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수토 일식 레스토랑의 인테리어는 지역적 경계를 뛰어 넘는 풍부한 공간감과(마치 일본에 위치한 식당에 있는 듯한) 이를 한층 더 화사하게 생성시키는 전위예술작가들의 작업을 포함한다. 일본어로 '예술가'를 의미하는 아티수토는 분주한 일본의 대도시, 뒷골목에 자리한 스시집으로 부터 발전된 개념으로 여기에 전위예술가 작업이 더해져 지금과 같은 인테리어를 완성된다. 여기에 산업공간에 대한 재해석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유분방한 예술이 접목된 전위예술과 함께한다. 레스토랑은 이러한 공간적 특징(스타일리쉬한 인테리어 디자인)을 바탕으로 간단하면서도 맛있는 음식과 색다른 경험을 고객들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생태환경 구축을 위해 친환경 재료 사용 및 로컬재료를 이용한다. reviewed by SJ,오사 U..
새로운 경치를 만들다. 2011년 헬싱키 Pyhä Birgitta공원에 위치한 새로운 카페는 지역문화를 연결하는 구심점 역활을 수행한다. 분주한 교차로에 위치한 입지적 특징에 따라 접근성, 인지성을 확보하며 주위 오픈 랜드스케이프와 합성된 건축환경을 구현한다. 또한 비바람을 포함한 외부 날씨로 부터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의 쉘터 역활과 대지를 관통하는 아름다운 픽쳐 프레임을 생성한다.크게 3개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프로펠러와 유사한 배치형태는 높이가 다른 3개의 우드 스트럭쳐의 결합으로 구현된다. 키친과 카운터가 위차한 블록과 화장실과 유지관리실이 위치한 블록 그리고 벽난로를 포함한 라운지가 위치한 블록으로 구성된다. 블록 사이, 공간이 맞물리는 중심공간은 2면 유리로 개방, 오픈 스페이스와 아름다운 경치..
헤르조그와 드뫼론가 디자인한 이탈리아 패션 하우스, 미우미우 브랜드 스토어가 도교 아오먀아 구역에 새롭게 문을 연다. 일본에 위치한 23개의 부띠크 스토어 중 하나인, 720㎡ 면적의 스토어는 브랜드(미우미우)를 일본에 알리는 교두보 역활을 함께 수행한다.'프라다 도쿄 에픽센터' 대각선 길 넌너편에 위치한 스토어 외관은 프라다와는 달리 불투명한 메탈 판넬을 통해 매우 심플한 파사드를 구현한다. -내부 지향적인 건축환경 구현- 여기에 공간의 사이를 벌리는, 내부를 시각적으로 외부로 확장하는 거대한 캐노피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로 디자인된다. 보행자의 눈길을 사로 잡는 디자인 요소인 동시에 들려진 하부로 고객들을 유입시키는 건축적 장치로 사용된다. 캐노피의 안과 밖은 서로 다른 재료로 마감, 공간의 위계..
더치 골드, 그 화려함에 대하여. 이번 프로젝트에게 은유는 필요없다. 직관적인 터치만일 존재할 뿐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달된 의사는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는, 동선을 유입시키는 매개체로 적용, 상업공간의 목적성을 충실히 수행한다. 29명의 금판매자와 금세공사를 위한 상공간은 네덜란드 Beverwijk의 거대한 인도어 마켓 동측 끝단부 '골드스트리트'에 위치한다. 35미터 길이의 독특한 외형은 한눈에 보기에도 '금을 형상한 것과 같은 뉘앙스로'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의 이목을 사로 잡는 동시에 이곳의 정체성; 금판매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한다. 이와같은 파사드 디자인은 삼각형태의 판넬을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 반복시킴으로써 (블링블링한) 반짝이는 금의 형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동일한 부재를 ..
인테리어&건축 디자인 스튜디오, 하오디자인의 최근작, 큐포트 헤어살롱은 타이완 가오슝의 오래된 다층건물을 리뉴얼, 현대적인 상업공간과 거주공간을 합성한 복합주거 형태로 제안된다. 시간과 장소가 꼴라쥬된 인테리어 디자인의 특징은 강렬한 색체, 파이프라인, 비행기 엔진의 오브제, 그리고 콘크리트가 건축주의 개인 아트컬렉션과 앙상블을 이루며 생성하는 빈티지 이미지를 통해 발현된다. 이는 현대생활공간을 위한 헤어살롱과 하우스 내부를 더욱더 풍부하게 만드는 동시에 이곳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주요한 디자인 매개체로 별도의 마감과 장식이 없는 건축은 이를 위한 캔버스로 제공된다.reviewed by SJ,오사 Interiors and architecture studio HAO Design has transformed..
모스크바 시내 중심부, 30년대 주거단지내 위치한 누드커피 앤 와인바가 디자인 스튜디오, Form Bureau의 디자인으로 오픈한다. 인테리어 디자인방향은 장소의 기억을 새롭게 복원, 현대생활과의 접목을 추구한다. 그리하여 건축물의 기존 재료에 대한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벽돌 위에 덧붙여진 페인트와 플라스터를 부분적으로 제거, 시간 때를 고스란히 재료의 물성과 함께 표현한다. 이를 통해 완성된 벽면은 마치 콘크리트와 우드같이 심플하며서도 거친 이중적인 물성을 표현한다. 여기에 가구와 브레스 악센트 그리고 블랙 앤 화이트 패턴 바닥이 조화를 이룬다.reviewed by SJ,오사 Located in a 1930’s residential building in the very heart of Moscow is..
밀란을 베이스로 활동하는 건축스튜디오, piuarch의 최근작 지방시 플래그쉽 스토어가 서울 청담동에 들어선다. 패션 라벨 아트디렉터, riccardo tisci와의 협업을 통해 완성된 매장은 400sqm, 3층 규모로 완성된다. 빌딩의 아이덴티는 지방시 브랜드 이미지를 투영하는 파사드 디자인과 주요주제가 반영된 미니멀 인테리어 디자인으로 구현된다. 전자연마 처리된 스틸 판넬은 특유한 마름모 패턴으로 파사드를 디자인하며 외부환경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빌딩의 얼굴을 완성한다. 특히, 빌딩 상단 모서리 T자 형태의 황동(광택처리된) 디자인은 새로운 브랜드 "T cut"을 반영, 디자인 포인트로 적용된다.reviewed by SJ,오사 milan-based architecture studio piuarch..
berg design가 디자인한 다목적 공간은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 셀로 구축된다. 포털 디자인 스튜디오, kinfolk을 위한 인테리어 디자인은 기존 차고를 팀버스트럭처를 이용, 3개의 공간으로 구분한다. 거리에 면한 상업공간과 돔 안쪽에 자리한 바(bar) 그리고 건축물 후면부에 자리한 대형 이벤트 공간으로 구분된다. 여기에 이벤트 공간은 셀의 일부분이 변형된 무빙판넬을 이용, 파티션으로 공간을 오픈(opened)하거나 클로즈(closed)하면서 가변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가변성은 소수인원을 위한 특별공간(30명의 후원자를 위한) 또는 각종 이벤트를 위한 다목적 대형공간(150명 수용가능한)을 제공한다.reviewed by SJ,오사 this multifunctional projec..
ulus savoy는 ulus지역에 위치한 이스탄불 공동주거 프로젝트로 25개동, 301세대 아파트먼트로 구성된다. 이중 클럽하우스를 포함하는 커뮤니티(지역건축가, autoban가 디자인)는 지역 문화활동을 위한 노드스페이스로, 현대적인 모던한 인테리어 디자인이 제안된다. 건축가의 디자인 방향은 주변 지형과 연속되는 오가닉한 형상구현(서로 다른 높낮이를 가진)을 통한 고유한 캐릭터 창출과 효율적인 공간확보(오픈플랜)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건축환경 구현은 삼각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구조체 디자인과 공간을 구획하는 벽과 바닥 (수평과 수직적 요소)의 실질적인 통합 구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러는 동안 설비기능은 건축 속에 숨겨진다.) ulus savoy의 중심부, 클럽하우스는 2개층 높이의 글래..
파리시 외곽, Marly-le-Roi 커뮤니티 단지에 위치한 마켓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외부로는 부족한 주차대수 확보와 인접한 랜드스케이프 확장, 내부로는 플렉서블한 공간구현 및 풍부한 자연채광 확보를 위해 진행된다. 이를 통해 건축물은 매력적인 환경구축과 부족한 건축물의 기능을 충족하게 된다.마켓홀의 글래스 커튼월과 스크린은 각각 우드와 메탈로 이루어진 루버와 짝을 이루며 디자인된다. 우드루버가 세로방향으로 동측과 서측에 설치되는 동안 메탈루버는 수평방향으로 남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북측입면에는 나무를 형상화한 패턴이 커튼월에 디자인된다.지붕 또한 여러각도로 접혀진, 다각형태의 그린루프로 재구성된다. 여기에 중앙홀 내부로 자연채광을 유도하는 천창이 설치, 주변 자연환경을 연속시킨다. 이러한 공간적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