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도서관에 들어와 있는듯 하다. 일본 도쿄에 위치한 도서관을 닮은 코스메틱 스토어는 기업이 추구하는 오가닉 및 지속가능한 생태환경 추구를 위한 디자인을 제안한다. 불필요한 과도한 화장과 미용을 걷어낸 순수함은 미니멀(건축어휘)을 사용한 인테리어에 투영되며 제품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어필한다. 이러한 환경은 가지런히 배치된 책장들을 통해 완성된다. reviewed by SJ,오사 Beauty products are displayed on rows of shelves arranged like a library inside this Tokyo cosmetics store by Japanese design studio Nendo. The studio, led by designer Oki Sato, creat..
바로셀로나 마켓 리노베이션 프로젝트건축스튜디오, 마테오(mateo arquitectura)의 최근작 el ninot마켓 리노베이션을 통해 도심 내 분산되었던 시장을 통합한다.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입지적 특징은 물론 차후 중요한 노드점으로 도시구조에 포함된다. 지속가능한 상업공간의 시작 디자인의 첫번째 단계는 스틸 스트럭쳐로 이루어진 기존 건축물의 캐릭터 유지로 부터 지속가능한 환경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내부공간은 메인 포이어(대형홀)을 중심으로 전체 동선과 프로그램을 배치하며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고려한 천창 및 입면 계획을 함께 수행한다. 파사드와 루프 캐노피는 이러한 자연채광 확보를 위해 재구성,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한 태양의 복사에너지(열과부를 유발하는 열에너지 조정) 방지와 일정한 조도..
갈랜드 센터 프로젝트는 가로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복합상업 공간으로 주차장 시설과 상점을 포함한다. 1600대를 주차하는 주차구조물과 20,000gsf 면적의 상점, 그리고 거대한 거점 상업시설, 아칸서스 북스토어(대학교)가 32,000gsf면적으로 구성된다. 그보다 먼저 입지적인 특징, 대학교와 인근 주거단지를 연계하는 어반네트워크 생성을 첫번째 목표로 제안된다.가로환경에 대응, 어반 컨텍스트의 연결재활용 섬유시멘트 보드를 부착한 가로레벨의 상점과 북스토어 입면 계획은 지역 석재를 연상하는 캐릭터를 생성한다. 건물 전체를 이끄는 입면계획, 테라코타 로드(선형 판넬)는 이웃한 도시환경; 거의 대부분이 붉은색 벽돌로 이루어진 이웃 건물들에 응답, 상업건축의 고유한 캐릭터를 창출한다. reviewed b..
Dutch design practice Studio Modijefsky is the creative mind behind The Roast Room, an impressive new arrival on Amsterdam’s dining scene that specialises in meat. The latest project of Dutch chef Michiel Deenik, the restaurant spans two floors (a brasserie on the ground floor and a fine dining area on the mezzanine) and is equipped with every tool and contraption imaginable for preparing all ki..
자연을 재해석한 레스토랑 인테리어는 밝고 친숙한 분위기로 고객들을 맞이한다. 베이지 컬러를 바탕으로 나무의 내츄럴한 색감과 쇼파의 청색이 공간을 다채롭게 구성한다. 특히 숲속에 들어 와 있는 듯한 장면을 연출하는 우드프레임 오브제는 인테리어 컨셉을 확장시키는 가시적 역활과 각 구역의 파티션 역활을 수행하는 물리적인 장치로 적용된다.reviewed by SJ,오사 Designer and creative director Lee Hsuhneg of Golucci International, has recently completed the Bistro Goose Hut, a new cafe in Beijing, China.Design: Golucci International from contemporist
필립스탁과 트립티크의 건축 프로젝트, 쌍파울로 토크 플래그쉽 스토어가 이야기하는 건축은 브랜드 캐릭터 창출과 문화소비를 통한 고객 만족 실현을 지향한다. 이전 80년대 오래된 게임클럽은 다양한 제품 전시를 위한 순백색 공간으로 변화된다. 이전 건축어휘는 새로운 디자인과 대비감을 이루는 좋은 소재로 사용된다. 거친 벽과 매끄러운 바닥, 천장에 콘크리트 보가 자연스레 노출된다. 문화소비를 위한 상공간 계획 21세기 앤디워홀 팩토리 버전 같은 스토어 인테리어는 현재 상업공간의 트랜드를 적나라하게 구현, 사고 먹고 마시는 기본적인 소비행위는 물론 춤추고 읽고 만드는 등 다양한 문화활동까지 폭넓게 지원하는 포탈 문화 상업공간으로 제공된다. 지금의 상업공간은 단순히 물건을 판매하는 공간에서 확장, 문화를 소비, 즐..
역사적인 우체국 앞, 60년대 지어진 오래된 담배가게는 새로운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맥도날도로 리노베이션 된다. 가로밀착형 건축환경은 외부 대부분을 글래스 커튼월로 디자인하며 새로운 건물의 가시성 확보와 내외부를 밀착시키는 투명성을 확보한다. 또한 인상적인 눈길을 끄는 화이트 스틸 (나선형)계단을 통해 파빌리온과 같은 심미적인 건축환경을 조성한다. (1층의 서비스 영역과 2층 식당을 연결하는 동선역활)기념비적인 우체국과 관계유지를 위한 건축은 섬세한 디테일, 그리고 우체국으로 확장되는 뷰포인트를 충족시키기 위해 가능한 최소한의 코어 디자인과 입면 전체를 투명한 유리로 마감한다. 자연스레 1층은 가로환경과 연속된 공공성을 구현한다.파사드의 다른부분, 금색으로 산화피막을 씌운 알루미늄 펀칭판넬(gold-an..
Starbucks has hit New York City with its first express format store located at 14 Wall Street. Designed by their in-house design team, Starbucks have created a compact space that features horizontal wood slats that cover the walls and ceiling. Located across from the New York Stock Exchange, Starbucks is opening its first-ever express format store at 14 Wall Street. Most Starbucks stores are des..
디자인 스튜디오, SIDES CORE의 최근작 미니멀 헤어살롱. 일본 오사카에 위치.오히려 아무것도 하지 않아 인상적인 내부공간. 살롱내부는 고객을 위한 의자와 고객을 비추는 전실거울이 전부. 내외부(외부도로와 살롱내부)를 경계 짓는 것 또한 매우 얇은(흐늘거리는) 커튼이 전부, 그래서 주야간 다른 상황을 연출.최소한의 개입을 통해 집중도 높은 공간 창출. 그래서 디자인 본분에 충실할때 건축과 공간은 큰힘을 발휘하게됨.reviewed by SJ,오사 Design studio SIDES CORE has recently completed this minimal hair salon in their hometown of Osaka, Japan. Created for the designers’ dear frien..
Klein Dytham Architecture가 설계한 도교 북스토어의 라티스 입면은 종합 엔터테이먼트 리테일, Tsutaya의 브랜드 로고를 재해석한 수백개의 T형상 유닛(인터록킹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번 프로젝트를 위한 T아이디어는 별도의 사인, 광고없이 건축을 통한 브랜드 제고 및 아이텐티 구현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입면 패턴과 함께 3개의 건물은 연접(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며, 거대한 T형태를 표현한다. -솔리드 패턴과 외벽면에 설치된 전창을 통해 구현된다.- 이와같은 공간의 기본이 되는 그리드는 대지내 자연환경을(기존 거대한 수목을 고려 ) 고려한 합리적인 구조시스템으로 지지되며 자연과 함께하는 안락한 건축환경을 완성한다. 그리고 루버스틸 브릿지를 통해 '매거진 스트리트'와 같이 지면에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