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hir' by french company 'trust in design' is a 9’’6’ longboard with an original shape - ideal for nose-riding enthusiasts. 'menhir' comes from the french word meaning 'standing stone' and the board is reminiscent of old pictures of pioneering riders, standing proudly next to their masterpiece. along with its unique form, the integration of an all-over mineral pattern, is embroidered directly ..
Japanese designer Taiji Fujimori has designed a miniature paper chair, armchair and sofa, one-fifth the size of standard furniture pieces "Do not sit on this chair, but use it to accommodate other small items," suggested Fujimori, showing the models used to support small items like keys, spectacles or ornaments. The scaled-down furniture is made by folding and tucking a pre-cut sheet of paper to..
a series of shells constructed of a single catenary curve repeated, rotated and enlarged, designed by SHJworks forms 'the velvet state', a temporary facility for the exploration of sensuous society composed of 10 archetypes for the 2013 roskilde festival in denmark. since its conception in 1972 the event has promoted international cultural experiences of music and the creative arts. throughout t..
비스한 공용도서관의 다이나믹한 파사드 디자인은 플레이, 디스커버리를 통한 교육환경 구축에서 시작된다. 천창 및 다양한 컬러글래스 그리고 리딩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환경-빛을 포함한다-은 수량이 풍부한 거대한 나무 그늘아래에 필터링된 공간같이 독특한 반중첩 공간을 형성시킨다. 건축물에 독특한 외형을 형성하는 리딩포트는 캔틸레버 스트럭쳐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며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소그룹 회의, 독서, 놀이, 휴식, 쉘터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플렉서블하게 제공된다. 거대한 나무그늘 아래, 시원하게 펼쳐진 평상위에, 배깔고 누워 한가로운 오후를 즐기는 상상을 해본다. reviewed by SJ The metaphor of a tree house was invoked from the onset..
빠르게 변화하는 라이프 스타일의 패러다임을 투영한다. 밀도 높은 도시 거주환경에서의 숨구멍을 제안하는 아파트먼트에 위치한 풀장은 도심 속 수평적 공간의 한계를-고밀도 도심에서는 아웃도어 퍼블릭 스페이스가 상당 부분 제한된다.- 수직의 켜로 비켜 나가는 제스쳐를 던진다. 물리적인 한계 -시간, 거리, 비용, 평온한 휴식을 얻기 위해 도심 외곽으로의 이동-를 새로운 공간 구성으로 극복한다. 게다가 도시의 풍경을 바라다 볼 수 있는 뷰포인트의 제공은 이곳을 이용하는 도시인들에게 지친 삶의 여유를 되찾게 해주는 활력공간으로 완성된다. reviewed by SJ Bangkok has changed. So have her people. In the past, we may prefer to live in small ..
도시의 레이어를 적층하다. 하늘을 담는 그릇으로 오사카 이바라키시에 위치한 공공임대주택은 변화하는 지역적 특성; 도시 재개발 사업으로 산업지대의 확장과 대학의 개발 사업으로 발전하는 도시구조- 을 반영한 새로운 어반 아이콘으로 제안된다. 주변에 위치한 건축물들의 규모-4~5층-와는 구분되는 10층 높이의 수직성, 그리고 백색의 선명함과 독특한 건축외관을 형성시키는 발코니는 건축물를 장소 속에 두드러지게 한다. 특히 저층부에서 상층부로 올라 갈수록 와이드해지는 발코니의 개구부는 각 레벨의 뷰포인트와 어반레벨을 매칭 시킴으로써 지면에서 도시로, 다시 도시에서 자연-하늘-으로 확장 시킨다. -2~4층까지는 싱글을 위한 원룸형 주거가 계획되며 5~10까지는 가족을 위한 2LDK 및 3LDK, 주거형태가 계획된다..
퐁피두 센터와 로이드 빌딩으로 유명한 리차드 로저스의 지난 1980년대 작품을 살펴봅니다. 웨일즈 뉴포트에 위치한 인모스 마이크로프로세서 팩토리는 마이크로 칩의 정교한 생산과정에서 요구되는 공간?-clean and controlled space-을 목표로 디자인 됩니다. 그리고 여기에 생산 운영 방식에 따라 확장이 용이한 공간적 특징이 추가적으로 요구됩니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 시키기 위한 건축은 일련의 건축가가 진행해온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디자인으로 -하이테크놀로지가 반영된 건축공간의 진보- 길이방향으로 40미터에 달하는 무주공간의 연출과 내부공정에 따라 확장이 용이한 모듈화 시스템이 구현됩니다. 건축물 중심부를 베이스로 하는 스틸 트러스 스트럭쳐 시스템은 프리캐스트 공법이 적용된 모듈화 유닛으로 ..
중국 베이징의 새로운 도시문화를 투영한다. 도시 문화와 상업 그리고 쇼핑이 결합된 복합문화 공간, 갤럭시 소호는 2012년 말에 오픈된 건축공간으로 커다란 4개의 메인 볼륨-돔-과 그 볼륨들이 형성하는 내부 중정으로 형성된다. 도시공간의 레이어를 표현하는 호르젠탈 스트라이프는 전체 건축물의 외형을 감싸고 돌며 고유한 캐릭터를 구축하며 내부에 계획된 리테일샵, 오피스, 레져 스페이스의 유기적 관계를 유지시킨다. 여기 또한번 거대한 랜드마크가 탄생한다. -개인적으로 자하씨를 좋아 하지 않는다. 동대문에 지날때마다 한숨 쉬어지는 거대한 XX무더기를 보고 있노라면...- reviewed by SJ Take a tour through the spaces of Zaha Hadid's Galaxy Soho compl..
서커스 그 화려한 쇼가 시작된다. 새롭게 문을 연 수블라키-그리스식 꼬치구이- 레스토랑, Biribildu는 서커스를 모티브로 디자인 된다. 화려한 색채와 감각적인 그래픽 디자인 그리고 서커스를 연상시키는 다양한 소품들의 배치는 레스토랑의 캐쥬얼한 이미지를 형성시킨다. 특히 홀 중앙에 위치한 목마 오브제는 서커스를 연상시키는 회전목마를 단편적으로 표현한다. 여기 레스토랑은 캐쥬얼하면서 또한 경쾌하다. 그리고 유쾌하다. 수블라키의 특징-패스트 푸드, 회전식 꼬치요리-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reviewed by SJ Biribildu is a new souvlaki restaurant in the Alimos (or Kalamaki) area of Athens. The quirky design of the ..
멕시코 12번째 국제공항 터미널, 산 호세 델 카보 공항 내에 위치한 리테일샵 디자인은 국제적인 공항의 위상에 걸맞는 세계적인 인테리어 디자인을 통하여 공항만의 아이텐티한 공간을 구축하는데 의의가 있다.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에어로다이나믹한 형상을 기본 컨셉으로 시작되는 인테리어 디자인은 내부에 식생된 다양한 식물군들과 자연채광을 유도하는 커튼월 시스템-내부의 풍부한 채광확보- 디자인과 더불어 유니크한 패턴이 감각적인 공간감을 연출하는 VIP라운지의 파사드 월로 구성된다. 특히 전체 내부공간에 흐르는 에어로다이나믹한 디자인은 백색이 주는 모던함 속에 감각적인 곡선들의 집합으로 각기 다른 리테일 샵의 메인컬러와 재료, 스타일을 돋보이게 한다. reviewed by SJ AeroShops: Commer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