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마운틴 빌리지에 위치한 뉴 웨이치 유치원 프로젝트는 기존 마을의 초등학교 확장공사의 일환으로 다양한 컬러로 구성된 볼륨의 랜덤한 조합으로 구축된다. 연속적인 다이나믹함은 유치원의 캐릭터를 규정짓는 특징이자 아이들의 즐거운 놀이공간 생성을 위한 건축어휘로 사용된다. 여기에 촉감적인 텍스쳐; 퍼지 서피스는 인공적인 잔디 (자연)와 같은 뉘앙스를 풍긴다. 불규칙해 보이는 형상과 달리 공간은 내부 센트럴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하는 심플한 동선체계로 각 공간들은 연속된다. -높고, 낮고, 넓어지고, 깊어지면서 연속된 오픈플랜을 형성한다.- 주출입구로 부터 코트룸, 클래스룸, 플레이 스페이스 그리고 그룹룸까지 각 내부공간은 막힘없이 연결된다.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건축물의 컬러는 고유한 캐릭터 생성은 물..
터키 이스탄불에 위치한 레고 오피스는 브랜드의 아이텐티 확보와 효율적인 비즈니스 환경 구축을 목표로 시작된다. 이러한 공간구성은 잉여 공간의 최소화, 소셜 스페이스의 최소화를 목표로 오픈 플랜 속에 플렉서블한 사무공간을 연속적으로 배치, 두개의 다목적 공간; 공용복도을 통해 컴팩트하게 연결 된다. 별도로 구획되지 않는 오피스는 이러한 다목적 공간?을 통해 효율적인 동선확보와 소셜활동을 보장하며 출입홀과 미팅룸을 직접 연결하는 막힘없는 비즈니스 플랜을 완성한다. 여기 레고블록으로 부터 투영된 인테리어 디자인; 비비드 컬러와 슈퍼그래픽은 다목적 공간의 고유한 캐릭터 구축을 통해 레고 아이텐티를 구축한다.reviewed by SJ,오사 Lego Turkey is located in Mecidiyekoy, Is..
쌍파울로 북측 해변가에 위치한 세컨드 하우스를 디자인하는 첫번째 원칙은 자연과의 적극적인 호흡, 밀착된 내외부의 관계설정에 있다. 그리고 두번째는 이렇게 완성된 주거환경을 같이 공유하는 소셜공간의 증대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하우스의 이름처럼 총 4채의 개별적인 주거가 해변에 직교하며 지형에 따라 조금씩 밀려나가는 사선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각 주거공간의 개별적인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밀려진 각 주거의 차이로 채광과 시야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각 주거는 저층부를 통해 확장 연결되며 다음과 같은 개별공간 구성된다. 먼저 버티컬 가든으로 부터 시작된 각 테라스는 자쿠지를 포함하는 개인풀장과 내부 리빙스페이스가 연결되는 바베큐 스페이스가 배치된다. -풀장 지하에는 사우나가 위치- 3개층의 주거 ..
건축과 주변환경과의 관계는 내외부를 구분하는 막; 서피스에 새겨지며 건축물의 고유한 캐릭터를 구현하는 패턴으로 완성된다. 여기 캠퍼스 네츠워크 오피스의 모놀리틱한 백색 파사드에 디자인된 펀칭 패턴은 인근에 위치한 나무들의 그림자를 형상화 한 것으로 주변환경과의 적극적인 호흡으로 이루어 진다. 재미있는 점은 펀칭된 홀의 사이즈 및 밀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자연채광 및 시야가 조정되는데, 그림자의 중심부 즉, 가장 어두운 지역으로 갈수록 홀의 사이즈는 커지며, 반대로 그림자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홀의 사이즈와 밀도는 작아진다. 이를 통해 외부 파사드에는 독특한 패턴 문양을, 내부에는 균질한 조도환경을 완성하게 된다. 디자인 방법은 먼저 컴퓨터를 이용한 모델링 시뮬레이션 작업과 이를 완성하는 패브릭케이션 작..
Malgorzata Knobloch and Igor Wiktorowicz of WITAMINA D have designed the 1/2 Stool.The “1/2” stool is made of half of the tree trunk. The unique character of wood is contrasted with the technical, laser cut metal elements. The stool is very stable and durable. Thanks to the application of a protective sealing technique to the wood and metal the stool can inhabit both inside and outside. It can a..
british photographer benedict redgrove has taken a rare look inside the design studio of italian automobile firm bertone. in a distinct artistic approach that highlights geometry, architecture and engineering, redgrove has captured some of the company’s most radical concept cars from the 1960s and 70s — some never seen before — including designs for alfa romeo, lamborghini and lancia. the series..
잉글랜드 사우스햄튼에 위치한 팝업 우드 시어터는 Nuffield Theatre극단의 공연을 위한 가시설 구조물로 무대와 관객과의 밀착된 공연환경 구축을 위해 아레나 타입으로 디자인된다. 흡사 축구장과 퍼포먼스 홀이 결합되어 있는 듯한 공간구조를 보인다. 이는 극장 스페이스의 드라마틱한 타이폴로지 생성을 컨셉으로 잉글랜드 축구문화에 매치데이를 연상시키는 다이나믹한 관중석 배치로 완성된다. 그리하여 구축된 극장은 심플하며 경제적인 -한대의 크레인의 운용을 통해 구축가능한- 방법론을 구조계획에 적용, 우드팀버를 이용한 빔앤 포스트 모듈 시스템으로 완성된다. 규칙적인 모듈 속에 건축의 리드믹컬함을 동시에 구현하는 디자인은 임시공간의 한계성을 넘어 지속적인 커뮤니티 스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reviewed by ..
재활용 스틸바를 이용한 모듈러 디바이더는 지속가능한 공간구현을 위한 디자인 스튜디오, 펜다의 제안으로 중국내 대도시들에 만연한 환경오염에 대한 반증에서 시작된다. 블랙컬러 페인팅된 그리드 -재활용 스틸바-는 다양한 환경을 담는다. 플랜트 박스, 책, 조명은 카페와의 관계 속에서 랜덤하게 배치되며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역활과 메인 인테리어 요소로 사용된다. 특히 플랜트 박스, 넝쿨식물의 성장에 따라 차차 그린월로 변화하는 내부공간의 이미지는 앞서 말한 환경에 대한 반증이자 지속공간을 풍부하게 하는 작용점으로 제안된다.reviewed by SJ,오사 in beijing, architecture and design studio penda has completed the interior of a local c..
현대 모던 예술작품의 전시와 다양한 소셜활동 보장을 위한 아스펜 아트 뮤지엄 프로젝트의 독특한 외형적 특징은 건축가; 2014년 프리츠커 수상자 시게루 반의 일련에 작업속에서 지속적인 건축을 구현한다. 공간의 본질 탐구를 위한 건축의 심플함은 기본요소의 유기적인 결합 속에서 발현되며 그를 통해 합리적이며 효용적인 건축을 탄생시킨다. 이는 대나무 바구니 제작시 한켜 한켜를 서로 위아래로 교차하며 단단하게 조직화하는 것처럼 파사드 디자인을 패턴화함으로써 내측에 위치한 글래스 커튼월과 더불어 외부환경을 필터링하는 더블스킨으로 제공된다. 공간 본질의 탐구를 통해 실현되는 실용적인 건축은 자의적인 심미적 디자인과는 달리 건축에 대한 합당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구축하게 한다.reviewed by ..
어반 보이드, 도심 재생에 대한 또다른 시각. 워터루 스테이션 지하에 위치한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5개의 터널은 이제 아트, 뮤직, 그리고 스케이드 보드를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 공간; '하우스 오브 반스런던'으로 재탄생된다. 독특한 공간적 체험을 이끄는 창의적인 공간은 풀-스타일의 콘크리트 볼과 스트리트 섹션, 미니램프로 구성된 영국 최대 인도어 스케이드파크와 850명 수용이 가능한 뮤직홀, 퍼블릭 갤러리, 아티스트 작업실가 카페, 시네마, 셀렉트 바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프로그램의 실현은 3개의 자원단체 및 지역 커뮤니티의 후원을 통해 가능해 졌으며 이와 동일한 '반스 브룩클린'의 디자인의 협업을 통해 완성된다. reviewed by SJ,오사 spread across five tunnels w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