의 측면에서 복도로 연결하며 외형적으로는 전원마을에 유니크한 박공지붕으로 디자인된다. 이러한 외형적 형상은 내부에 설치된 U자 벽을 길이방향으로 연속시키며 V자형태의 지붕 트러스 빔과 연결, 완성시킨다. 건축적 공간의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거주자에게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건축은 그런점에서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상부의 삼각형태의 보이드는 내부거주환경을 쾌적하게 만드는 버퍼공간이다.- reviewed by SJ mA-style architects complete..
미시간에 설치된 라이팅 파빌리온은 실시간으로 주변환경과 상호교감하는 능동형 설치물이다. 초경향 하이버 구성물로 이루어진 천여개의 허니컴 스트럭쳐는 오가닉한 돔형태로, 8 X 4미터의 크기에 40kg의 무게로 구축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파빌리온의 이동성을 보장하게 된다. 그리고 주간에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태양광 시스템을 이용) 이용한 야간 LED조명은 파빌리온의 디자인을 주목하게 만드는 요소로 삽입된다. 무엇보다 이러한 디자인 환경이 단순히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친환경적인 디자인으로 접근, 새로운 타입폴로지를 정의하게 되는데, 그것은 파빌리온에 부착된 CO2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농도에 따라 LED 조명을 반응하게 함으로써 그러한 효과를 생성시킨다는 점이다. 이러한 시각적 즐거..
매력적인 오피스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기존 공간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존중으로 부터 시작된다. 18세기 고풍스러운 빅토리아 양식의 건축물은 이제 사교모임을 위한 프라빗 클럽하우스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오피스로 탈바꿈한다. 여기에 중요한 점은 기존공간의 컨텐츠를 부각시켜 현재 비즈니스 공간에 투영시키는 기능적이며 감각적인 인테리어 디자인이 연속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일례로 건축물 중앙에 위치한 포틀랜드-스톤으로 제작된 계단을 보수, 복원하여 주출입구로 부터 시선을 사로 잡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창출한다. 고유한 인자를 인정하고 그것을 다시 현대 공간 속에 투영한 오피스 리노베이션은 그 가치만으로도 영속적인 깊이를 느끼게 한다. reviewed by SJ Our fascination with cool o..
리싸이클 실크 체어의 최대장점은 단순히 낭비되는 자원의 재활용이 아니라 내부공간을 유연하며 유쾌하게 만드는 디자인에 있다. 네팔로 부터 공수해온 실크 조각과 아메리칸 오크로 만들어진 체어는 그 특유의 유쾌한 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는 안락함을,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한다. reviewed by SJ Fabric waste into the end material… This ecological furniture family consist of chair, ottoman and stool which are made of American white oak and recycled silk yarns from Nepal. The ethnic-inspired design aims to bring..
한때 산업단지였던 지역적 장소성은이번 프로젝트를 통하여 새로운 도시공간으로 변모한다.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중 건축을 구축하는, 건축을 도시와 관계를 맺게 하는 사회성, 공공성, 재료와 문화는 이번 프로젝트의 콘도호텔과 주거형 호텔를 구성, 배치하는 주요한 인자로 사용된다. 먼저 콘도호텔은 북측에 위치한 대학과 마주하며 도시축을 따라 배치, 2동의 건축공간 속에 96개의 유닛과 172개의 룸으로 구성된다. 주거형 호텔은 그외 5개동에 분산 배치되며 저층부의 연속적인 공용공간 띠와 녹지공간으로 링크된다. 5개층에서 7층까지 다양한 높이의 건축물은 각 유닛의 개별적인 발코니와 내부공간의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한 파사드 패턴과 더불어 씨티스케이프를 형성, 조화로운 건축단지를 완성한다. 개별적인 공간확보..
도시와 자연을 연결하는 트위스트 브릿지는 실질적인 동선의 연계는 물론 상징적인 오브제 역활을 수행한다. 정형화 되지 않은, 오가닉한 자연의 형상은 가파른 협곡사이에 놓여진 브릿지를 디자인하는 주요한 컨셉으로 간결하면서도 함축적인 건축언어로 브릿지의 형상을 대신한다. 그리하여 탄생한 트위스트 브릿지는 거슬리지 않은 이질적이지 않은 형상으로 자연과 동기화되며 고유한 캐릭터로 새로운 장소성을 정의하게 된다. reviewed by SJ austrian architecture firm marte marte architekten designs the schanerloch bridge after the common form of the stone arch, minimizing it to a tangential cur..
미로아파트먼트, 씨티스케이프에 새로운 타입폴로지를 제안하다. 원룸과 투룸으로 구성된 총 32개의 유닛은 도시와 건축의 관계속에서 발현되는 각 요소들을 함축적인 건축 다이어그램으로 도식화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각 유닛들을 조합하는 규칙으로 아파트먼트의 파사드를 디자인하는 주요한 컨셉으로 사용된다. 총 5개층 높이의 볼륨 속에 자리 잡은 각 유닛들은 앞서 말한 다이어그램을 따라 각기 다른 입면, 평면(발코니)로 정의되며, 단조로운 도시풍경을 변화시키는 건축적 요소로 도시와 관계를 맺는다. 여기에 중요한 점은 건축가, 디자이너의 자의적인 해석에 따라 구현되는 디자인형태가 아닌 도시속에 건축이 지향해야할 공공성, 장소성을 포함한 합리적인 건축이 수반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거주자의 쾌적한 주거환경 확보..
Prague’s Karlin 지역에 위치한 오피스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효율적인 비즈니스 환경과 쾌적한 거주환경 확보를 목적으로 시작된다. 역사적인 두동의 산업건축물을 연결하는 상부 트러스 구조물은 이러한 공간확보를 통해 플렉서블한 업무공간을 확보 오픈플랜의 장점을 극대화 한다. reviewed by SJ The scheme by Ricardo Bofill Taller de Arquitectura includes the renovation of two historical industrial in Prague’s Karlin District. One of these halls houses Economia publishing house: An open plan floor plate of 1,800 sqm p..
copenhagen-based audio company libratone has unveiled ‘loop’, their latest series of portable speakers, which deliver crisp stereo sound and wireless streaming capabilities. working remotely with an iPad, iPhone and android or mac/PC, the device is enabled with airplay or DNLA. the wall-mounted speaker can also be used without a Wi-Fi network, connecting to libratone’s ‘playdirect’ technology, w..
역사적인 바로크 파사드 디테리의 재해석. 현대생활의 다양한 편린들에 집합체인 도시, 그리고 이 도시의 응축된 에너지가 담긴 도시의 단면들. 여기 주차타워 파사드 프로젝트는 이러한 단면들을 4중 레이어로 겹치며, 2차원 패턴에서 3차원 패턴으로, 면에서 공간으로 파사드를 디자인 한다. 재해석된 바로크 양식은 현재 비엔나의 거리를 재해석하는 디자인 수단으로 자동차를 위한 단순한 주차공간이 아닌 도시를 이야기하는 어반 컨텐츠의 일부분으로 귀결된다. -주야간 다른 방향으로 공간은 확장된다. 어쩌면 빛과의 관계성으로 방향성은 결정된다. 주간에는 외부로 부터 내부로 태양에 반응하는 패턴의 그림자가 내부에 다양한 공간감을 형성, 야간에는 내부로 발산하는 불빛이 패턴과 반응하여 도시를 밝히는 어반등대로 변화한다.-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