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주거단지내 위치한 겸허한 단독주거 프로젝트는 외형적인 특징; 불에 그을린 목재(숯처리된)가 표현하는 쉬크함이 아닌 대지에 순응하는 거주공간 속에서 거주자의 쾌적함과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는 건축환경 구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웃한 건축물들과의 동질화된 형태 속에 자신만의 물성으로 독특한 캐릭터를 구현하는 주거는 내부 지향적인 수렴형 공간에서 발현되는 역동적인 내부를 통해 구체화되고 현실화된다.reviewed by SJ,오사 Imaginative Residence Blends into Suburban Tokyo The gable is such a familiar piece of the architectural vocabulary that its shape alone prompts us to imagi..
샤롯데 아파트먼트의 가장 큰 특징은 도시와 건축의 밀착된 환경조성과 이를 통해 발현되는 새로운 장소성의 정의에 있다. 베를린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지리적 특징은 건축물에 아이텐티한 캐릭터 구현을 요청하며 다음과 같은 외형적 특징으로 실현된다. 베를린 시내를 내려다 보는 뷰포인트를 확보하는 전창 -바닥에서 천창까지 투명한 글래스로 열린 각 세대- 과 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현하는 파사드로 디자인된다. 이는 하이퀄리티 도시생활을 표방, 현대적인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을 제공하는 주거 타이폴로지의 강한 어필로 표현된다. 구불거리는 파사드는 거친 노출콘크리트가 생성하는 픽쳐 프레임과 거주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스테인레스스틸 메쉬 및 난간으로 구체화 되며 9층 높이의 총 28세대 유닛에 독창적인 주거공간을 제공하여 ..
독특한 대지의 상황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건축환경을 구축하게 만들고, 자신만의 고유한 캐릭터를 생성하게 한다. 대지는 2.5미터 폭으로 도로에 접한 길다란 선형과 그로부터 직교하며 생성된 길다란 메인 대지로 구성된다. 대지의 독특한 형상을 극복하기 위한 주거프로젝트는 먼저 도로에 면한 협소한 부분에 건축의 시작을 알리는 인트로를 구축하며 이로 부터 유입된 공간 배후에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한 특별한 거주공간을 생성한다. 이러한 인트로 볼륨은 길다란 대지를 길게 구분하는 콘크리트 월로 부터 공중에 부양하는 듯한 시퀀스를 생성, 하우스만의 고유한 캐릭터를 생성하는 인지성 확보와 내부를 보호하는 차폐성을 동시에 구현한다. 주변 건축물 속에 내부에 위치한 주거를 안내하는 게이트 역활을 수행한다.reviewed..
the workplace of is filled with employees that are powered by warm brews of coffee throughout the day. in order to get their fix, they escape, just for a couple minutes, to the nearest shop around the corner or walk down the thin pathways between cubicles towards the break room. once a cup has been poured, every sip is a hybrid of rejuvenation and relaxation so they can focus on the tasks ahead...
Conceived by bridge specialists Knight Architects and structural engineers AKT II following a limited design competition in 2012, the 3m wide cantilevered structure spans 20m across the Grand Union Canal and is raised using hydraulic jacks with an action similar to that of a traditional Japanese hand fan. This creates a kinetic sculpture whose silhouette is both legible and extraordinary and whi..
Fashion and technology: in the first part of a series focusing on designers who are introducing the fashion world to new technologies, Dezeen speaks to architect Julia Körner about how advances in 3D scanning, modelling and printing are creating a "revolution in customised fashion pieces within ready to wear" 3D-printed garments have become a common sight on the Haute Couture catwalks of designe..
하우스가 지향하는 지점은 분명하다. 현대적인 생활패턴이 충분히 반영된 실용적인 거주환경과 주변환경을 투영한 지역성의 지속성을 목표로 디자인된다. 슬로베니아 남부, 전원의 풍부한 자연; 아름다운 자작나무 숲, 광대한 와인재배지는 하우스 디자인을 자리하게 하는 단초로 주거 중심에 위치한 공용중정을 기점으로 서로 다른 4개 타입의 주거를 결합시킨다. 이것은 현대적인 공간의 전통적인 조합방식으로, 플렉서블한 내부환경 제공을 위한 장스팬 스트럭쳐로 완성된다. 외부와 내부 중정을 연속시키는 거대한 보이드, 그리고 이를 생성하는 드라마틱한 팀버 스트럭쳐 브릿지로 가시화 된다. 여기에 4개의 공간은 각각 북측에 위치한 주인침실, 동측에 위치한 게스트룸과 레져룸, 거실이 위치한 서측으로 완성된다.reviewed by S..
놀이와 예술의 경계를 잇는다. 컴템퍼러리 아트를 위한 OK센터내 설치된 네트는 움직이는 소셜 조각으로 능동적인 양방향 소통공간을 지향한다. 무엇보다 구체화된 구조물 형태가 아닌 유동적인 형태는 오름과 놀이의 체험을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리액션하며 다양한 공간체험을 제공한다. -상부 천장에 매달린 행잉구조로 네트의 특성상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체험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수직동선을 연결하는 매개공간으로도 사용된다.reviewed by SJ,오사 acting as supplementary staircase in the exhibition space at the OK center for contemporary art, ‘net linz’ by croatian-austrian de..
인구 노령화로 인한 급격한 사회구조 변화는 그들; 노인들을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 증대 요인을 가져오며 이를 위한 다양한 시설 확충 및 질 높은 의료서비스 확충을 요구하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 네핀 멘탈 헬스 센터 또한 이러한 요구에 부흥, 기존 병원시설로 부터 확충된 복합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건강한 육체는 건강한 정신에서 비롯된다는 말처럼 회복을 위한 힐링 스페이스는 치유 및 재생을 목표로 크고 작은 내부 중정과 이를 연속시키는 리니어한 병실로 구성된다. -이는 내외부의 밀착된 환경을 구축하게 된다.- 총 64개의 개별병실은 이곳에 상주하는 중증, 급성 그리고 특별한 정신치료를 위한 노인들의 의료공간으로 제공되며 하드 스틸과 글래스 커튼월의 조합으로 완성된다. 중첩된 공간이 발생시키는 시너지는 내외부..
마치 공원을 거닐듯이, 유쾌한 산책이 시작된다. 이번 오피스랜드스케이프는 직원들과 고객들간의 간극을 좁히는 밀착된 내부환경 구축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인테리어 디자인이 적용된다. 먼저 트리로 부터 모티베이션된 우드 스트럭쳐 시스템은 회사이미지의 재고와 디자인 방향성에 초첨을 맞추며 유리 파티션과 소음보드 및 공간을 구획하는 드라이월 시스템으로 각 부서간의 프라이버시와 오프닝의 적절하게 조정되도록 디자인 된다. 특히 각 레벨공간에 위치한 소셜 스페이스; 미팅공간은 독립적인 부스형태로 유연한 복도를 따라 생성, 직원과 고객들의 원활한 커뮤니티 보장과 효율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생성시킨다. 여기에 파스텔 톤의 컬러 코드는 유연한 내부 공간의 밝은 이미지를 배가 시킨다.reviewed by SJ,오사 As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