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후스 식물정원에 새롭게 디자인, 구축된 온실은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근간으로 완성된다. 1969년대 지어진 기존 온실의 확장버전이지만, 기존 기후, 식생과는 별개로 운영되는 새로운 온실은 내부에 다양한 식생을 포괄적으로 수용하는 공간의 확보와 주간에 태양열의 일정한 유입을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된 오가닉한 형상과 재료의 사용으로 구축된다. 온실의 형상을 구현하는 튜브는 서로 교차하며 온실공간을 확보하는 주요한 구조체로, 그위에 ETFE를 이용함으로써 이와같은 지속가능한 디자인, 볼륨을 구현한다. ETFE가 유명해진 것은 이전 에덴프로젝트에서 사용되어 널리 알려졌지만 그보다 베이징 올림픽의 수영장; 워터큐브로 인하여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가격적인 측면이 부담되지만 건축의 효용성인 측면에서 사용한다면 고..
우리의 디지털 생활이 발전해 나갈수록 필수불가결하게 발생하는 디지털 폐기물의 또다른 재활용 방안은 소개한다.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는 디지털 페기물; 컴퓨터 마더보드, 컴퓨터 칩, LED스크린, 하드드라이브 디스크 등은 단순히 효용성 있는 몇개의 구성품을 재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를 하나의 디자인 요소로 활용, 생활에 필요한 가구로 변신 시킨다. 이러한 디자인 헤게모니는 버려지는 폐기물을 예술품적인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이미지 상승효과는 물론 우리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자연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 귀결된다. reviewed by SJ spending countless hours sifting through thrift stores, antique stores, abandoned ..
a shimmering, 3D-printed lingerie ensemble was revealed on the runway at the 2013 victoria’s secret fashion show, incorporating the industrial technology in a high-tech couture costume. fractal-like in framework, the outfit includes a corset, wings and accompanying hat, each made from hundreds of snowflakes which interlock to either move like fabric, or stand sculpturally rigid. the garment was ..
역사 그리고 위대한 자연문화 유산이 현재 시간속에 공존하는 항구도시 스페인, 카르타헤나, 여기에 새로운 컬처앵커가 자리 잡는다. 새롭게 정비한 1킬로미터에 달하는 워터프론트 그리고 약 200미터에 달하는 컬쳐센터는 바다와 평행을 이루며 리니어한 큐빅볼륨으로 구축된다. 단순화된 건축적 외형은 풍부한 자연환경과 문화 유산을 현대공간 속에 투영하는 또다른 방법으로 비물질적 특성을 나타내는 반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된다. 주간에는 반물질적 특성이 외부환경을 흡수, 바다의 드라마틱한 시퀀스를 흡수, 지역의 자연문화를 흡수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여기에 야간에는 내부로 부터 발현되는 조명으로 컬쳐센터를 거대한 어반등대로 변모시킨다. 컬쳐센터의 단순하며 절제된 미학적 건축어휘는 주변환경을 흡수하여 내부 프로그램으..
자연을 즐기다. 해발고도 4,000미터, 러시아 엘프러스 산에 위치한 에코호텔; 리프러스3912는 모험을 즐기는 산악인,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는 스키어를 위한 피난처이자 안식처로 제공된다. 90년대 화재로 망실되었던 피난소의 위치에 새롭게 제안되는 호텔은 지역관광회사(North Caucasus Mountain Club; 관광상품 개발과 운영을 같이한다.)와의 협업을 통하여 시작, 사람이 거주하기 힘든 극한의 자연환경 속에 인간과 자연이 조우하는 새로운 관광장소를 컨셉으로 시작된다. 이제 극한의 자연환경은 아름다운 풍경으로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선물된다. 리니어한 원통형; 튜브의 형상으로 제작된 호텔은 공용공간과 벙크타입 침대로 구성, 총 49명의 잠자리를 제공하도록 디자인 되었으며, 추가로 레스토랑..
자연을 담는다. 경계를 연결한다. 바닷가에 면한 40미터 길이의 건축물은 풍부한 자연환경을 투영한다. 밀착된 내외부의 관계는 바다를 적극적으로 받아 들이는 건축물의 배치, 경량 구조물위로 마감된 백색의 폴리카보네이트, 바다의 파도를 형상화하는 곡선 지붕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하는 레스토랑으로 구현된다. -지붕에 설치된 곡선 폴리카보네이트는 서비스 구역;주방, 창고을 제외하고 고객들의 레스토랑 공간과 테라스공간 상부에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를 설치, 채광을 적극적으로 유입한다.- 그리하여 건축물은 바다로 면한 테라스 공간과 식사와 담소를 즐길 수 있는 레스토랑 공간으로 완성된다. reviewed by SJ As one of the venues for the “Setouchi Triennale”, hosti..
라이징문. 달을 형상화한 템퍼러리 설치물은 중국 최대 명절, 중추절을 기념하기 위한 설치물로 홍콩 빅토리아 공원에 수백개의 플라스틱 물병을 이용하여 완성된다. 중국 전통의 종이전등을 재해석한 디자인은 반원구 형태로 수면위를 비추며 -실제와 투영된 허상의 이미지가 합쳐져 하나의 시퀀스로 구현된다.- 중추절을 상징하는 달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이러한 드라마틱한 시퀀스를 연출하는 삼각프레임에 설치된 LED조명과 그에 상응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물병은 자연을 배려한 친환경적인 디자인을 통해 중추절을 즐기는 또다른 문화 공간을 창출한다. -재활용 플라스틱 물병은 해마다 증가하는 물의 낭비를 일깨우는 동시에 낭비되는 양을 직설적으로 표현한다. 무언가를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것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버려지는 것? 을..
yo shimada/tato architects have merged ‘house in ishikiri’ into a residential area erected in 1930 that slopes to the west on the hillside of mount ikoma, overlooking osaka plain. the challenge in developing this dwelling was trying to create a contemporary structure that would coordinate with its historic surroundings. project: house in ishikiri location of site: osaka, japan site area: 233.32m..
집속에 집을 만들다. 부족한 예산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이번 프로젝트에 임하는 건축가는 자신들의 세계관을 뽐내기 위함이 아니라 노후하고 열악한 거주환경으로 부터 보다 나은 생활공간을 창출하기 위한 최소한의 건축행위를 목표로 설계한다. 이러한 출발선상에서 그들이 찾은 해결책은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인 재료 -거주를 위한 단열을 만족시키는 재료- 의 사용과 최소한의 건축행위, 그리고 거주자가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공간의 크기를 찾아 접목하는 것으로 좁혀졌다. 그리하여 완성된 주거는 두개의 컨테이너 블록을 나란히 배치하며 프라빗한 두개의 실을 형성하고, 그 외부로 저렴하며 성능 좋은 폴리카보네이트로 디자인된 박공지붕 형태의 생활공간으로 완성된다. 특히 기성으로 제작된 완성품의 ..
미시간에 설치된 라이팅 파빌리온은 실시간으로 주변환경과 상호교감하는 능동형 설치물이다. 초경향 하이버 구성물로 이루어진 천여개의 허니컴 스트럭쳐는 오가닉한 돔형태로, 8 X 4미터의 크기에 40kg의 무게로 구축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파빌리온의 이동성을 보장하게 된다. 그리고 주간에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태양광 시스템을 이용) 이용한 야간 LED조명은 파빌리온의 디자인을 주목하게 만드는 요소로 삽입된다. 무엇보다 이러한 디자인 환경이 단순히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친환경적인 디자인으로 접근, 새로운 타입폴로지를 정의하게 되는데, 그것은 파빌리온에 부착된 CO2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농도에 따라 LED 조명을 반응하게 함으로써 그러한 효과를 생성시킨다는 점이다. 이러한 시각적 즐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