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터 하우스 물가에 위치한 산자락에 지어진 기존 1층집을 리뉴얼한 프로젝트입니다. 옆집의 뷰도 존중하여 2층정도의 볼륨으로 다시 리뉴얼 했어요. 북쪽으로는 바다를, 중정으로는 풀장을, 어찌보면 물속에 있는 하우스 라는 생각이 드네요. 저층부에 넓게 펼쳐진 식당과 거실은 각각의 외부 공간과 만나서 내외부의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네요. 이번 프로젝트 역시 고급개인주택의 주된 패러다임으로 보여주고 있어요 뷰를 위한 공용공간의 선형적 배치 그리고 마스터 스페이스와 게스트 스페이스의 적절한 위계 배치. 뷰와 공간적활용에 의해 나오는 최선의 구성이 아닐까 싶네요. Corben Architects designed the Mosman House in Sydney, Australia. This new, three stor..
오스카 니마이어의 개인주택 리뉴얼 프로젝트 살아있는 전설 오스카 니마이어가 설계한 개인주택의 리뉴얼 프로젝트 입니다. 주요 구조체를 제외한 나머지를 철거하고 다시 계획하였는데 리니어하게 길게 뻗은 오픈플랜의 장점에 덧붙여 가변으로 열리는 플렉시블 도어를 통한 침실구성이 특징이네요. 지금의 개인 고급주거에 어울리는 오픈플랜구조이지만 니마이어와 같이 선구자가 시도할 당시에는 이해 안돼는 구조였죠. 모던건축가 이전에는 명확한 실로 구성된 벽식구조의 셀개념의 주거형태가 주되였으니까요. 지금의 우리가 살고 있는 아파트는 세대원이 많아 방이 개수를 많이 해야 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인 구조형태(벽식구조) 와 맞물려서 지금의 주거형태를 보이고 있지요. 하지만 경제적 발전과 가족개념의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실의 개수를 늘..
미네소타 도서관 리노베이션 고밀도 주거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외면 받던 도서관을 새롭게 리노베이션 했어요. 우선 2층에 공간을 증축하여 부족했던 공간을 충족시켰네요. 공간이 넓어진 만큼 중앙에 오픈스페이스 공간을 두어 이곳으로 외부의 빛과 시야가 들어 올 수 있도록 하였어요. 결과론적으로 이 효과를 통하여 친환경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였지요. 건물의 깊이가 깊어지면 질수록 쾌적성은 떨어지기 마련이거든요. 공간이 아닌 실로써의 기능을 위해서는 계획시 실의 깊이를 어느정도에서 맞출 것인가도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해야 하는 부분중에 하나지요. 너무 깊으면 쾌적성을 위해 기계장치의 도움을 많이 받아야 하고 깊이가 얕으면 그만큼 실로 사용하기가 어려우니까요. 다시 돌아가면, 저층부에는 마젠타색의 ..
방콕 오피스텔의 진화 대부분의 도시구조가 발전해 나가면서 패턴 또한 변화하고 있어요. 여기 방콕이라고 해도 예외는 아니죠. 그동안 한세기 넘게 거대 도시로 발전해 오고 있는 방콕 또한 이와 같은 패턴의 변화는 오피스와 주거의 결합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보여주고 있어요. 오피스텔은 주 업무시설의 보조 시설로 주거가 있는 프로그램이라 제대로 된 주거시설을 우리나라 법에서는 할 수 없는 현실이죠. shophouse는 그와는 다른 개념이죠. 어쩌면 도시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두되는 자연스러운 현상 이기도 하고요. 주거와 업무시설의 대등한 복합결합체로 디자인 사무실, 건축, 인테리어, 소호샵 등 의 업무시설과 만남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겠네요. 방콕 기후상 나타나게된 이중외피 구조나 긴 수평루버형식을 여기서도 ..
오리가미 콘크리트 종이를 접듯이 오리가미 패턴으로 건물의 형태를 구축했어요. 외부와 내부의 경계, 바닥과 천장과의 경계 마저 오리가미 패턴 안에 숨겨 버렸어요. 그 덕분에 우리가 보는 이미지와 같이 독특한 내외부 공간들이 연속성을 가지면 펼쳐지네요. 접혀진 부분이 많은 곳은 자연스럽게 프로그램이 위치하고 열려진 곳은 외부와 연결되는 공용공간으로 계획되었네요. 맨 외곽의 한켜씩 펼쳐 나가면 결국에는 한장의 면이 되어 버릴 것만 같네요. This multimedia library in Anzin, France, by Strasbourg architects Dominique Coulon & Associés is wrapped in overlapping slices of concrete. Reading room..
폴딩테이블 간단히 접어서 사용 할 수 있는 테이블 이에요. 수납도 편리하고 디자인 또한 훌륭하네요. 구조 또한 간단해서 접었다 펴는 방식이 편리하게 되어 있어요. 다목적 강당이나, 레크레이션 홀 같은 곳에서 플렉시블 하게 사용하면 좋겠어요. Cologne 2011: this folding table by Swedish designers AKKA is one of two joint winning projects in this year’s [D3] Contest, an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young designers organised by trade fair imm cologne. Called OLA after one of the designers’ fathers, the ..
사인,표지판 그이상 시안성과 디자인의 두마리 토끼를 한번에 잡았어요. 우리가 흔히 시안성을 위해서 빨간,노랑,파랑 등 원초적인 RGB값의 색을 사용하는데 여기는 폴리카보네이트 우유빛 반투명막이 은은하게 거대한 구조물을 감싸고 있네요. 직설적인 언어를 쓰되 촌스럽지 않는 것이 생각보다 힘든일인데 이런 기술을 많이 배워야 겠어요. These road signs have been installed at three industrial parks in Madrid by Brut Deluxe Architecture + Design of Madrid and Lisbon. Called Totem de.dos, the illuminated sign posts have a glavanised steel structure,..
카사블랑카 축구경기장 원형 콘크리트로 구체화된 경기장 외부를 파이버 재질로된 날개형태가 감싸는 독특한 형태의 경기장이에요. 파이버 막으로 쌓여진 중간영역은 자연스럽게 태양빛과 자연 환기가 되어 친환경적으로 좋은 조건을 가지게 되네요. 이슬람문양 사이로 들어오는 태양빛은 사막에 피어난 오아시스처럼 내부 정원을 비추어 이용자로 하여금 색다른 공간 체험을 유도해요. paris based practice scau has w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design of 'grande stade de casablanca', a new stadium that will serve as the home to the morocco national football team. de..
병원 재개발 현상설계 병원시설과 사이트의 성격을 잘 어울려서 만든 작품이네요. 사실 이지역은 섬유산업의 유구한 전통을 가진 곳이에요. 이제는 어느 곳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 볼 수 없지만 병원의 컨셉에 역사를 재해석하여 풀어 놓았네요. 직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실과 실이 엇갈려 그리드를 형성하게 되죠. 일련히 나타나는 그리드의 포인트를 핵심축과 컨셉에 맞게 입면의 형태로 나타나는 구축 방법을 택했네요. 이렇게 형성된 스퀘어는 개구부, 창문 또는 공용공간으로 조직하여 전체적인 공간구성을 탄탄하게 만들고 있어요. ATENASTUDIO, along with 3TI PROGETTI ITALIA and KREJ ENGINEERING shared with us their proposal for the Internati..
교회, 리노베이션 하우스 네델란드 북부에 버려진 교회를 주거로 리노베이션 했어요. 저층부 회랑은 안뜰과 연결되어 훌륭한 거실로 사용되도록 계획했어요. 메자닛층을 만들어 중층에 계획된 침실 및 스터디룸으로 자연스럽게 간접광이 들어 올 수 있도록 계획하였네요. 가구 또한 엔틱한 교회의 기존 가구들을 활용해 고풍스러움과 모던함을 적절히 잘 배치하였어요. 우리도 한옥을 이렇게 현대적인 공간으로 잘 해석하여 활용한 사례들이 많지요. 굳이 나이가 먹어서 옛것이 좋아진다는 표현은 아니러니 하지만 모던함도 클래식의 힘을 따라가기에는 아직 세월적으로 버거운 것 같아요. As the times are changing, sometimes it is of outmost importance to maintain cultu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