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의 시간을 복제합니다. 과거의 장소와 현재의 시간을 연결합니다. 역사적인 시간의 켜가 고스란히 남겨져 있는 도시의 성곽, 그 보행로 사이에 자리한 설치물은 이곳 풍경과 다소 어울리지 않는 파스텔 컬러의 독특한 형상으로 사람들을 맞이 합니다. 초대된 사람들은 두개의 설치물 사이에 디자인된 거울을 통해 무한히 반복되는 장소를 경험합니다. 이 경험을 통해 처음 낮설게 느껴졌던 막은 사라지고, 도시의 또다른 풍경이 보행자의 시점에 따라 다르게 읽혀지고, 쓰여집니다. 그러면 설치작가의 이야기처럼 껍데기에 대한 허상은 사라지고, 본질만 남게 됩니다. reviewed by SJ,오사 As part of “Les Passages Insolites”, a public art festival curated by EXM..
슈투르가르트 시내 중심가 남측에 위치, 11년 오피스 건물이 철거된 후 남겨진 자리에 도시와 지역을 연결하는 물리적인 환경 구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복합개발 사업이 시행됩니다. 리테일, 오피스, 주거 그리고 거대한 쇼핑몰, GERBER가 새롭게 자리합니다.도시와 쇼핑몰의 관계 도시환경과 지형 축을 투영한 쇼핑몰 배치는 자연스레 외부가로 환경을 내부로 유입, 도시의 하이-엔드 쇼핑거리를 구현합니다. 건축에 투영된 럭셔리는 쇼핑몰의 트레이드 마크로 높은 품질의 환경과 쉬운 방향성 그리고 인상적인 가치를 발현하는 공간 요소를 포함합니다.먼 저 외부로 부터 접근은 쇼핑몰 각 모서리에 위치한 4개의 입구에서 시작됩니다. 교차로에 위차한 이점을 살리는 동시에 지상, 지하 각기 다른 레벨의 외부 도로로 부터의 ..
커틴 대학내 웨스프레임 코트의 지향점은 뚜렷합니다. 흩어진 대학내, 다양한 소셜활동의 구심점 역활과 물리적인 동선 연결을 수행하는 매개장소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대학의 장기 발전 계획; 마스터 플랜의 가이드라인에서 진행됩니다. 또한 학생 중심의 캠퍼스 생활을 위한 매력적인 교육환경 생성과 이를 통한 균형 잡힌 캠퍼스 생활을 지원합니다.캠퍼스 소셜 허브 남북을 가로지르는 내부 보행로; 커튼 코르소와 교내 시설을 연계하는 중정은 커틴 비즈니스 스쿨과 앵아지 카페 그리고 랜스 트워니 극장 사이, 거대한 스틸 구조물로 자리합니다. 중정을 따라 구조화된 스틸 프레임은 펀칭메탈 파사드와 외부 환경; 다양한 기후와 사계절을 필터링하는 조절 가능한 루프 캐노피가 설치되어, 중정의 실질적인 기능성을 확보합니다. 여기..
개비온 옹벽의 자연스러운 만큼, 리조트 개선작업은 주변 자연환경의 조우를 첫번째로 진행됩니다. 그렇게 투영된 자연은 리조트 마스터 플랜 및 랜드스케이프 안에 통합되며 아래 각 건물들과 조화를 이룹니다.빌딩 A1: 카페-바를 포함하는 레스토랑, 객실 아침 식사 제공을 위한 주방, 관리 사무실, 남자,여자 그리고 장애인 화장실, 호텔 리셉션으로 구성.빌라: 개인정원과 전용 야외풀장이 달린 프라빗 빌라방갈로: 개인정원과 2개 내지 3개의 룸으로 구성된 객실건물 A2: 지하 2개층으로 2~3룸으로 구성된 객실건물A3: 직원 휴게실 및 탈의실을 포함한 부속실reviewed by SJ,오사 Sometime during the mid ‘80s, Blue Bay Hotel Ios** was built in a 3900..
지난 시간을 합성합니다. 시카고 웨어하우스는 이제 리노베이션 과정을 통해 로프트 타입의 아파트먼트로 제공됩니다. 날것, 기존공간에 대한 재사용은 물론 지난 과거의 재료 및 가구를 포함한 물건들이 60년대, 70년대 그리고 80년대에 이르는 펑키를 주제로 오픈-플랜 거실을 디자인 합니다. 이전 지하철 역사의 벽면을 채우는 타일은 거실과 주방 그리고 메인 침실 벽면을 마감하는 주요한 디자인 요소로 적용되며 레트로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구리프레임 윈도우과 함께 전체 내부 분위기를 정의합니다. 새로운 스테인레스 스틸 주방가구와 이케아 수납장 또한 함께 구성됩니다.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의 합리적인 공간구성을 통해 아늑한 하우스가 완성됩니다.reviewed by SJ,오사 For chef Lisa Santos and ..
단순함의 미학. 픽시 자전거를 대표하는 수식어는 여기 '아바크' 싸이클에도 적용된다. 여전히 유효한 단순함과 유려한 곡선,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나무의 숨결 속에 함께 적용된다. named after the horse pulling the sun on its way across the sky in norse mythology, the ‘arvak’ by keim is a quest to construct a responsive cycle that echoes the themes of nature. to achieve a stiff and lightweight monocoque frame, the french company vacuum laminated up to 50 layers of white ash ..
the ‘grandcafe sijthoff’ is an organic café located in the building of a former publishing house in leiden, the netherlands. to go with the general feel of the restaurant, designers at AftU (agent for the underused) were requested to build custom furnishings. they needed to be flexible to changing everyday needs, and in the world of hip coffee spots — reclaimed wood and flea market finds were th..
유럽 최대, 지속가능한 오피스 환경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가 벨기에 브뤼쉘에서 시작됩니다. 19세기 교통의 요충지로 사용되었던, 일명 'Tour & Taxis'로 불리우는 대지 위에 자리한 오피스 빌딩은 이 지역을 포함하는 거대한 도시 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새롭게 조성된 운하와 부둣가에 마주한 매력적인 장소로 제공됩니다. 브뤼셀 환경보호국을 위한 건물의 지속가능한 건축환경은 이러한 장소성을 표현하는 주요한 매개체 역활을 수행하게 됩니다. 사람들에게는 그것보다 토스터기를 닮은 형상이 더 재미있게 다가오는지, 벌써 부터 '토스터기'라는 닉네임이 생겼습니다.지속가능한 오피스 시작 공간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센트럴 아트리움은 각 층의 시야와 환경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물리적인 연결과 쾌적성을 보장합니다. 이는 ..
우리나라로 이야기하면 '산동네' 쯤 되겠군요. 열악한 주거환경에 처한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아마도 첫번째는 안정적이며, 쾌적한 거주성이 보장되는 환경이겠죠. 그리고 이를 뒷받침해주는 인프라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것보다 먼저 생각해야 되는 것은 그들에게 희망을 심어 주는 일입니다. 현실이 그들의 꿈까지 빼앗을 권리는 어느 누구에게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거리 예술가와 벽화가로 구성된 프로젝트 팀의 이번 작업은 그런 의미에서 중요한 시작이라고 생각됩니다. 거대한 주제를 위한 하나의 페인팅, 다채로운 색체는 공동주거에 거주하는 이웃들간의 소셜증대는 물론, 이곳만의 고유한 문화를 생성하는 초석으로 제공될 것입니다. 여기에 거주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개선작업이 병행되면 더 좋은 프로젝트..
MARTIN 건축가 디자인한 (우크라이나 키에프에 위치) 로프트 타입의 아파트는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을 표방합니다. 젊은 변호사를 위한 거주공간은 친구들과의 자연스러운 소셜활동을 위한 무대로 소규모 파티나 테이블 게임과 같은 모임을 제공합니다. 즐거운 '어반 라이프'를 위한 오픈 플랜를 채우는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은 우크라이나 소재의 회사 및 디자이너 그리고 장인들의 손길을 거쳐 완성됩니다.reviewed by SJ,오사 Igor Martin and Olga Novikova of MARTINarchitects, have completed a loft apartment for a lawyer in Kiev, Ukraine.A residence belongs to the young and energetic 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