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멀리 있을때 더 잘 보일 경우가 있다. 이번 퀄리티 호텔 프로젝트의 독특한 파사드 디자인은 사이즈가 다른 3개의 원형 창문(1.4 / 1.7 / 2m의 3가지 직경을 가진 원형 윈도우) 을 규칙적인 패턴을 통해 배치, 반복함으로써 균질하면서도 무균질한 면을 생성시킨다. 북측 파사드를 기점으로 생성된 동심원은 물결의 잔향을 나타내며 원형 모듈 윈도우을 통해 구현된다. 그리고 각각 써클 윈도우는 개별적인 객실의 뷰포인트로 구분, 적용된다. 400객실로 이루어진 호텔은 바로 이웃한 65,000석 규모의 대형 아레나와 쇼핑몰을 위한 숙박시설로 주변시설과의 조화 속 독특한 캐릭터를 큰 힘 안들이고 슬기롭게 풀어내는 장점을 보여준다. 정말 탐나는 파사드 디자인이다. 어디든 적용하고 싶은 생각이... revi..
하우스는 먼저 장소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이를 현재 공간 속에 밀착 시키며 지속적인 거주공간을 확보한다. 이전 숲을 새롭게 조성한 도쿄근거, 주거단지의 장소성은 앞서 말한 건축가의 지향점과 동일선상에서 시작되며 주변 건물 및 도로와의 일정한 버퍼를 갖는 반공간을 생성시킨다. 여기에 건축가는 물리적인 외부 휀스가 아닌 대지내 인공적인 조경공간을 통해 첫단계 막을 생성하며 주위와의 일정간격을 유지한다. 그리고 주거 내부 중심부 공용공간; 거실 및 생활공간에 건축적 어휘로 재구성한 인공조형물과 보이드 스페이스로 2차 막을 생성한다. 이는 각 공간간의 위계를 자연스럽게 정렬하는 동시에 막힘없는 연속공간을 창출하며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한 대량의 자연채광을 주거 깊숙히 침투하도록 도와준다. 아이들..
광고대행사를 위한 크리에이티브 스페이스 구축은 기존 공간; 디트로이트에 버려진 100년된 건물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복원된 공간에 대한 존중 및 지속성 확보와 지역경제의 새로운 엔진역활을 위한 스타트 포인트 구축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의 지향점은 인터렉티브 스페이스, 코업 스페이스, 오픈 스페이스, 소셜 스페이스 등, 원활한 소통을 통한 열린 공간 구축,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협업 오피스환경 구축에 있다. -벤치 퍼니쳐와 구획된 각 공간들은 이와 맞게 지속가능한 건축을 표방한다. 그리고 우드 파렛트 및 500개의 지역내 방치된 우드도어는 각 사무공간의 공간을 구분하는 파티션 및 파티션 포트로 활용된다.- 여기에 브랜드 이미지를 고취시키는 각 인테리어 요소들이 첨부된다. 지금의 디지털 프..
스마트 펍은 하이퀄리리 푸드 레스토랑과 이벤트바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크라요바, 프레이지바 호수 근처의 아름다운 풍경을 가진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은 '요소와 재료의 대비'를 컨셉으로 하는 컴템퍼러리 일렉틱-인더스트리얼 스타일로 디자인 된다. 따뜻한 물성을 지닌 우드와 재활용 벽돌은 화이트 메탈 및 세라믹 타일과의 대비, 글로시 요소와 거친 자연질감의 우드플로어와의 대비 등 반복적인 대비를 통한 공간의 다양성을 담아낸다. 그리고 토넷체어와 안락 쇼파 그리고 화려한 타일 패턴으로 디자인된 바 영역은 고전적인 레스토랑과 병렬로 접한, 또다른 캐릭터를 내부에 생성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매력적인 공간 포인트는 레스토랑 중심부 천장에 매달린 2미터가 넘는 샹들리에의 압도적인 화려함이 선사하는 따스한 분위기가 아..
지금이라도 당장 달려 나갈 기세인 흔들의자; 레트로 디자인의 DNA는 빈티지 자전거의 전통적인 프레임 제작방식과 클래식 자전거 부품의 일부 사용을 통해 완성된다. 유연한 스틸 프레임과 우드 그리고 진한 가죽이 매치를 이루며 클래식 디자인의 정수를 보여준다. two makers (andrew mcdonald and simon taylor) tap into traditional bicycle frame-building techniques to envision ‘the randonneur’ chair. drawing on the formal geometries of the long-distance two-wheeler after which it is named, the seating object has bee..
Pavilion Combines Global Technology and Local ManufacturingFor the occasion of the 10th International Fab Lab Conference held in Barcelona in July, the experimental architectural firm Margen-Lab, along with Institute for Advanced Architecture of Catalonia and global partners from the Fab Lab Network, designed and built a small bioclimatic pavilion on the Plaça de les Glòries Catalanes. ‘The pavi..
22,000sqm 연면적의 복합문화 공간은 이스트 빌리지와 캘거리 중심부를 연결하는 교차점에 위치하며 도시와 사람을 연결하는 노드점으로 제안된다. 도시의 작은 언덕을 모티브로 디자인된 건축환경은 유연한 구조체와 다양한 형태로 적층되는 테라스 그리고 도시를 연결하는 경전철 라인 위에 구성된다. 건축물 주출입구, 그랑드 아치는 치누크 클라우드를 차용한 디자인으로 거주민들의 다양한 소셜활동을 보장하는 아트리움에 대량의 자연채광을 유도하는 장치로 제공되는 한편, 도시와 건축을 경계짓는 파사드의 반복적인 모자이크 패턴과 함께 건축물의 외형적 특징을 정의한다. -투명, 불투명의 반복적인 모자이크 패턴 판넬은 내부 프라이버시 확보와 능동적인 가시성 확보를 동시에 수행한다.- 어반 허브 스페이스로 주요한 인프라스트럭쳐..
모바일 스페이스 구축을 위한 컨테이너 하우스 프로젝트는 가변적인 생활공간의 능동적인 대응과 경제적인 공간구축을 목표로 제안된다. 컨테이너 기본 모듈베이로 부터 공간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된다. 스튜디오 아파트를 위한 원 베드 또는 투베드 유닛, 재난지역의 긴급 피난소, 여행자들을 위한 간이 숙박 또는 모델 / 호스텔의 숙박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다. 무엇보다 능동적인 공간 형성에 대한 장점이 이번 프로젝트를 부각 시키는 장점이 아닐까 싶다.reviewed by SJ,오사 building upon their lineage of easily deployable structures made from shipping containers, the hong kong and australia based b..
칠레 산티에고에 위치한 대다수의 글래스 파사드의 타워는 현대적인 건축을 표방하며 지역기후를 반영하지 않은채 거대한 온실로 전락, 과도하게 에너지를 소비한다. 여기 지역적 컨텍스트 -지역기후-의 반영과 건축주의 요구사항 -고유한 캐릭터를 구현하는 혁신적인 현대적 공간 창출- 의 수용을 통해 구현되는 거대한 콘크리트 타워는 합리적인 건축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간을 구현한다. 내부 환경의 쾌적성을 보장하는 최소한의 개구부 그리고 이를 합리적인 입면 디자인으로 통합, 배치하는 파사드와 전체 볼륨을 통일감 있게 마감하는 메시브 콘크리트로 이노베이션 센터는 완성된다. 무엇보다 일반 보편적으로 하향 평준화 되는 작금의 현대건축에 새로운 화두로 이번 프로젝트는 제안된다.reviewed by SJ,오사 In Santiag..
파리 도심 속 자리한 동물원 리노베이션의 주안점은 지속가능한 생태환경을 구축을 위한 자연복원으로 그곳에 어울리는? 자연환경을 재구성한다. 이를 위해 능선은 새롭게 구축되었고 돌과 나무는 원래 그곳에 있었던 것처럼 자리에 배치된다. 도시로 부터 이격된 자연은 이제 동물원을 경계없는 공원으로 파리를 위해 제공되어 진다.Cinema and theater: the reference to mise en scène is everywhere in the new landscaped spaces designed by Atelier Jacqueline Osty & Associés. Five “biozones” succeed one another along a four-kilometer tracking shot, st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