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에 대한 기억을 연속시키다. 핀란디아홀, 오페라 하우스, 중앙역이 주변에 위치한 헬싱키 파시토르니에 새롭게 들어선 호텔은 새로움 보다는 장소에 대한 기억과 함께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 서로 다른 4시대가 공존하는 특별함을 구현한다. 1908년 노동자들을 위한 공간을 시작으로 초기 아르누보 양식 건축물과 전쟁으로 파괴된 건축물의 확장으로 지어진 1925년대 북고전주의 양식, 그리고 1955년 또 한번의 확장된 모던건축, 최근 2012년에 건립된 컨퍼런스 및 호텔까지 다른 시대가 한 구역안에 공존 한다. 이러한 특별함은 호텔을 디자인하는 주요한 테마로 호텔의 외벽면을 디자인하는 아이보리 화이트 벽돌, 그리고 벽돌의 공극 패턴 (이번 프로젝트를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벽돌 / 벽돌의 벌어진 틈을 통하여 호텔..
오디토리움은 병원내 위치한 미팅센터의 일부분으로 거대한 병원 마스터 플랜 속에 배치된다. 하지만 건축가가 추구하는 공간의 지향점은 거대한 규칙 속 정형화된 공간의 연속이 아닌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갖는 공간의 실현, 구속으로 부터의 자유로운 공간적 경험을 이끄는 건축물 구현에 있다. 사실 이번 오디토리움 프로젝트는 병원 규모에 비해 매우 미비한 규모로, 병원시설내 미팅센터의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중 일부분이지만 독창적인 캐릭터로 주변 건축물(병원 건물)과 차별화되는 별개의 건축환경을 가능케 한다. 기존(오래된) 빌라의 리노베이션으로 시작된 미팅센터 그리고 오디토리움은 독창적인 외형 및 공간 구성을 위해 수직형 벽돌을 적층하며 고유한 곡선과 형태를 완성한다. (300명 가량의 방문객 수용, 230석 규모의 오..
에덴 시네마의 나쁜 시야성과 폐쇄성은 새로운 디자인을 통하여 변화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시네마 극장을 안내하는 새로운 통로의 형성과 그 통로가 전달하는 메세지에 있다. 다크, 차콜그레이 파사드와 더불어 시네마극장의 주출입 통로에 디스플레이된 시네마 포스터 그리고 네온사인 여기에 마치 영화인들을 위한 레드카펫을 연상시키는 레드 플로어는 이곳 에덴 시네마를 재정의하며 시퀀스의 한꼭지로 공간을 연출시킨다. reviewed by SJ,오사 The facade of the existing building is enclosed and not very visible. The idea is to turn this feature into an advantage by creating a pathway to the cine..
과거의 역사적인 시간은 현재의 생활을 담는 그릇이다. 자금성 남동쪽 황실사당을 구획하는 붉은벽돌 벽에 맞다있는 오래된, 버려진 두개의 창고는 이제 리노베이션을 통해 주변지역의 문화밴드를 형성하는 노드포인트, 티하우스로 재구축된다. 이전 계급사회의 신분을 구분짓던 붉은 벽은 이제 단순히 황실정원을 구획하는 물리적인 바운더리로 여기 티하우스를 구성하는 역사적인 상징물로 개입된다. 그리고 그 공간 사이에; 역사적인 벽과 버려진 창고 사이에 다음 세계(새로운 세계)를 상징적으로 의미하는 셀구조 지붕 (세포분열을 통해 성장하는 이미지를 내포한다. 자립형 철골구조로 글래스 클러스터로 구축된다.)을 디자인하며 링크된 7개의 셀타입의 룸을 연결, 확장한다. 황실의 전통은 티하우스를 재구성하는 건축적 제스처로 각종 문화..
직원들의 쾌적한 거주환경 보장과 획일화된 사무공간을 탈피, 근래에 변화하는 오피스환경에 발맞추는 오피스랜드스케이프. 무엇보다 기존 공간의 공간적 물성을 새로운 오피스공간에 투영, 매치함으로써 신구가 조화로운 스펙트럼이 넓은 공간이미지 연출이 특징이다. Adobe, headquartered 50 miles south in San Jose, established its San Francisco presence when it acquired Macromedia at the end of 2005. Macromedia occupied the historic Baker & Hamilton Building at 601 Townsend Street and the newer 625 Townsend Street next ..
과거의 시간을 현재의 공간에 투영하는 일은 즐겁다. 여기 이탈리아 캐쥬얼 브랜드 MSGM의 새로운 헤드쿼터 오피스 프로젝트는 기존 대장간의 오래된 벽돌과 녹슨 창문을 고스란히 이용, 현재의 감각적인 인테리어 요소와 접목,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을 완성한다. 새롭게 재구성된 기존공간, 대장간의 공간적 특징을 고스란히 연속시키는 디자인은 공정별로 구분되었던 내부공간을 현재의 작업실, 사무공간, 미팅룸, 자료실 등의 각 공간으로 구분지어 동치시킨다. 그리고 또한 쾌적한 비즈니스 환경 구축을 위해 큰 창문, 높은 천장고를 유지 자연광을 유입시키며 거주환경을 확보한다. 항상 생각하고 느끼는 점이지만 가장 중요한 점은 공간의 지속력이다. 이곳과 같이. reviewed by SJ,오사 Architect Fabio..
기억의 재구성. 워터타워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기존 -1931년도에 지어진- 구축물을 현재의 공간 속에 새롭게 조명하는데서 시작된다. 콘크리트 구조물과 벽돌의 외형적 특징을 고스란히 유지한채 내부 낡은 계단을 철거-너무 낡아 건축가의 의도 및 공간을 재구성하는데 부적합-, 지역 주민들에게 이 지역의 랜드스케이프를 전망 할 수 있는 전망대로 공간을 복원한다. 새롭게 디자인된 계단실은 칩보드와 스틸프레임을 이용, 풍부한 공간감을 제공하는 한편 전망을 위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다. 이를 통해 리노베이션된 워터타워는 거대한 기념비물로 또다른 모놀리스 랜드스케이프화 되어 장소의 기억을 회복한다. reviewed by SJ, 오사 Viewpoint Sint Jansklooster The water tower is ..
Situated in Parc dels Torrents one of the best urban interventions in the city of Espluges, the “Espai Baronda” complex, has arisen from the recovery of a piece of authentic “architectural archaeology”; an old ceramics factory which fell into disuse more than two decades ago, in a city like Esplugues, with such a deep-rooted tradition in ceramics. Espai Baronda appears as a grand container for a..
Much of the appearance of modern-day Paris, with its wide boulevards lined with cream-coloured apartment buildings, dates back to the 19th century and the decisions of one man: Georges-Eugène Haussmann. As the overseer of a grand-scale renovation of the city of Paris at the time, which included the demolition of densely-built neighbourhoods and the drawing of new, grand avenues across the city, ..
이번 프로젝트의 시작은 새로운 사용자의 요구, 필요공간을 충족시키는 프로그램의 확충 및 재구성을 위한 기존 건축물의 리노베이션에서 시작된다. 공간의 재구성은 사용자의 안락하며 쾌적한 거주환경 확보를 대원칙으로 진행되며, 기존 동선을 유지, 최소한의 변경선에서 진행된다. 그리하여 완성된 내부공간은 센트럴 아트리움에 지그재그로 배치된 심플박스로 확장, 학생과 교수 그리고 관리자들의 막힘없는 소통을 위한 코업 스페이스로 제안된다. 지그재그 배치된 박스는 주요 동선상에서 연속되며 아트리움 내부를 매력적인 공간으로 연출시킨다. 기능공간 확보는 물론 새로운 디자인 아이텐티를 정의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project is an interior renovation of an existing b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