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된 오래된 일본식 전통 가옥을 정제된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합니다. 따뜻한 감성을 전달하는 목재 특유의 물성은 이러한 분위기를 조금 더 순화시킵니다.Campton Kiyomizu is a minimalist botique hotel located in Kyoto, Japan, designed by SIDES CORE. The concept behind the hotel is being able to stay within a 100 year old renovated building that has maintained the same history as Kyoto’s temples and buildings. The buildings are spread out throughout Kyoto, but e..
사무실 리노베이션의 원칙은 오픈플랜을 바탕으로 열린사무공간, 유기적인 사무공간 구축에 있습니다. 가운데 홀을 기점으로 작업자들의 작업공간을 배치하며, 메자닛층에 설치된 커뮤니티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 원활한 랜드스케이프를 구현하였습니다. In a double-height penthouse of a 1913 Beaux Arts building near Manhattan’s Hudson Yards neighborhood, a former publisher’s executive suite is restored and modernized as a connected and transparent workplace. Designed for openness and collaboration, the space bala..
작은 집, 원룸을 재구성합니다. 조금은 여유 있는 층고를 이용, 주방과 화장실 상부를 침실공간으로 활용 합니다. 천장고가 확보된 거실에는 붙박이 수납장을 천장까지 설치, 수납을 확보합니다. Taiwanese studio A Little Design has renovated a 22-metre-square micro apartment to serve every need of its occupant .A bath, floor-to-ceiling storage and space for exercise are included in the compact flat, located in Taipei City, where property prices are driving young buyers into smaller ..
어쩌면 외부와 단절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장중하며 메시브한 건축어휘만 보입니다. (외부로 들어난 통창이 없기 때문에 그렇게 더 보여집니다.) 오히려 내부로 열린, 하늘로 열린 주택이 완성되었습니다. 주거 밀집지역에 위치한 주택은 인접한 주택으로 부터 시선을 차단하는 작업을 먼저 반영했습니다. 슬릿한 개구부가 수평과 수직으로 메스를 분절하는 어휘로 적용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 조도환경을 위해 빛을 적극적으로 유입하기 위해 긴창들이 배치 되었습니다.Toyonaka의 House는 Fujiwaramuro Architects가 설계 한 일본 Toyonaka에 위치한 최소의 거주지입니다. 오사카 북부의 주거 지역에 위치한이 숙박 시설은 밀집된 주택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뛰어난 경치는 없습니다. 인접한 주..
Dense cities mean small homes. With more and more frequency we are forced to adapt to spaces within which some elements simply do not fit. As architects, these restrictions actually provide us with opportunities and remind us that our goal is to give precise solutions to specific problems. Designing with infinite number square meters and/or an unlimited budget is practically unheard of.Make A Cl..
혼자 또는 둘이 사는 작은 세대로 변화하는 지금, 음식의 소비 문화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곳 키친 스튜디오는 이러한 사회현상을 반영하는 곳으로 요리를 배우거나 배달, 가져가 먹을 수 있는 커뮤니티 장소입니다.사교의 공간이기도 식사를 해결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일정금액으로 집에서 요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외식에 대한 부담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공됩니다. Kitchen Studio SUIBA is a minimalist space located in Tokyo, Japan, designed by Schemata Architects. Due to the spread of the internet, people have grown accustomed to two-way communication betw..
이토 건축사무소에서 설계한 단독주택은 일반적인 2층주택의 크기와 방식에서 조금 확장된 공간을 보여줍니다.지리적인 특징; 도쿄 교외지역에 위치한 특징은 거주자에게 더 많은 거주공간 확보를 필요로 했습니다. 그 결과 평범한 주거공간보다 조금은 실험적인 거주공간 계획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기본적인 격자구조를 바탕으로 거주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기본모듈을 빼거나 더하면서 거주자에게 맞춘 공간이 조합됩니다. 그 결과 주거 중심부에 위치한 계단실 및 중정을 기점으로 유기적으로 조합된 거주공간이 완성되었습니다.중정 및 계단실은 물리적인 동선역활과 채광 및 환기를 유도하는 건축어휘로 작용합니다. 시각적인 확장된 공간감도 제공합니다.House In Kita-Koshigaya by Tamotsu Ito Architectu..
벨기에 켄트시 좁고 길쭉한 대지위에 3층 주거가 완성됩니다. 한정적인 예산과 폭이 좁고 긴 대지의 형상을 풀기위해서는 다양한 단면설정을 적용합니다. 이를 위해 내부공간을 3개의 요소와 구획으로 게획합니다. 건물 중심부에 위치한 계단을 이용, 3개층을 2개로 구분짓습니다. 그리고 이를 계단으로 연결합니다. 이러한 단면계획은 다양한 레벨공간의 연속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동시에 천창을 통해 유입된 자연채광을 내부 깊숙히 유입시키는 효과를 만듭니다. The first steps taken by the architect and the client start with the search of a suitable building site. Under the architect’s advice, two neighborin..
일본건축가 mori architect가 설계한 주택작업은 내부로 수렴되는 주거타입입니다. 강인한 인상을 풍기는 노출콘크리트의 외관과 달리, 내부는 조용하고 확장된 생활공간을 제공합니다.대로변에 위치한 특성상, 외부 소음과 간섭을 최대한 단절시키는 작업이, 외부로 열린 개구부가 최소화 되어 있는 것으로도 충분히 이해 됩니다. 주거를 진입하기 위한 주출입구는 도로를 이용하는 보행자와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옆면으로 틀어져서 배치됩니다. 건물 중심부에 위치한 중정을 통해 내부 생활공간은 쾌적한 환경을 유지합니다. house in shime by mori architect office is built around a central inner courtyard located on the main road of k..
슬로베니아 건축스튜디오, OFIS의 개인주거 프로젝트 입니다. 전면 도로에서 인상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주출입구는 지역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제안되었습니다. 상부로 반층 올라간 주거 내부의 자연채광과 환기를 확보하는 동시에 빈번이 발생하는 홍수에 대한 대비로 계획되었습니다.주거 내부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선큰정원과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데크가 위치한 반지하, 여가활동공간.중정과 테라스가 위치한 1층 공용공간; 거실과 식당 주방이 자리합니다. 마스터침실과 자녀침실이 위치한 2층으로 구성됩니다.전면 테라스와 주거 내부에 위치한 중정은 주거 깊숙히 자연채광을 유도하는 동시에 원활한 환기를 도와줍니다. slovenian practice, OFIS architects, has designed ‘h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