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nch practice Bertrand Guillon Architecture has made the most of extra height at the front of this shop in Marseille when transforming the interior into an épicerie.Located on the French city's Vieux Port waterfront, the La Sartine delicatessen, cafe and caterer is on the ground floor of a typical Hausmannian building with a double-height entrance.The team reconstructed a mezzanine floor to fi..
이번 프로젝트는 태국에서 주말 방문객이 가장 많은 곳 중 하나인 카오 야이 국립공원의 경계 근처 박 종 지구에 위치해 있다. 이 곳은 건축의 두 가지 형태로 주로 구성되어 있는 축복받은 휴가 도시인데 하나는 언덕의 풍경에 접근이 용이한 넓은 입구로 미리 선점하였다는 점과, 서부 건축술을 모방한 미학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노란잠수함 커피 탱크가 소유하고 있는 것은 뭔가 좀 다르다. 이곳에서 실현된 건축양식은 자연과 매우 대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장소와 환경과 사실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변 환경 자체가 건축에 있어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되고 있고 공간이 건축을 향한 사람들의 인식과 태도에 새로운 인식을 추가하는 동안, 기억에 남을만한 건축 공간..
스튜디오 Modijefsky가 설계한 암스테르담 동부 Botanique 바는 예전에 현지 네덜란드식 카페에서 탈바꿈하여, 레스토랑의 모습에 신선한 녹색의 인테리어를 더함으로써 열대의 풍경을 추가했다. 다문화 지역인 Javastraat에 인접한 위치의 특성 상 Botanique 바 카페 Tropique는 이른 아침부터 늦은 저녁까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이중의 높고 큰 창문이 내부와 그 주변을 직접 연결하고 있고 풍부한 일광을 흩뿌림으로써 내부와 그 주변 사이의 직접적인 경계를 만들어내고 있다. 창문은 디지안과 인테리어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고 거울은 천정에서부터 빛과 풍경을 반영하고 있다. 카페 반대편으로 지나가는 열차는 컬러와 직물, 거울과 더불어 벽 뒤편에 캡쳐된 반짝거리는 반사를 만들어 ..
원래 디자인 스튜디오는 특이한 공간구성과 직사각형 플롯을 한 중국의 스타벅스 매장을 생각하고 있었다. 상하이 푸시 시에 위치한 2010년 세계 박람회 개최 후 문화 창조의 영역으로 부상한 이 지역에 레스토랑을 오픈하였다. 중앙에 하나의 나무를 두고 외부 안뜰 주위로 조성하는 대칭 계획을 세웠다. 강철 계단은 카페의 확장영역 역할을 하여 옥상 테라스로 연결된다. 여기에 오르면 주변 지역을 향한 전망이 펼쳐지게 될 것이다. 내부적으로 레스토랑은 최대한 공간적 유연성을 제공하면서도 천정 유리를 통해 가게 내 최대한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original design studio has conceived a starbucks store in china that occupies its rectang..
일본 특유의 간결함은 일체화된 벽과 진열장으로 디자인된다. 일정한 배치된 30by40 각재와 그림자는 질서정연한 단순함으로 정제된 분위기를 조성한다. 고객들을 위한 싱크의 반무광 마저 그 분위기를 함께 한다. torafu architects have shared their latest interior design of aesop sendai in japan. having already realized a store in osaka, this one is distinguished by the slatted timber panel system that wraps and forms the walls which have been used create a warm and inviting atmosphere to ..
원재료가 전달하는 물성의 특징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공간을 정의한다. 폴리카보네이트 판넬 (우리나라에서는 렉산골판) 위 밝은 은색으로 도장, 전체적인 빈티지 공간의 감성을 담아낸다. 현대적인 약간의 세련됨도 함께 한다. architecture in china: located in beijing, ‘lucky bar’ was originally a ramen shop that has been adapted into a BBQ bar by robot3. with a total area of only 52 square-meters, excluding the kitchen, the project features narrow spaces, a limited budget and a poor location. g..
Representing Vienna’s burgeoning culinary scene, Lingenhel is a new multifunctional space restored by local interior design firm Destilat to reflect its former glory as a 220-year-old heritage-listed manor house. Having presided over some of the city’s most exciting restaurants including Pohl am Nashmarkt, Johannes Lingenhel has launched an urban food workshop, as he likes to call it, that combi..
‘urby staten island’는 경험과 커뮤니티에 촛점을 둔 뉴욕의 주택단지인데, 북부 해안가에 위치한 이 곳은 3천 5백 평방피트에 900채의 아파트가 있는 대규모의 새로운 건축개발지역이기도 하다. residential development 는 부동산업체와 건축인테리어디자인 업체로 컨셉화되어 있어 더 나은 임대주택을 제공하고자 하였고, '현대적인 도시 주택'이라는 컨셉을 기반으로 스튜디오, 원룸 또는 투룸 아파트들이 있다. 각 아파트는 빌트인 벽장과 창고, 책장 등이 갖춰져 있고 부티크 레스토랑과 가게들도 선별하여 입점할 예정이다. ‘urby staten island’ is a residential development in new york that places a strong emphasis ..
재미있는 지점이 발생한다. 긴자거리 소니빌딩 지하 주차장 내부에 새로운 방향의 상공간이 제안된다. 파킹의 언어적 유희; 주차를 의미하는 파킹을 park + ing로 떨어뜨려, 다른 의미의 공간을 생성한다. 기존 주차장을 모호하게 만든 틈으로 새로운 컨셉 스토어; 카페, 갤러리, 크고 작은 상점을 제안한다. 디자인 또한 주차장이 지향하는 기능적;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을 따라 계획된다. 공간의 성격상, 임시공간으로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재료가 적용된다. occupying a parking lot inside the sony building in the popular district of ginza in tokyo. nobuo araki/the archetype has adapted the industrial s..
서울 desi_architects는 서울 중심에 위치한 노후된 한국 전통 가옥들을 리노베이션하여 예술공간이나 카페, 바 등으로 만드는 작업을 해왔다. 600년 이상 서울의 중심이었던 종로는 소위 '한옥'이라고 부르는 한국 전통가옥과 그림같이 아름다운 좁은 골목으로 가득하다. 그 중 익선동에서 desi_architects 는 인접해있는 4개의 한옥을 '식물'이라는 이름의 다목적 공간으로 탈바꿈 시켰다. 이 곳은 전통적인 한국의 건축이 지닌 특징과 분위기에 현대적 감각을 더하면서 이 지역에 새 생명을 불어넣었다. Seoul based studio desi_architects have created an art space/café bar by joining and renovating four aging 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