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ulor’ is an interior organization proposal that adapts the bedroom to meet changing lifestyles. developed by spanish zooco estudio, the concept is composed of modular porticoes, organized sequentially in order of daily routines. different color tones and mosaics are paired with functions, distinguishing between structures for sleep, work, leisure, bath, and dressing.based on the level of pri..
Librairie Avant-Garde가 운영하는 11번째 서점인 Avant-Garde Ruralation 도서관은 지역의 독창적인 자연환경과 인조적인 환경에 '아방가르드'와 '도서관' 이라는 문화를 보급하는 아이디어가 더해져, 현지의 문화창조 산업의 포인트가 되었다. 도서관의 메인 바디는 이 지역 메인 도로 한켠에 위치한 뜰이었는데 이 곳에는 2개의 노란 진흙집과 산기슭으로 나온 플랫폼이 존재했다. 구조적이면서도 공간적인 건물의 시퀀스를 유지하면서 건축적인 디자인을 건강한 위치로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 속에서 '새로움'과 '낡음' 간 관계는 '시간'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시간과 추억의 흐름이 함께 어우러져 기능 부활의 공공성에 더해졌다. Located in Daijias..
전통과 현재의 경계,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센터 프로젝트.내부 중정을 기점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파빌리온은 총 3개의 동으로 구성된다. 각 건물의 내부에는 게스트룸과 관리사무실, 기도홀, 그리고 워크샵을 위한 다목적실이 배치된다. 커뮤니티 센터의 인상적인 건축 디자인을 표현하는 지붕; 버터플라이 스트럭쳐는 인근에 버려진 선박의 나무구조체를 활용하여 구축 후 지역 타일로 마감한다. 형상의 아이텐티는 물론, 자연환기와 채광, 개방감을 확보하는 기능적 역활을 통해 내외부 밀착된 건축환경을 완성한다. set in rural maharashtra in western india, sameep padora and associates have completed a holistic and sensitivel..
지속가능한 디자인 환경 구축을 위해 소극적인 건축이 필요합니다. 소극적인 건축은 시간의 흔적이 만든 물성을 활용하는 방법과 불필요한 오너먼트를 배제하는 방법이 동시에 적용됩니다. 그리고 자연을 플러스 합니다. 코펜하겐에 위치한 레스토랑 인테리어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환경을 지향합니다. 국립은행에서 사용된 선반재는 바테이블을 포함한 내부 목재 부위에 적용됩니다. 고객을 위한 최소한의 가구와 디자인이 적용됩니다. 그리고 노르딕 온실 기능을 더한 식물이 내부에 삽입됩니다. Built completely out of upcycled materials, Väkst is the youngest brainchild from Cofoco, the restaurant group behind other Danish eate..
Kitchen cabinets without hardware is a growing trend. The kitchen seen here, designed by Fraher Architects for a home in London, is an example of that trend. Working together with their in-house joinery team, the designers included a recessed finger detail made from European oak, to make it easy to open the drawers and cabinets. Here you can see how the recessed finger detail works when opening ..
해안가 작은 마을에 새로운 베이글 가게가 문을 엽니다.이전 낚시용품 창고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작은 베이커리 카페로 변신합니다. (지역에서 생산되는 밀을 사용합니다.)외부로 노출된 내부공간과 고목은 공간의 기억을 적나라하게 노출합니다. 여기에 새롭게 더해진 백색공간이 현대적인 공간과 기능을 뒷받침합니다. 낡음은 고유한 캐릭터를 생성합니다. architecture in japan: yokohama-based architects ROOVICE have renovated a former fishing supplies warehouse into a bagel shop for the small coastal city of miura. with only a population of 1300, the archit..
전쟁 후 남겨진 오래된 절들과 수많은 낡은 목조 주택들이 있는 도쿄 야나카는 골목도 작은 갤러리도 많은 매우 매력적인 곳이다. 우리는 이렇게 주변에 온통 매력적인 건물들이 가득한 분위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주택을 만들어보기로 결심했다. 주택은 좁다란 두 개의 거리를 접하고 있는 깃발 모양의 택지를 하고 있었는데, 이웃한 주택에 둘러싸여 있기도 하고 어쩌면 비밀 정원같아 보이기도 했지만 바꿔 보자면 동시에 거리의 일 부분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택지 자체에서 우리는 집 구조에 대한 영감을 얻었는데, 2개의 기본 성분- 즉 화이트 코어와 함께 그 주변을 감싼 골목 모양의 통로를 구성키로 했다. 백색 코어 내에 주방과 부엌, 침실, 거실, 욕실 등의 공간을 구성시키고 통로에는 가족을 위한 공간 - 도서관과..
몽땅연필 하우스. 모나미153 볼펜 껍데기에 몽땅연필을 끼워서 사용해 본적 있습니까? 그 기억이 없다면 아련함보다 신선함, 또는 자연을 생각하는 환경보호에 대한 생각이 먼저 일꺼다. 여러 브랜드에서 출시하는 연필홀더도 있지만 조금은 특별하고, 고유해 보인다. 감성적인 측면에서we all know what it’s like to see how we have to throw away our pencils, even though there’s still a lot of them to be used. or how we can accumulate them because we don’t have a sharpener close to us, ending up with many unsharpened ones. or w..
해안가 마을 재생사업. 엔빌리지 프로젝트는 지진으로 훼손된 마을의 물리적인 건축환경과 경제활동 복원을 목적으로 한다. 다섯개의 박공지붕으로 이루어진 개별 건축물은 까페와 서핑숍 그리고 미팅공간으로 구성, 로컬 커뮤니티와 외부인들의 다양한 행사를 지원한다. 단순함 속에 반복적인 건축적 음율은 공간의 쓰임새에 따라 다른 비례로 디자인되며, 전면에 위치한 데크로 연속성과 확장성을 보장받는다. ‘N village’ is a japanese architecture project shown as a collection of archetypal huts set by the ocean edge of east coast japan. designed by zai shirakawa architects & associates..
사용자 조합에 따라 자유자재로 의자형태를 변신 시킨다. 60개의 조각을 이용하여. ‘spyndi’, by lithuanian furniture designer mindaugas zilionis, is a handmade chair composed of 60 loose sections combinable in countless variations. based on the human spine, as alluded to in title, the unconventional furnishing can be transformed into almost any configuration. armchair, chaise lounge, rocker, partition, stool, side table, sports e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