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따듯함이 느껴진다. 나무로 마감된 내부공간은 거주자에게 편안함과 온기를 전달한다. 복층으로 구성된 내부는 단순하면서도 조직직이다. 차갑지 않다. 공간 속에 비움과 쉼자리를 만들어 주며 거주생활을 만족시킨다. House Hm is a minimal residence located in Osaka, Japan, designed by Hideo Arao Architects. The site is in a section of a residential area located on a gentle slope between the Funahashi and Hotani rivers , which flow through Hirakata in Osaka Prefecture. Raising the ground lev..
지역기후와 자연환경을 고려한 하우스가 완성됩니다. 덥고 습한 열대기후 속에 건축은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차양 및 공간과 자연환기를 통해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열린 공간을 계획합니다. 콘크리트를 구조 바탕으로 우드재질의 마감재가 편안한 거주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수평요소인 바닥 및 지붕과 수직요소인 기둥은 단순하면서도 직설적으로 구조화 되어, 미니멀 건축의 모습을 그립니다. There are very few walls in this house in rural Bangalore, designed by architecture and design studio Taliesyn, so that residents can enjoy the tropical landscape surroundings. Named Ksa..
경사지에 있는 전망 좋은 장소에 건축은 어떤 방향으로 해야 할까요? 첫번째는 지형지물에 순응하는 건축을 합니다. 비탈면을 따라 건축물의 방향을 위치시킵니다. 두번째는 외부 자연환경과 최대한 호흡하기 위한 장치를 계획합니다. 건축물의 방향에 직교하는 (비탈면에 직교하는) 각 공간마다 연결 지점을 갖는 데크를 반영합니다. 그리고 이 데크를 구조화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드)를 완성합니다. How can we place a house on a steep hillside? This was the main challenge with the VG house project, where its functionality and its placement and construction were conditioned by ..
현대적인 거주공간 속에 두가지를 접목한다. 하나는 로컬거주 문화 양식을 삽입한다. 두번째는 손으로 만지고 느껴지는 공간마다 텍스쳐를 느낄 수 있는 재료를 정성스럽게 디자인하여 설치한다. 이렇게 합쳐진 인테리어는 전통적인 일본거주 공간을 현대의 장소에 재해석하여 삽입하는 작업으로, 오랜시간동안 몸에 베어온 거주습관을 표현한다. 이로써 낯설지 않은 공간 속에 편안함과 안락함을 완성한다. ichijo-toma is an apartment renovation in meguro, tokyo by and for the founders of kooo architects, focused on an enjoyable and comfortable japanese-styled way of living. the archite..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MVRDV가 설계한 로테르담 항구의 새로운 전시장 계획안은 방문객들에게 최대한 경험을 위한 장소와 장면을 제공한다. 각 층의 사각평면은 외부 동선을 따라 비틀어지면서 독특한 외형을 생성한다. 이는 방문객과 건축사이의 접점을 최대한 넓히는 작업으로 공간적 경험과 시각적 경험을 동시에 만족시킨다. with a design that prioritizes functionality and circularity, MVRDV reveals its scheme for a new exhibition space and visitor centre at rotterdam port in the netherlands. the ‘harbour experience centre’ comprises five st..
현대적인 건축물 안에 감추어진 고전적인 목조건축의 앙상블이 시공간을 불분명하게 만든다. 기존 장소에 대한 존중으로 오래된 목조건물 자체는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역사와 시간을 소개하는 전시물이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는 현대적인 외관과 목조를 연결하는 중간계 역활로 모호한 건축을 적색컬러를 통해 정리한다. The project draws inspiration from imagery uniquely associated with Fuzhou: the Jinshan Temple. This is a rare example of a temple structure built in the middle of a river in China. John Thomson was one of the first photograp..
가구와 일러스트레이션의 콜라보. 바스크 가구회사의 트레쿠 10주년을 기념하는 일러스트레이션 입니다. 총 3가지 판화 한정판으로 제작되었고, 그림은 조르헤가 담당했습니다. 모던하면서도 심플한 가구의 이미지가 레트로풍의 그림체 속에서 재구성됩니다. basque furniture company treku is celebrating the tenth anniversary of ‘aura’ — a collection of wooden sideboards and containers full of subtle details — with a limited edition of three prints by illustrator ricard jorge. ‘aura collection’ took shape as a serie..
자연과 최대한 밀착하기 위해서, 내외부의 간극을 최소화 한다. 켜 자체를 인지 하지 못하도록 투명한 막으로 처리한다. 거대한 판형 지붕아래, 오픈플랜으로 구성된 주거내부는 제로레벨을 기준으로 마이너스 레벨에 정주공간을 위치시킨다. 오히려, 동선을 제로 레벨에 위치시킨다. 셀터역활을 위해, 조금의 엄폐를 설치한 것일 수도 있고, 말 그대로 불필요한 간섭이 일으키지 않도록 시야에서 사라지게 만들어 버린 것일 수도 있겠다. 의도는 그렇지만, 집의 구실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는 사용자에게 물어봐야겠다. This rural Japanese house by Suppose Design Office features sunken rooms and see-through walls, designed to allow resi..
미래지향적인 이미지와 엘레강스한 분위기가 함께 보인다. 플래그쉽 스토어가 표현해야 하는 선두적 이미지와 위상을 함께 고려한 결과로 보인다. 특히 방문객들에게 소비지향적인 공간의 성격보다 체험공간으로써 공간을 제공하는 점이 흥미롭다. 제품을 소개하는 영역보다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듯 하다. Located at 9 Boulevard des Capucines, just around the corner from the Place de l’Opéra, Huawei’s first flagship in France represents 900m2 of elegant modernism –a perfect combination of Haussmannian spirit and contemporar..
비스마크 하우스는 거주자의 생활방식을 그대로 담아 표현한다. 구조적 역활과 마감을 함께 수행하는 콘크리트는 약간의 표면처리를 거쳐 거주공간에 사용된다. 그리고 바탕으로 처리된다. 바닥에서 천장까지 열린 외부창호는 남측으로 열려, 집안 내부 깊숙히 채광을 유입시키는 동시에 외부로 열린 조망을 확보한다. 거칠게 처리되고, 표현된 듯 하지만 거주자에게는 직설적이 화법으로 따뜻하게 제공되는 거주공간이다. The Bismarck House is the younger sibling of a pair of semi-detached dwellings in Bondi. The design uses raw materials and sculpted spaces to integrate house and garden wh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