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로 부터 외면 당한 폴리스스테이션(파출소?)는 이제 지역주민들의 커뮤니티 본거지로 재구축된다. 도시광장에 면한 입지적 특징을 살리는 프로젝트의 시작은 먼저 도서관과 광장 및 거리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투명한 유리로 입면을 디자인, 투과성을 높인다. 그리고 막힘없는 오픈플랜으로 리셉션룸과 리딩룸을 구성한다. 전면 유리창과 더불어 액티브 레이어로 구성된 지붕과 천창은 공간의 다양성을 생성하는 동시에 풍부한 채광으로 타운하우스와의 같은 온화한 분위기를 연출한다.reviewed by SJ,오사 The deal of the project delivered by Tank is to restructure and extend a former police station, very imposing on the squa..
도시의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투영한 할리팩스 중앙도서관이 새롭게 문을 연다. 도심지 재개발사업의 촉매재 역활 및 다양한 코업 비즈니스 환경 지원을 위한 문화공간 확보는 먼저 도시환경과의 조우를 첫번째 과제로 시작된다. 매력적인 해양유산은 도시의 커다란 자산으로 새로운 도시공용공간에 적용된다. 그리하여 생성된 역사적인 도시축, 할리팩스 성당과 할리팩스 항구가 교차하는 축은 이곳 도서관 대지위에 자리하며 도서관의 사각볼륨을 회전시킨다. 총 4개의 볼륨으로 구성, 1층부터 4층까지의 볼륨은 대지를 따라 배치되며 최상층(5층)에 자리한 할리팩스 리빙룸을 역사적인 축을 따라 배치, 유니크 뷰를 생성한다.내부 5개층을 브릿지 또는 계단을 통해 연결하는 아트리움을 통해 외관의 다양성은 내부공간에서도 연속된다. 풍부한..
Knarvik교회가 지향하는 건축은 외형적 특징만큼이나 간단명료하다. 균형있는 조화 그리고 이를 통한 성스러운 공간 창출; 신을 만나기 위한 공간 제공에 있다. 이는 중요한 지점에 위치한 교회의 실질적인 목표로 정의된다. 지역문화의 구심점, 기독교의 메신저로써 본분, 주말 다양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공간구현의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지형-경사지-을 따라 주변환경을 따라 건축물을 배치한다. 그리고 이웃한 주변환경; 식생, 지형, 공간적 퀄리티와 관계를 맺고 자신만의 캐릭터를 구축한다. 완성된 교회는 지역 커뮤니티의 구심점 역활과 지역문화활동 보장을 위한 토대로 예술 및 각종 음악활동을 지원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종교건축의 상징성은 물론 지역을 통합하는 건축의 힘이 느껴지는 프로젝트이다.re..
바자 시립도서관의 지향점은 도시환경 속 입지적 특징의 반영과 지역주민들의 문화생활 증진을 위한 거점공간 창출에 있다. 고대 도시 문명과 현대적인 도시환경의 경계를 연결하는 입지적인 특징은 도서관을 두개의 개별적인 공간으로 구성시킨다. 도서관과 UNED(사이버 대학의 본관)이 경사지를 따라 자리한다. 어두운 회색계열의 석재로 마감, 거대한 플랫폼을 생성하는 저층부가 -UNED- 역사적인 도시를 향해 배치 및 전망을 확보하는 동안 상층부 2개층은 백색계열의 석재로 마감된 도서관이 자리, 상하부 대조적인 대비감을 이루며 디자인 된다. 지역주민들을 위한 도서관은 다양한 공용공간을 제공, 열린 공간으로 디자인된다. 이와 동시에 칠드런 룸 및 리딩클럽과 같은 독립적인 공간이 함께 구성된다.도서관 파사드는 외부적인 ..
카타르, 월시 외교대학은 서측에 위치한 중앙도서관과 남서측에 위치한 학생관으로 배치된다. 남측에 위치한 역사적인 장소; 강렬한 비쥬얼을 가진 공원과의 밀착된 관계형성은 건축물의 축 및 랜드스케이프로 표현된다. 이러한 디자인 원칙은 진보된 휴먼스케일을 위한 기념비적인 구축으로 학생들의 안락한 거주환경을 제공한다. 원칙의 구현을 위해 빌딩은 몇개의 작은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시 빌딩의 모든 부분들은 외교학을 위한 공용공간으로 연결, 확장된다. 그중 조각같은 긴 보행로 '그린 스파인'은 즐거운 산책로로 연결된다. 중정과 아트리움은 빌딩 컴플렉스의 리렉스(휴식, 안식처) 공간 형성을 위해 삽입되며 이를 통해 건강한 교육환경으로 진화한다.reviewed by SJ,오사 The Georgetown Unive..
소셜리더쉽 육성을 위한 아쿠스센터는 kalamazoo college 내 위치, 열린토론을 위한 오픈스페이스와 다양한 공용시설을 제공한다. 3개축으로 이루어진 건축환경은 다방향성 접근과 주변환경과의 밀착된 공간구현을 생성한다. 내부는 프로그램은 중심부에 자리한 전시 또는 강의공간; 중앙홀과 스터디 및 소모임 지원을 위한 세미 프라빗 스페이스로 구성된다. 여기에 센터의 수렴되는 외부형태는 캠퍼스 내 학생들을 위한 외부 아레나를 생성, 건축물의 독창적인 외형적 특징을 배가시키는 외부마감과 함께 고유한 캐릭터를 완성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arcus center for social justice leadership’ provides an open and public facility on ..
노근리 학살사건 150명이 죽고, 13명이 실종되었으며 55명의 사람이 다치거나 불구가 되었다. 그것은 1950년 7월 26일부터 29일까지 일어난 일이었다. 그러나 그 수는 정확하지 않다. 3일이 넘는 시간동안 터널속에서 그보다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공포에 떨었다. 그 이후 이들은 삶과 죽음으로 나뉘었다. 이제 반세기가 지난 시간, 아무도 그 책임에 대해 묻지 않는다. 진실을 찾을 수도 없다. 사건은 일어났지만, 어디에도 그 증거를 찾을 수는 없었다. 수천의 가족들은 지방을 쓰지 못하고 제사를 지내고 있다. 끊임없는 노력은 진실을 복원시키지 못했으며 심지어 은폐시키기까지 했다. 사람들은 그저 전쟁의 비극이라느니 어쩔수 없이 부수적으로 일어난 사건이었다느니 이야기하곤 한다. 여타의 사건들과 더불어 다스..
민호(Minho) 호텔의 리뉴얼과 확장 프로젝트는 2006년 건설된 하나의 건물에서 시작되었다. 이 건물은 새로운 공공시설과 온천으로 2014년에 개조되었는데, 확장 부분은 현존하는 건물의 건축을 유지하는 선에서 계획되었다. 비록 그 건물이 평범하고 특징이 없는 디자인이기는 하지만 이에 좀 더 효과적인 이미지를 덧붙이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일단 그 솔루션은 매우 단순하면서도, 구조물들을 유지하면서도 주 출입구 아래 층들에 새로운 공간을 도입하는 방식을 통해 일부 공간 내에서는 상당히 내향적인 편이었다. 초록의 지붕과 기존 외부의 흰색 벽들은 새로운 건축들의 시각적 영향을 최고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지역이나 현지의 자재, 건설적인 전통 및 특유의 건축술과의 더욱 강한 연대를 추구하면서도 밤나..
칠드런홈은 어린이들의 열린교육 및 막힘없는 소통, 사회관계형성을 위한 장으로 제안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활동공간; 교육공간과 아이들의 개인적인 거주공간을 확보한다. (유아실은 도로로부터 이격, 내부 정원과 놀이터에 연접한다. 이와 반대로 청소년실은 최 외곽부에 위치, 도로 및 외부와 연접된다.) 먼저 안락하고 포근한 집과 같은 공간 연출을 위해 덴마크 내 전형적인 주거를 모티브로 하는 박공지붕 및 지붕창을 연속시킨다. 기본 프로파일의 리드믹컬한 디자인 구성은 각 공간에 대한 채광 및 전망확보를 위한 건축적 장치로 활용되며 여기 케어센터를 캐릭터화하는 주요한 디자인 요소로 표현된다. 특히 다양성과 기능성을 확보한 플렉서블 스페이스는 폭넓은 응용공간을 창출한다. 독서, 영화감상, 숙제를 위한 작업실, 미술..
울산의 한적한 전원마을의 중심부, 풍부한 자연환경 속에 인보성당은 자리한다. 사제실, 교회, 사무실을 비롯한 주요 교회시설은 지상층에 각종 서비스 시설은 지하층에 자리한다. 각 기능에 따라 분절된 교회의 볼륨들은 전원마을의 작은 스케일과 조화를 이룬다. 여기에 교회 박공지붕은 주변산세와 조화를 이루며 마을의 상징적인 중심이 된다. 이와같은 배치, 볼륨들 사이의 광대한 외부공간은 마을을 위한 공용공간으로 언제든지 접근이 용이하도록 열리며 계단, 램프, 벽을 포함한 연속적인 공간적 체험을 통한 공간적 흥미를 제공한다. 마치 마을 및 마을 내 골목길과 유사한 공간적 체험을 제공한다.교회의 구성 교회 신도들의 높은 비율, 공간의 훼손, 한정적인 예산은 공간의 구성, 재료, 형상을 정의하는 주요한 키워드로 작용한..
암스테르담 베이스 건축 스튜디오 van dongen-koschuch가 네덜란드에 최근 완공한 뮤직 스페이스는 19세기 어반 컨텍스트의 차용-윈도우 패턴의 흔적-과 선굵은 벽돌 파사드로 디자인된다. 건축가의 상상과 컬쳐코어(문화의 중심) 그리고 이번 단계의 센터피스(핵심과제)은 550 수용 가능한 아트리움으로 현실화 된다. 특히 빌딩의 외피는 밀도 높은 어반 랜드스케이프를 연속하는 동시에 기존 루프라인을 복원, 재현함으로써 빌딩 디자인의 특유한 캐릭터를 구축한다. 파사드 디자인 또한 지역성의 투영 -과거 산업문화의 흔적-과 명쾌한 클리어 윈도우 디자인으로 아이텐티를 확보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요구된 좌석수 확보를 위해 중앙에 위치한 메인홀은 지상으로 부터 들려지며, 퍼블릭 기능을 위한 공간들로 오픈된다. ..
새로운 초등학교 프로젝트는 지역적 특성과 현대적 디자인의 조화로운 하모니를 통한 열린 교육창출을 목표로 한다. Ayrshire 남부, 풍부한 자연환경 그리고 현대 교육공간에서 요구되는 조건들과의 합리적인 통합은 독립적인 형태로 연속된 전원 속 농장건물의 현대적 재해석 과정을 통해 발현된다. 연속된 박공지붕 및 연접된 공간의 선형적 특징과 오픈 공간은 폭 넓은 커뮤니티 장의 구축과 열린 교육공간을 확보하며 새로운 교육공간에 대한 타이폴로지를 정의하게 된다. 그리고 렌더, 팀버, 스톤, 슬레이트의 외부마감이 생성하는 모던 컨템퍼러리 스타일과 생동감 넘치는 공간 연출은 전원마을 속 고유한 캐릭터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준다.reviewed by SJ,오사 The outstanding new Primary S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