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과 반투명 그리고 불투명, 그것이 표현하는 열림과 닫힘. 그것은 거주자의 안락한 거주환경 확보와 개인 작업공간을 포함하는 유틸리티 공간 제공에서 시작한다. 확연히 구분된 2개층 높이의 주거는 반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처리된 저층부, 워크샵과 그레이톤으로 채색된 박공지붕형태의 상층부; 주거로 구성된다. 반투명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된 워크샵은 시각적 필터링과 외부 채광의 필터링을 통해 중형 트럭의 주차를 포함하는 다목적 공간으로 거주자의 다양한 여가활동을 지원한다. 주변 전원풍경으로 열린, 남측에 위치한 대형 발코니가 인상적인 상층부 주거는 거주자의 프라이버시 단계에 따라 외부와의 개폐지수를 달리하며 다양한 오프닝으로 외부와 호흡하는 안락한 주거를 완성한다. 그렇게 상이한 두개의 공간은 결합되어 하이..
hungarian designer kisszsombor has created the ‘kzs cycle’, an urban minimal cruiser concept. the basic idea was to combine a series of 2D lines with 3D forms, transforming a flat design into a usable object.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is defined by its unique components, phosphorescent rectangular frame and fork, wooden handlebar, saddle, pedals. the geometric shape of the structure offers a ..
start-up company vertty has reinvented the traditional beach towel, using a triangular-shaped design and eco-friendly materials. the team of portuguese entrepreneurs developed the concept while surfing in australia, influenced by the fact that most towels appear very similar they wanted to conceive something unique and adopted the slogan, ‘try a different tryangle’. handmade and produced in port..
어반 서클, 도시를 그리다. 인상적인 시퀀스를 형성하는 광저우 서클은 유구한 중국의 전통문화를 계승, 현대 도시공간 속에 새로운 건축적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일반적인 고층 빌딩과는 차별화되는 건축물의 형태는 약 2000여년전 중국왕조를 의미하는 황실심볼을 형상화 한 것으로 주술 또는 점쾌에 사용하는 (두개의 원형판)옥쟁반을 모티브로 디자인된다. -두개의 원형이 평행하게 구성된 형태는 중국인이 영원불멸의 의미로 즐겨하는 8자; 이 또한 상형문자로 부터 온 것 을 강물에 비친 두개의 원형으로 완성한다. 하나는 현재 도시의 랜드마크, 또다른 하나는 과거의 역사적 문화를, 이렇게 두개의 원형은 무형적으로 유형적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완성된 건축물은 138미터 높이에 33층이 총 85,000m2 면적을 이루며 ..
공간을 지배하는 회색은 플래그쉽 부띠크를 대표하는 새로운 블랙의 또다른 이름이다. 절대 지루하지 않은 고고한 회색은 차가움과 따뜻함이 공존하는 컬러로 부띠크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디자인제품의 바탕이 되어준다. 촉감적인 질감을 통한 내부는 단일화된 색을 통하여 형태의 본질에 한발 더 다가가며 이와 대비되는 육감적인 제품을 돋보이게, 제품의 그림자로 원형;the original form 의 이미지를 그려낸다. reviewed by SJ dutch design pair Rolf Snoeren and Viktor Horsting celeb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ir Viktor & Rolf brand by opening a massive Paris flagship store ..
시간을 관통하다. 14세기 역사적인 전투; 아툴레이루스 전투를 기념하는 뮤지엄은 대지의 시간을 현재의 장소에 투영하며 대지가 갖고 있는 시간테의 단면을 표출한다. -14세기 치열한 전쟁터였던 장소는 이제 도시정원으로 도시인들의 퍼블릭 스페이스,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어반 노드로 제공된다.- 과거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건축적 어휘의 사용은 장소의 시간을 은유적으로 때로는 직설적으로 재구성한다. 중세시대 건축의 촉감적인 텍스쳐는 불규칙적인 컬러 콘크리트의 장중함 속에 수평으로 삽입된 판석 슬래브와 함께 살아 움직인다. 마치 사람의 손으로 빚은 것처럼. 이러한 건축적 어휘의 하일라이트를 이루는 보이드 스페이스는 직설적으로 도시정원과 도시를 연속시키는 동시에 은유적으로 과거의 시간과 현재의 공간속으로 연속시..
이종결합, 소통을 이야기 하다. 해변가 드라마틱한 시퀀스를 자아내는 건축물은 해양연구센터와 전망대로 이루어진 복합시설물로 해양연구를 위한 과학자 및 학생들의 공동주거가 자리한다. 저층부에 위치한 레스토랑을 포함한 상층부의 74 스튜디오 유닛을 감싸는 파사드 디자인은 건축물이 지향하는 컨셉을 이야기하는 동시에 내외부를 필터링하는 버퍼 스크린으로 사용된다. 주변 랜드스케이프로 부터 차용된 형태와 컬러는 구불구불한 해안선, 높고 낮음의 연속적인 산등성이, 그리고 다양한 곡선이 가지처럼 뻗어 있는 산호초를 직간접적으로 이야기하며 외피를 완성해 나간다. 더욱이 이러한 텍스쳐를 통해 구분되는 내외부의 관계는 외부로 부터 내부의 시선을 차단, 거주자의 안락한 생활을 보호하는 동시에 오프닝을 통한 다량의 채광과 환기 ..
하우스의 건축적 헤게모니를 정의하는 주요한 수단; 물은 자연과 도시를, 건축과 인간을, 심연과 공간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운하를 이용한 교역의 발전으로 다져진 지역적 특징은 여기 하우스의 내외부 경계를 구분, 연결하는 중정과 연못에 투영된다. 그렇게 투영된 공간의 이미지는 지역적 건축양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건축, 그리고 이를 가능케 하는 나무와 석재와 앙상블을 이루며 거주자에게 최고의 안식처로 제공된다. reviewed by SJ the city of lijiang, china, is known historically as a trading settlement marked by bridges and canals activated by the presence and utility o..
삶의 연장자; 노인들을 위한 주거시설은 그들의 안정적인 삶을 제공하는 안식처로 주위환경과 긴밀하게 조우되는 건축공간 속에서 실현된다. 확연히 구분된 두개의 생활공간으로 분리된 주거동은 중심부에 위치한 메인홀과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주출입구로 구성된다. 효율적인 동선체계 구축 및 합리적인 공간 조닝을 통해 입주민들은 개인적인 생활공간 확보 속에 사생활보호와 작업공간 확보를 완성한다. 여기에 내부와 외부, 퍼블릭과 프라빗, 글래스와 우드 등 각각의 대비되는 요소 및 개념이 친밀하게 발란스를 이루며 노유자시설을 대지속에서 자립시킨다. -건축의 외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글래스 박스는 각 개실마다 외부의 뷰와 채광을 확보하는 동시에 우드와 글래스, 보이드와 솔리드로 구분, 대비되는 건축의 다양성을 표현, 건축을..
빛은 공간을 산란시키고 공간을 빛나게 한다. 헤어샵 인테리어의 가장 주요한 디자인 요소로 사용된 천장 설치물은 가공되지 않는 재료의 날것?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제품으로는 구현 할 수 없는 질감과 캐릭터를 형성한다. 알루미늄 패널; 메탈의 찬란한 반짝임과 휘어짐은 재료가 갖고 있는 물성의 특징으로 물과 머리카락의 휘어짐, 흐름을 은유적으로 또는 직설적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엘레강스한 육감적인 곡선의 향연을 통해 공간은 빛과 함께 산란되어 찬란하게 정의된다. reviewed by SJ The space is made up by the charm of its raw materials. By using aluminum and bringing out the beauty of the material, the a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