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닮기 위해선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여기 화이트 울프 호텔은 이러한 질문에 이렇게 답을 한다. "자연과의 조우를 위한 접점을 최대한 넓히며, 넓혀진 면을 밀착시켜 간극 없는 내외부를 구현한다." 최근 포루투칼, 빼나피엘에 건립된 화이트 울프 호텔은 풍부한 주변 자연환경과의 친밀한 교감, 대지에 투영된 장소성의 영속성을 건축공간의 모토로 시작된다. 건축공간의 숙명적 사명은 고요함, 친밀함, 치유, 휴식을 위한 공간구현으로 단일 건축물 안에 프로그램을 응집시키는 대신 공간을 소규모로 분산, 배치하여 자연과의 접점을 증폭, 거주환경의 퀄리티를 상승시킨다. 여기 건축형상과 내용은 베이직, 클리어, 다이렉트 지오메트릭 폼, 자연의 이해와 해석; 즉, 사용자와 건축물 간의 자연스러운 교감을 위해 디자인 ..
공간을 디자인하는 주요한 모티브는 자연으로 부터 추출한 요소를 현대적이며 감각적인 디테일을 통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오피스랜드스케이프로 완성된다. 2층, 50,000 sq ft 의 백색공간 속에 자리한 리셉션, 미팅룸, 라운지는 지형으로 부터 추출된 디자인 요소 및 가구와 함께 기업의 아이텐티를 고개들에게 전달하는 매개체가 된다. reviewed by SJ,오사 Expressing the mission of a company through its office design can easily devolve into overpowering corporate colors and haphazard logos. But at the PanAtlantic Exploration Company, high up i..
이제 또다른 드라마를 목격할 차례이다. 인간과 신을 연결하는 장소; 교회를 현대적인 생활이 투영된 공용공간; 도서관으로 리노베이션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퀘백의 유명 어린이 동화작가 Monique-Corriveau를 위한 헌정도서관으로 이전 교회의 강한 카리스마를 이용, 그녀를 기념하는 상징적 오브제로 탈바꿈 시킨다. 이전 신을 향한 짙은 종교적인 색채는 거대한 메타포를 담아 유동적이며 다이나믹한(동적인) 형상으로; 거대한 텐트와 같은 형상으로 건축적 아름다움과 종교적 공간으로 완성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외형적 특징, 동적인 흐름의 구현은 지면으로 부터 경사지붕을 들려 올리며 그 사이로 내부의 채광을 위한 창문을 수평으로 연속시킴으로써 구현된다. 특히 이러한 건축적 장치를 가능케하는 내부 구조시스템은 거대한..
그의 생각을 담다. 자연으로 부터 추출한 요소들은 합성되고 중첩된다. 그리고 이렇게 다시 동적인 에너지를 받아 움직이며 2차원 캔버스에 3차원 공간으로 확장된다. 포루투칼을 대표하는 화가 디르 알폰소를 위한 아트센터는 그렇게 그가 추구하는 예술세계를 담는 그릇이 된다. 이질적인 상반된 두개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예술세계를 구현한 그의 작품처럼 중세의 시간을 간직한 작은 마을 보티카스에 감각적이며 현대적인 외형으로 아트센터는 자리한다. 시티홀과 국제 고속화도로의 교차점을 연결, 협소한 후면과 광활한 전면부를 연결한다. 마을 향한 전면 커튼월과 자연이 연속된 루프가든은 이러한 접점을 백색 콘크리트로 구축된 무균질한 전시장 속으로 유입, 자연스레 그의 작품 속으로 연결시킨다. 아트센터는 그의 작품을 위한 백색..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외곽지역, 작은 마을에 위치한 노스스타 아파트먼트 프로젝트는 주위 이목을 끄는 특색있는 파사드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장소성을 정의한다. 주위 외부환경으로 부터 내부거주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건축적 어휘; 비정형 발코니는 태양의 직사광선 방지 -태양의 괘적을 고려하여 발코니의 돌출 각도를 조정한다.- 와 도로변 차량의 소음 방지를 위해 각 주거에 설치된다. 장소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 부여는 4개층, 9개실의 공동주거 -도로변 저층부에는 5개의 소규모 삽이 배치된다.- 가 지닌 지리적 특징을 연속, 발전시키며 이 지역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하게 한다. reviewed by SJ,오사 This social housing block in Slovakia by Bratislava studio..
500m2 공간을 인테리어하는 주요한 테마는 흐름이다. 고객들의 원활한 쇼핑동선의 제공은 가시성 높은 디스플레이와 각 공간의 특성을 잘 살린 독립성 확보와 이를 막힘없이 연결하는 소통공간으로 완성된다. 책을 전시, 판매하는 디스플레이 스페이스와 휴게공간, 컨퍼런스 스페이스, 레스토랑 및 바는 이러한 플랜 속에 배치된다. 기존 아치형 입구를 따라 계획된 내부공간은 중앙부에 위치한 대형홀을 기점으로 각기 다른 테마로 인테리어된 작은 공간들로 연속된다. 여기에 백색으로 페인팅된 바닥과 벽은 책의 가시성 확보 -다크컬러의 책장과 그 속에 비치된 다양한 이미지의 책들- 와 명쾌한 동선구현을 위해 인테리어 된다. 책의 진열공간을 제외한 기타 서비스공간은 블루컬러의 아치로 연결되며 각각 다른컬러와 이미지로 고객들의 ..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을 지향한다. 구글을 표방하는 오피스랜드스케이프는 기존 창고건물을 직원들의 효율적인 업무공간 확보와 열린 커뮤니케이션을 목표로 디자인된다. 새로운 사무공간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기존 건축어휘는 격자결이 살아 있는 파케이를 재사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간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적벽돌, 크레인 트랙 그리고 기존 건축물을 지지하는 스트럭쳐로 현대적이며 감각적인 인테리어 요소와 짝을 이룬다. 특히 원활한 소통을 위한 오픈플랜은 마을 속 각기 다른 건축물이 자리하듯이 업무공간과 공용공간이 반복적으로 조닝, 연결된다. -구분된 업무공간 사이사이에 컨퍼런스룸과 소규모 도서관이 자리한다.- reviewed by SJ The work place as we know it is undergo..
라이카가 선물하는 시간의 영속성 또한 카메라를 소유하게 만드는 원인이며, 카메라 자체의 소유로도 행복감을 전달하는 것이 라이카 만의 매력이다. 로스앤젤레스에 들어선 라이카 메가 스토어는 저층부에 자리 잡은 거대한 카메라 예술품이 상징 하듯이 카메라를 만나는 다양한 공간을 제공한다. -약 천파운드의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하여 제작- 기존 광고대행사의 건축물을 새롭게 리노베이션한 스토어는 라이카를 상징하는 블랙 바탕의 레드컬러 앰블럼을 전면 파사드에 디자인, 스토어의 당위성을 연계하며 총 8,000스퀘어피트 면적 속에 다양한 전시공간 및 쇼케이스를 배치한다. 콘크리트 또는 화이트 오크 플로어와 화이트월 그리고 블랙선반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스페이스는 라이카의 역사와 시간을 나열한다. 그리고 또한 다른 층에..
This house was designed by Hiroyuki Shinozaki Architects for a family of three in a residential area of Tochigi, Japan. Each space is divided by the stone wall, mined locally, and by the arcs supporting the big roof. House I, Tochigi, Japan Program: single family house Architects: Hiroyuki Shinozaki Architects Design team: Hiroyuki Shinozaki, Sota Matsuura, Tatsumi Terado Structural Studio Struc..
얼음과 공기, 카이세리 아이스링크를 디자인하는 모티브로 때로는 직설적으로, 때로는 은유적으로 건축의 언어를 통해 구현된다. 아이스링크의 측면을 디자인하는 오프닝으로, 주출입구의 거대한 캐노피를 지지하는 오가닉한 기둥으로 표현된다. 시내 중심부에 약 9km 떨어진 카이세리 아이스링크는 도심지에서 쉽게 즐길 수 없는 어반스포츠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스페이스로 약 2600스퀘어제곱 면적안에 그라운드레벨과 메자닛레벨로 구분된다. 그라운드 레벨은 공용기능과 다양한 소셜활동을 보장하는 라운지와 30X15미터 크기의 인조 아이스링크, 그리고 이를 에워싼 관중석과 유리파티션으로 구분된 락커룸, 유치원으로 구성된다. 메자닛레벨에는 아이스링크를 살펴 볼수 있는 모니터실이 포함된 카페가 운영된다. 특히 아이스링크의 독창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