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서가 추구하는 첫번째 목적은 지역주민들의 안전과 이 안전을 책임지기 위한 신속한 대응에 있습니다. 앤트워프와 브르웨 사이에 위치한 프루지방에 설치된 소방서는 이러한 모토를 건축에 투영함으로써 건축적 심볼과 랜드마크를 보여줍니다. 간결하며 기능적인 공간구조를 감싸고 있는 반투명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소방서를 대표하는 강렬한 레드를 돋보이게 하는 주된 마감재료로써 소방서 입면에 사용됩니다. 특히 기동훈련을 위한 막타워 또한 상징적인 볼륨의 형태로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처리 됨으로써 이와같은 랜드마크화를 이어갑니다. 합리적이며 기능적인 공간은 크게 3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메인 베이와 소방차 대기주차를 위한 메인 홀 영역과 60여명의 소방대원이 생활하는 리빙스페이스와 체육시설 및 관리사무실, 그리..
다양한 예술활동과 전시를 개최함으로써 멕시코 시티 내에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하기 위한 기존 스패니쉬 문화센터 증축 프로젝트 입니다. 공간은 디자인은 다양한 활동을 수용하기 위하여 높은 층고의 기둥이 없는 무주공간으로 설계하여 놀이, 쇼, 아이들의 다양한 활동, 극장, 샵, 컨퍼런스 룸과 세미나와 같은 프로그램을 만족시킵니다. 문화센터의 볼륨은 인접해 있는 역사적인 건축물의 크기와 같이합니다. 여기에 노출콘크리트와 코르텐 스틸 판넬로 마감되는 외피는 지역적 특색을 반영하는 동시에 현대적인 건축적 디테일을 표현합니다. 다양한 구조시스템은 문화센터가 담고 있는 다양한 공간 기능에 맞도록 구현됩니다. 같은 재료도 각기 다른 요소에 사용됨에 따라 그 특성을 달리합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의 경우는 바닥에는 물갈..
함축적인 건축 언어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미니멀리즘은 어떠한 장식, 풍부한 디자인으로 흉내 낼 수 없는 깊이감을 만들어 낼때가 있다. 지금처럼.. 스페인 뜨거운 햇살아래에 놓여진 화이트 큐빅 볼륨은 구차한 장식없이 순수한 결정체를 대지위에 그대로 노출시키고 있습니다. 전면과 후면, 외부로 열린 두개의 면은 드넓은 평야로 펼쳐진 뷰 포인트를 내부로 끌어들이는 동시에 투과합니다. 외부로 부터 내부를 조절하는 것은 깊은 처마와 우드 슬라이딩 뿐입니다. 겨울이 없는 대지는 이렇게 외부로 열린 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reviewed by SJ A uniquely clean cut mod structure, designed to host both an office & a residence has brought gre..
이번 프로젝트의 주된 관심사는 도시에 혼재해 있는 컨텐츠를 공동주거에 합성시켜 도시생활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퍼블릭 스페이스와 프라빗 스페이스가 합성된 레지던스를 구현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이것의 접합은 3층으로 구성된 두개의 리니어한 볼륨에 연속적인 주거유닛을 배치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유닛의 배치는 자칫 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동주거에서 나타나는 획일화된 공간의 답습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모순점을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주변 환경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외피시스템에서 해결책을 찾습니다. 외부 환경을 조절하는 파사드 시스템은 안과밖- 외부 거리에 면한 파사드와 내부 중정에 면한 파사드- 서로 상이한 파사드로 디스플레이 되며 서로의 용도에 맞게 기능합니다. 밖으로 면한 파사드는 컬러풀한 ..
건축공간과 자연을 하나로 묶는 연결고리는 무엇일까요? 건축은 자연을 함축적으로 담아 표현 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의문은 아자하 그룹의 본사 프로젝트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주변 랜드스케이프를 고스란히 담아 내는 건축물의 형태는 멀리 보이는 산세를 모방 및 미니멀하게 구축한 건축물의 지붕형태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이것은 대지를 건축물의 아이콘으로 표현하는 동시에 이질적인 건축공간에 자연을 도입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특히 두개의 파티오로 구성된 건축물 사이에 형성된 중정은 외부 방문객과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구심점으로 작용하며 퍼블릭과 프라빗의 상반된 영역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공간적 깊이를 보여줍니다. -내부 중정으로 열린 전창시스템은 분리된 두개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중정을 통하여 하나의..
섬머하우스는 지역의 건축적 성향을 고스란히 이어갑니다. 박공지붕형태의 심플한 형태는 농장의 커다란 오두막 또는 와인셀러를 닮아 있습니다. 섬머하우스의 외형적 특징은 슬라이딩 셔터를 들 수 있습니다. 슬라이딩으로 움직이는 셔터시스템은 오픈과 클로즈를 반복적으로 넘나들며 하우스를 외부와 연결, 단절을 반복적으로 일으킵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오픈하여 외부의 빛과 뷰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닫음으로 프라빗한 내부주거환경을 만들기도 합니다. 오직 여름 한철을 위한 집이라서 아쉽기는 하지만 균질한 우드로 마감된 형태미가 건축과 주변자연환경을 잘 버무리는 요소로 작용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reviewed by SJ While its exterior resembles a wine cellar more than a ..
에이 세로의 또다른 작업이 마드리드 외곽에 새롭게 또 만들어졌습니다. 일련에 그들이 추구하는 형태적 심볼릭과 내외부 공간의 통섭이 여기 프라빗 하우스에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하우스를 크게 두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버티컬 라인은 마치 더블스킨의 건축적 장치와 같은 뉘앙스를 풍기며 하우스의 볼륨을 이란성 쌍둥이와 같은 두개의 공간으로 분리합니다. -원래의 성질은 같지만 외형만 다른..- 외부로 돌출된 다양한 사이즈의 볼륨들은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각기다른 프로그램의 공간으로 정의됩니다. 이것은 중앙에 형성된 -두개의 버티컬이 만드는 리니어한 공간 사이-퍼블릭 스페이스인 거실, 주방 그리고 식당으로 연결된 건축적 패스를 외부로 감싸는 4개의 슈트유닛과 게스트 유닛으로 계획되어 집니다. 독특한 형태는 균..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자연이 만들어 준 선물같은 공간을 하나도 거스르지 않고 담담히 담아 공간에 투영 합니다. 이렇게 담긴 공간은 기존 돌담으로 지어진 공간과 백색의 폴리싱 콘크리트로 재구성된 공간으로 연속적인 하모니를 만들어 냅니다. 이렇게 빛과 바람은 이곳에서 저곳-과거의 공간과 새로운 공간-으로 공간을 막힘없이 흘러가며 여기 하우스를 포르멘테라의 뜨거운 태양으로 부터 평온한 안식처로 만들어 줍니다. 게다가 이곳을 더욱더 드라마틱하게 만드는 것은 자연 그대로를 받아 들인 건축공간과 자연의 랜드스케이프가 만나 형성하는 뷰포인트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떠한 건축으로도 쉽사리 흉내 내지 못하는 아우라가 자연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청명한 가을 하늘에 한적한 전원풍경이 눈 앞에 선하게 펼쳐지는 것 같습니다. re..
기차는 더이상 달리지 않습니다. 자연으로 열린 모던 하우스는 커다란 글래스를 통하여 자연과 소통합니다. 인위적일 수밖에 없는 건축이지만 최소한의 건축을 통하여 자연과 가까워지는 공간을 만들고 그 속에 우리의 보금자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 스탠포트 레일 하우스 처럼... reviewed by SJ Zecc Architects have designed the remodel and expansion of a historic railway cottage in Santpoort-Noord, The Netherlands.
컬쳐센터의 특징은 가로변에 면한 파사드가 주는 정형화된 사각 프레임과는 달리 확장되는 플렉시블한 L형태의 플랜에 있습니다. 내부 중정을 기점으로 두개의 리니어한 공간은 교차하며 두개의 연속적인 공간을 연결하는 코어존으로 통합됩니다. 여기에 저층부와 상층부의 공간적 위계를 분리함으로써 수직적인 확장보다는 수평적 확장을 염두에 둔 공간적 활용이 실용적으로 보입니다. 저층부는 시니어를 위한 공간으로 시니어센터와 커피샵 그리고 두개의 사무공간과 다목적실로 내부에 설치된 중정으로 통합됩니다. 상층부는 도서관과 3개의 다목적실로 구성되며 외부에 연속적인 복도를 통하여 연결됩니다. 심플한 평면이 주는 단순함이 내부에 커다란 중정을 갖게 합니다. reviewed by SJ The building is L-shap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