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건축을 연결하는 4개의 라인, 그리고 그 정점에 서 있는 자연의 선물.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지는 나즈막한 언덕위에 와인너리는 자연의 선물을 생산하는 공간답게 주변과의 조우를 첫번째로 시작된다. 와인너리의 건축적 특징을 잘 나타내는 리니어한 월은 서로 다른 방향, 서로 다른 길이로 자연을 건축물 내부로 유입시키며 4개의 분할된 공간을 형성시킨다. 저층부는 와인생산을 위한 주요 공정으로 공간이 구성, 와인숙성실과 제조실 그리고 보관실로 구성된다. 그 상층부에는 길다란 복도를 따라 연결되는 시음실과 사무실로 구성되며 전체 와인너리를 완성한다. 그렇게 자연은 공간을 만드는 기준이 되고, 공간은 와인을 만드는 기준이 된다. reviewed by SJ A sequence of four parallel con..
글래스 오피스. 유리와 거울 그리고 그안에 담긴 공간들. 상하이에 위치한 소호 오피스는 공간의 반사, 투영, 오버랩되며 다양한 공간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공간의 다양성은 유리를 사용하며 극적인 디자인 연출방법으로 구현되며,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공간이 깊어지고 얕아지는 시각적 경험을 이끈다. 특히 유리 넘어로 투과되는 내부의 기존 벽체, 바닥, 천장면과 외부의 광할한 상하이 시내의 풍경은 오버랩된 내부 공간과 조우를 이루며 드라마틱한 환경을 조성한다. reviewed by SJ An all glass and mirror inner cladding exposes the infrastructure of SOHO's new office building in Shanghai. The glass creates m..
도시와 고속도로를 버퍼하는 방음벽은 단순히 소리와 시각을 차단하는 장치가 아닌 도시를 소개하는 '웰컴 사인' 입니다. 다이나믹한 조각같은 보행자 브릿지를 포함하는 방음벽 시리즈는 총 3개의 파트로 구성됩니다. 먼저 2km구간에 설치된 메인 시리즈는 콘크리트 기초위에 오스테나이트 스틸을 이용, 리드믹컬한 웨이브로 디자인 됩니다. 그리고 두번째 시리즈는 반투명 아크릴 위에 디지털 신호를 입력, 점멸하는 LED로 생동감 있는 디지털 패턴이 표현되는 아크릴 방음벽으로 디자인 되며, 세번째는 기존 방음벽에 가비옹을 이용, 리뉴얼한 시리즈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이번 프로젝트의 하일라이트인 보행자 브릿지는 고속도로로 인하여 단절된 두개의 영역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매개공간이자 이방인에게 도시를 소개하는 어반게이트로 ..
야외 경기장 한켠, 시청 소유의 유휴지에 새롭게 리노베이션된 스포츠 시설은 건축본연의 기능과 합리성 그리고 경제성에 지향점을 목표로 디자인 된다. 이것은 두가지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기능적 공간 창출로, 저층부에는 체육시설에서 필요로 하는 체육보조 시설들 -탈의실 및 락커-과 2층에 시청에서 필요로 하는 창고 및 다목적 실을 확보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들을 구획하는 불투명한 외피는 경제적인 건축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자 이번 프로젝트의 캐릭터를 정의하는 디자인 요소로 내부 보이드 스페이스의 컬러풀한 생동감과 더불어 새로운 타입폴로지를 정의하며 건축물을 완성한다. 건축재료로써 폴리카보네이트는 그 특유의 반투과성, 비물질성 뿐만아니라 경제적인 건축환경을 제안하게 한다는 큰 장점을 갖고 있다. 물론 기타 재료..
헤이그시에 위치한 아메리칸 스쿨은 230명 가량의 3~6세 어린이들을 위한 복합교육공간으로 기존에 위치한 16세기 농장을 리노베이션하여 환경과 자연을 통합하는 건축환경을 조성한다. 아이들을 위한 보육시설, 12개의 교실, 체육관 및 다목적실로 구성된 2동의 건축물은 내부 채광을 위한 천창 및 창문을 제외하고 목재를 이용하여 아늑하면서도 포근한 친자연적인 공간을 구성한다. 여기에 지역적 건축의 흔적을 반영한 박공지붕은 내부공간의 효율적인 유효높이를 확보하는 동시에 -지붕 사면에 천창을 설치, 내부 조도를 확보한다.- 스쿨의 건축적 캐릭터를 구체화하는 디자인 요소로 계획된다. reviewed by SJ Rotterdam-based architects Kraaijvanger designed a barn-lik..
시간과 장소와 그리고 사람을 연결한다. 뱅쿠버 서측 해안가에 위치한 고급단독주거의 시작은 지역적 문맥 -1950년대부터 시작된 건축 스타일-이 투영된 열린공간에서 시작된다. 지역 건축특성을 현대적 공간으로 재해석한 주거공간은 내외부가 밀착된 건축을 통하여 발현되는데, 이는 건축가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컨셉으로 지향하는 '캐나디안 오두막' 과 '모던 글래스 하우스'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병합, 버무려 외부로 열린 통섭공간으로 구축하면서 구현된다. 이러한 건축은 우드 스트럭쳐가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포스트 앤 빔 구조와 확장된 글래스 월, 오픈 플로어 플랜, 플랫 루프, 그리고 자연그대로를 닮은 자연 목재의 사용으로 캐릭터를 구체화 한다. 이를 통해 건축주가 요구하는 바다의 아름다운 풍경을 조망 할 수 있는 자연..
건축가팀 DIALOG가 추구하는 건축목표는 주변환경, 랜드스케이프와 통섭되는 지속가능한 건축 공간 속에 교수, 학생들간의 다양한 커뮤니티를 보장하는 배움의 장을 생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건축의 시작에는 에너지흐름을 효과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건축시스템, 액티브 디자인과 주변환경과 건축과의 관계를 정립하는 패시브 디자인으로 부터 시작한다. 특히 내외부의 2,600스퀘어미터, 5층 크기의 건축물을 감싸는 외피, 글래스 커튼월은 이러한 테마를 능동적으로 구현하는 디자인 요소 "사이언스 온 디스플레이"로 효과적인 채광과 환기를 만든다. 이를 통해 내부의 모든 실은 자연, 외부환경과 밀착되며 설비에 의한 공조, 냉난방을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며 효과적인 에너지 세이빙 건축물을 구현한다. 리드 플래티넘 빌딩은 아무렇게..
사이공간 찾기. 우리 도심지 건축물 사이에 이격된 공지에 불법으로 세워진 건축물을 보는 듯한 시퀀스는 오사카 중심부에 새롭게 들어선 약국 프로젝트을 바라보는 첫 시점이다. 이전 농로로 사용되었다가, 2차세계대전 이후 십수년동안 불법 건축물의 자리였고 철거되어 이제는 주거단지로 변모한 대지의 역사적 컨텐츠는 대지의 리니어한 형상만큼이나 지금 매시브한 건축물로 둘러 쌓여진 주변환경만큼이나 유니크하고 특별하다. 이제 이러한 대지를 따라 스틸 박공지붕과 우드프레임으로 구조화되는 리니어한 약국이 들어선다. 전면공지 이격거리를 지키며 -두 건축물의 사이공간을 배려한다.- 단층으로 최소한의 볼륨으로 신축되며 현재 대지가 담을 수 있을 량만 건축물에 담아 낸다. 어반 보이드를 바라보는 또다른 시각, 그 속에서 우리는 ..
conceived by emmanuelle moureaux for the shinjuki creators festa 2013, '100 colors'--whose title indicates the number of hues the designer has integrated into the work--features more than 840 sheets of paper that are suspended from the ceiling, creating a volume of rainbow colors that float in the air. emmanuelle has chosen the 100 colors from inventory of takeo, a japanese paper manufacturer wh..
Bench are Workstations dedicated to Mobile Workers such as salesmen, consultants, auditors, etc. People that use their workplace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and sharing it with others.The workplace solution offers easy access to power and data network, for computers and accessories, mobile chargers and other devices allowing to customize own privacy with front and/or lateralscreens. This wor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