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ippe Stuebi Architects 가 설계한 주거프로젝트의 주된 특징은 까다로운 대지상황을 극복, 모던하면서도 안락한 거주공간을 형성하는데 있다. 게다가 상반된 두가지 시선이 공존하는 특색있는 공간으로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현대적인 모던함을 베이스로 디자인된 주거는 거리에 면한 전면부를 중성적인 이미지로 디자인하는 동시에 측면과 후면부는 대지를 투영한 부정형의 폴리곤 형태로 디자인하며 상반된 건축환경을 구축한다. -자연과의 교접을 통한 공간은 강렬한 컬러와 텍스쳐가 조화를 이루며 고유한 캐릭터를 갖는다. 내부에 배치된 각 개실은 각자 고유한 기능을 갖으며 분리, 기능동선에 따라 연속된다. 특히 지면으로 부터 2개층 오픈된 거주자의 서재; 도서관은 4개층에 달하는 주거의 중심 생활공간으로 ..
넘버 6 프로젝트의 지향점은 과거와 현재를 연결, 시공간을 뛰어넘는 건축의 아름다움을 통해 안락하며 평온한 거주환경을 확보하는데 있다. 1663년 건립된 팔라조 리노베이션은 이전의 시간이 새겨진 건축환경을 존중, 이전 바로크 시대의 디자인을 수복, 재발견 시키는 동시에 현대적이며 감각적인 디자인과의 다이나믹한 조우를 연출한다. 그것은 건축가가 여기에 디자인 어휘로 사용하는 두가지 요소; 빛과 재료의 경게없는 만남에서 시작된다. 도시를 향한 외부는 시간을 훌쩍 뛰어넘는 바로크 양식으로 수복, 재현한다. 이와는 반대로 중정으로 면한 내부의 건축환경은 새롭게 구성된 36개의 유닛과 공용공간; 퍼블릭 캐터링과 아트스페이스이 과거와 현재의 환상적인 조화 속에 안락한 거주공간으로 재탄생되도록 도와준다. 특히 백색의..
프랑스 팬틴에 새롭게 들어선 PRD 오피스는 포지티브-에너비 소비를 통한 지속가능한 건축환경을 구축한다. 이에 생산된 에너지는 난방, 조명, 환기, 온수 그리고 직원들을 위한 전기차량의 충전에 사용되며 잔여분은 EDF그리드로 전송된다. 유연한 화이트 외장재료 또한 셀프크리닝 기능과 내오염성 기능이 향상된 코리안(세라믹 패널)을 사용,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연속시킨다. 그리고 또한 전체 1.35미터 간격으로 디자인된 리니어한 윈도우는 외벽면의 개폐비율을 40%로 유지하면서도 내부로 풍부한 자연광을 유입시켜 거주자에게 쾌적한 비즈니스 환경의 구성을 도와준다. reviewed by SJ The office building project delivered in Pantin (Greater Paris) by the..
거대한 캔버스가 펼쳐진다. 건축주의 다양한 예술장식품을 감상 할 수 있는 프라빗 갤러리 하우스 카사쿠바는 예술작품을 위해 한발 물러선 건축환경을 형성한다. 소극적인 건축이 아니라 내부에 전시된 예술작품의 감상을 위해 컬러가 배재된 백색의 공간으로 디자인된다. -철저히 장식이 배제된 무형질공간- 총 3개층으로 구성된 내부 공간은 오픈 플랜으로 구성된 도서관이 위치한 메자닛층을 기점으로 그라운드 레벨에 리빙스페이스와 로비가 배치되며 독창적인 나선형 계단으로 연결되는 상부에 건축주의 프라빗 룸이 배치된다. 건축주의 개인적인 여가생활은 물론 손님 접대를 위한 게스트하우스로도 사용된다. reviewed by SJ Just like Hong Kong’s Duddell’s, a restaurant-cum-creati..
오스트리아 린츠공항 메인 출입구 전면에 설치된 거대한 오브제는 물결치는 웨이브의 인상적인 시퀀스를 형성한다. 사실은 250대 분량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 시스템으로 모듈화된 30개의 깔대기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틸 스트럭쳐 위에 백색의 멤브레인으로 마감, 디자인된 모듈(11X18미터) 유닛은 개별적인 형태미는 물론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사용자 또는 사용처에 따라 모듈을 빠르게 가변적으로 확장, 축소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reviewed by SJ austrian studio HPSA has completed an undulating carpark roof using 30 separate funnel-shaped membranes. located in front..
상반된 두개의 시선이 공존한다. 감추기와 드러내기. 뉴욕시 외곽, 한적한 전원마을에 인상 깊은 시퀀스를 연출하는 하프든 하우스는 두명의 시인의 공생을 위한 주거시설로 1972년 건립된 주거를 리노베이션하여 1층에는 차고와 복도를 2층에는 서재와 작업실 그리고 3층에는 그들에게 영감을 불어 넣는 독서실로 구성된다. 특히 마을을 향해 열린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와 그것을 동질화 시키는 백색 실리콘계열의 패브릭은 주거의 전면부를 디자인하며 후면부에 자연으로 열린 거대한 보이드와 상반된 시선을 형성한다. 과연 하우스는 드러내는 것일까? 감추는 것일까? reviewed by SJ The Haffenden House, designed by Para-Projects, is a writing studio for two ..
스페인 북부, 로그로뇨를 여행하는여행자의 안락한 쉼터를 제공하는 호스텔은 기존 낙후된 건축물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현대적인 모던함이 베어나는 숙박시설로 제공된다. 생동감 넘치는 지역문화의 경험을 위한 전초기지, 호스텔 내부공간은 기존 공간의 존중과 적절한 조율 속에 깊은 공간감을 형성한다. 특히 기존 지붕 지지재 -목조 프레임-는 새로운 지붕을 지지하는 구조체 역활과 새로운 백색벽과 시간을 뛰어 넘는 대비감을 통해 내부를 풍부하게 연출한다. reviewed by SJ Spanish architect Sergio Rojo has recently completed the extensive refurbishment of a building which began to deteriorate at the turn o..
건축은 태생적으로 자연을 지향하며, 자연과의 접점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계획, 구축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이 완성되었을때 비로서 건축은 자신의 당위성을 인정받는다. 여기 아름다운 남해가 내려다 보이는 드라마틱한 장소에 위치한 사우스케이프 오너스 클럽하우스는 내외부가 밀착된 공간계획을 통하여 건축을 자연 속으로 동기화 시킨다. 내외부의 경계가 없는, 외부환경을 내부로 필터링 없이 유입시키는 투명한 글래스 파사드, 그리고 이러한 건축공간을 구조적으로 가능케 하는 필로티 기둥과 콘크리트 바로 이루어 진다. 두동으로 분리된 내부 프로그램은 골프리조트 시설과 식당 그리고 스파시설(남,여)로 구성된다. 특히 수려한 곡선미를 보여주는 콘크리트 바는 클럽하우스의 외형적 특징을 정의하는 디자인 요소이자 구조부재로 두..
백색은 공간을 상징화 하고 배치된 예술작품의 편안한 관람들 유도하기 위해 공간 속으로 사라진다. 그리하여 남겨진 곡선들만이 공간, 갤러리를 정의한다. 곡선은 내부 공간을 가득 메우며 뫼비우스 띄와 같이 연속된 끝임없는 공간을 만들어 낸다. 여기 홍근 아트갤러리를 정의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은 예술과 건축의 발생지를 직간접적으로 상징하는 동굴, 그 아치형태로 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이 아치들은 다양한 방향으로 연속되며 방문객들의 시선과 동선을 유도하는 기능적 요소와 갤러리를 상징하는 디자인 요소로 적용된다. 단일화된 컬러는 백색으로 공간의 당위성을 뚜렷히 한다. reviewed by SJ Stand outside the new Hongkun Art Gallery/Art Arcadion, and you’re f..
풍부한 자연환경 속 자리한 클램핑 플레이스는 색다른 캠핑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아웃도어 레크레이션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글램핑텐트는 기존 캠핑텐트와는 차별화되는 공간, 경험을 제공하며 총 두가지 타입으로 배치된다. 조약돌로 부터 영감을 받아 제작된 적층된 도넛형태와 선형 모듈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듈러 시스템 타입으로 디자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닛을 구성하는 고궐리티 멤브레인은 방수, 내화, 자외선차단의 기능을 수반하며 우리나라 사계절에 기후에 대응하도록 2개의 레이어로 구축된다. 각각 텐트는 다음과 같은 테마로 제공되며, 실내에 설치된 예술작품이 페인팅된 아트월과 함께 자연속 색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각각 텐트는 바다, 사막, 개울, 산, 계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