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nch interior designer and architect Grégoire de Lafforest has created a truly contemporary lounge chair which, behind its apparent simplicity, conceals a well-thought interplay of contrasting elements. The elegant ‘Opper’ chair juxtaposes the rigid, cool Carrara marble volume of its base with the warm, softer leather seat inspired by 1970’s motorbike saddles, all the while combining the funct..
이스탄불 외곽, 게브제 위성도시에 위치한 호텔 프로젝트는 산업단지와 배후 주거지역 그리고 이러한 도시공간을 연계하는 고속도로 인터체인지가 인접한 곳에 자리한다. 이러한 장소적 특징은 호텔의 고유한 캐릭터 구현과 인지성 확보를 각인 시킨다. L-형태의 장중한 볼륨은 호텔의 외형적 특징을 적나라게 표출하는 동시에 상부 객실부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한 각 세대간 프라이버시 및 뷰의 확보를 이끈다. 12,000㎡ 면적, 162 객실로 이루어진 호텔은 구조적으로 크게 2개의 메인 볼륨으로 구분된다. 2개층으로 이루어진 저층부; 포디움층은 호텔 내 각종 공용부가 위치하며 투숙객들의 편안한 휴식과 레크레이션을 제공한다. -로비, 바, 레스토랑, 미팅룸 등이 위치한다.- 상층에 위치한 객실부는 총 3가지 타입으로 스탠다..
비즈니스 플랜의 새로운 패러다임; 브루클린 서머힐에 위치한 코워킹 스페이스는 새로운 형태의 인큐베이션 비즈니스 플랜으로 학생, 프리랜서, 창업 초기의 사업가, 또는 전문가 등,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브레밍 스토밍과 정보교류 지원을 통한 협업 작업에 목적을 둔다. 이는 고정적인 일터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작금의 시대현상을 반영하는 결과물로 주로 크리에이티브 비즈니스 플랜과 IT사업 등 초기 저 자본으로 시작 할 수 있는 사업에 적용되어 지고 있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스페이스는 회의 및 미팅 또는 공동작업과 개인작업을 진행 할 수 있는 오피스 영역과 다양한 활동, 레크레이션을 즐길 수 있는 액티브 영역으로 구분된다. 사실 구분되어진다기 보다 합성되어 같이 있다는 표현이 맞는 표현같다. 자연스럽게 ..
여기 팩토리의 구성원리는 단순하다. 기능. 그리고 이러한 기능을 수반하기 위한 공간들은 물류동선, 작업동선의 우선순위에 따라 배치되고 정렬된다. 의약품과 식료품의 생산과 연구 그리고 이에 대한 프리젠테이션, 교육의 프로그램을 담고 있는 팩토리의 심플한 외관은 노출콘크리트를 이용, 내부 프로그램의 기능을 적나라하게 표출한다. 총 3개층으로 구분된 팩토리는 생산라인과 이에 따른 각종 유틸리티 -저층부는 물류동선에 위치한 하역장을 비롯, 생산품의 적재, 원료의 적재 지역과 생산라인으로 구분된다.- 가 위치한 저층부, 생산품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 및 프리젠테이션이 이뤄지는 중층 그리고 연구시설이 배치된 상층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레벨 공간은 앞서 말한 것처럼 팩토리를 구축하는 주요한 법칙; 물류동선에 따라 ..
건축을 디자인하는 영감은 자연을 모티브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번 오브제 프로젝트 또한 자연의 일부분 식물; 나무를 모티브로 구조화, 공간에 색다른 시퀀스를 형성한다. 치열한 생존법칙 속에 각 식물들은 저마다 더 많은 가지와 잎사귀를 통해 광합성한다, 그리고 성장한다. 이러한 형태론; 타이폴로지는 이번 오브제의 구축, 형태론에 적용되며 삼각형태의 세그먼트로 타이트한 형태를 구축한다. 천장에서 지면까지 연속된 형태의 흐름은 디지털 시뮬레이션된 형태를 패브릭케이션하며 내부의 LED를 통해 빛의 기둥으로 발현된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구축된 타이폴로지는 향후 캐노피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활용 가능하다. reviewed by SJ Orproject developed a series of algorithms t..
상파울루, 캄피나스, 70만제곱미터 대지위에 건립된 산타더 뱅크 데이타센터를 구축하는 대원칙은 각 건축물 간의 시큐리티 확보와 그 속에 구축된 공간의 쾌적한 환경조성에 있다. 운영 및 시큐리티 차원에서 구분, 독립된 3개의 건축물은 대지를 분할하는 장축의 대형 콘크리트 월과 랜드스케이프 속에서 전략적으로 배치된다. 각 건축물은 지하2층 지상1층 규모 구성되며, 그중 'NOC'로 불리우는 중앙 컨트롤 센터는 각 공간을 연결, 운영하는 전략적 요충지에 입지한다. 그외 각각의 두개 건축물은 대형 수직 콘크리트 월과 이와 평행하게 구축된 스톤월 사이에 조성된 내부 정원을 경계로 독립성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첫번째 건축물에는 리셉션, 워크룸, 서비스 스페이스가 배치되며, 두번째 복합 메가 블럭에는 오퍼레이션 센..
헝가리 쾌세그, 외곽지역 채석장에 위치한 주거 프로젝트. 주변환경과 대비되는 심볼릭한 형태가 특징. 하우스를 디자인하는 재료와 형태는 각기 다른 요소에서 다른 스케일로 적용, 리니어한 주거의 공간을 완성. 특히 거주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반영된 주거 플랜은 연속된 보이드와 솔리드를 주변에 위치한 바위와 매치하며 두드러지는 건축의 캐릭터를 구현. 여기 주거의 외형적 특징을 정의하는 다크밴드 -수직패턴이 가미된 팀버 판넬- 가 리니어한 주거를 밴딩하며 대비감을 증폭 시킴. 내부에 위치한 각 공간은 인접한 바위 또는 울창한 숲에 향하며 외부와의 관계성 확보. 그렇게 주거는 오가닉한 환경 속에서 자신의 당위성을 구현함으로써 심볼릭화 된다. reviewed by SJ in the outskirts of kőszeg..
파리 시내에 위치한 파졸 스포츠 센터는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여가활동 지원과 커뮤니티 활동 보장을 위해 제안된다. 2개층 높이에 47미터x 27미터 크기의 스포츠홀이 위치한 상층부는 메시브한 볼륨으로 각각 파사드에 패턴화된 개구부와 지붕에 디자인된 톱날 같은 형태의 천장으로 채광과 환기를 확보한다. 저층부는 주민들의 공용공간 제공을 위해 휘트니스 센터와 전시장, 동측 대형 테라스가 투명한 글래스 파사드 속에 배치된다. 이러한 공간적 특징은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유도하며 지붕면에 설치된 태양광 전지판과 함께 센터를 지속가능한 건축으로 이끈다. reviewed by SJ The Pajol Sports Centre is a new facility in the 18th arrondissement of Paris...
싱가폴, 금융 중심 구역에 위치한 부띠끄 캡슐 호텔의 가장 큰 장점은 최소의 공간으로; 최소의 비용으로 간편하면서도 평온한 그리고 편리한 숙박공간을 여행자 또는 비즈니스맨에게 제공한다는 점이다. 83 개의 캡슐; 정제된 공간은 캡슐호텔이 지향하는 모던과 미니멀 디자인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고객들 개개인의 맞춤형 개인서비스를 지원, 편리함과 안전함을 도모한다. 이밖에 세탁서비스와 조식서비스, 네스프레소 커피, 하이스피드 와이파이가 제공된다. reviewed by SJ Formwerks Architects have designed the POD Hotel in Singapore. The POD is Singapore’s latest boutique capsule hotel catering to discern..
자연 속에 건축은 순응하고 그에 합당한 공간 및 볼륨을 만들어 낸다. 여기 시카고 클라크 공원내 수변가에 위치한 보트하우스는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우를 첫번째로 이러한 환경의 연속성을 두번째로 그리고 수상활동; 조정을 위한 공간 제공을 위해 자리한다. 공원내 야외활동과 수변가의 다양한 야외활동을 연속, 연결시키는 레크레이션 스페이스 구축은 수변가에 다양한 퍼블릭 스페이스 구축과 이를 대표하는 연속된 박공지붕 형태의 건축; 보트하우스를 구축한다. 이러한 톱니형태의 연속된 박공지붕은 보트하우스의 고유한 캐릭터를 구현하는 동시에 시카고의 사계절에 순응하는 친자연적인 건축을 지향한다. -지속가능한 건축은 남측으로 열린 연속된 천창을을 계획한다. 이를 통해 건축물은 여름철에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자연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