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시 15구역, Boucicaut 재개발 지역에 위치한 복합주거 빌딩이 지향하는 건축환경은 도시와 건축 그 어느곳에 치우치지 않는 어반소셜 레지던스 구축에 있다. (어반소셜 레지던스; 개인화된 도시생활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소외 및 개별화(프라이버시와는 다른)를 방지, 인접 거주자간의 소셜활동 증대를 위한 공생공간) 이는 (Felix Faure거리와 rue Tisserand의 코너에 위치한 입지적 특징을 포함한)다양한 도시환경과 구역내 잔존하고 있는 인더스트리얼 악센트를 반영한 거시적 환경과 거주자의 안락한 거주환경을 보장하는 주거환경의 합리적인 건축을 통해 시작된다.도시와의 관계를 위해 빌딩은 두개의 얼굴을 각각 준비한다. Patronage의 공용 프로그램을 위한 입면과 프라빗 하우징을 위한 입면을 준..
언덕위의 샤론하우스는 이곳을 찾는(야구경기장 관람 및 응원을 위한 가족단위 구성원) 방문객들의 소셜활동 보장을 위해 제공된다. 스탠드형 야구경기장 한켜, 야외에 보행자 동선을 따라 선형으로 배치된다. 주변과의 긴밀한 연결고리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계단(파빌리온으로 연결되는 출입동선이자, 야구경기 관람을 위한 좌석형 스탠드로 제공되는)에 마주한 주출입구를 위치시킨다. 파빌리온의 건축적 캐릭터를 구체화하는 버티컬 메탈 스크린은 화장실, 주방, 홀(테이블 배치, 식사 및 담소, 경기관람을 위한 주공간)의 각각 외부 파사드에 각기 다른 간격으로 정렬된다. 이는 용도에 따른 오프닝(간격)을 통해 외부 시야확보는 물론 자연채광 유입을 확보한다. -외부로의 시각적 차단과 간격에 따라 출입통로 역활을 수행한다.- re..
바다와 대지의 열악한 연결고리를 강화시키기 위한 해안선 재개발 프로젝트는 환경성 확보는 물론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도시공간 확장에 더 많은 의의를 두고 있다. 기존도시의 잔재적 가치를 상승시킴으로써 지역경제 부흥을 위한 관광사업 육성을 꾀한다. 이를 위해 도시 인프라 확충; 지하 주차장, 연결 산책로, 제방은 물론 수변가의 자연환경을 새롭게 정비한다. -자연과 도시를 연결하는 모래언덕에 새로운 랜드스케이프를 디자인 한다.-reviewed by SJ,오사 For the past ten years the Rijkswaterstaat, the Ministry of Infrastructure and the Environment, have been working to strengthen some weak link..
G63 AMG 6x6에서 시작된 역사는 325/55R 사이즈의 대형 타이어와 22인치 대형 알로이 휠. 여기에 최고출력 422마력의 동력 성능을 발휘하는 4.0리터 V8 트윈터보 엔진 그리고 다목적 차량 ‘유니목’에 탑재된 포털 액슬까지, 단순히 스펙만으로는 설명 할 수 없는 메르세데스-벤츠의 G500 4x4²가 이번 2015 제네바모터쇼에 소개된다. 작년에 소개된 G63 AMG 6x6와 같은 디자인의 전면 범퍼와 루프 앞 LED 라이트바 그리고 험지로 부터 자체를 보호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바디 프로텍터가 하부에 설치된다.오프로드를 위한 차량은 아직 양산 계획은 없지만 이번 모토쇼를 통해 그 계획을 변경 될 수도 있다.reviewed by SJ,오사 following the ‘G 63 AMG 6×6′, ..
아메리칸 원주민(인디언)의 생활을 기억하다. 그리고 그들의 문화에 대한 존중을 여기 스모크하우스를 통해 재현된다. 스모크하우스는 지역문화를 대변하는 장소로 지역축제 또는 행사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된다. 스모크하우스는 건축물 중심부에 자리한 (살짝 한쪽으로 치우쳐 있기는 하다.) 오픈 스페이스를 기점으로 좌측에 퍼포먼스 홀이 우측에 다이닝룸이 위치한다. 내부 다이닝룸은 사냥과 낚시에 대한 원주민의 전통적인 의식절차를 담은 공간으로 (성스러운?) 나무로 제작된 펜던트조명을 통해 온기 가득한 분위기를 생성한다. 세레모니 홀은 춤과 스토리텔링(주민 토론회, 또는), 기타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특별히 제작된 합성토가 바닥에 깔린다.거대한 적색 삼나무는 스모크하우스의 상징성을 표현하는 디자인 요소인 동시에 건축물을..
우드바이크는 널판지 또는 합판과 같은 값싼나무? 대신 물푸레 나무 원목만을 사용한 수제작품으로 나무의 아날로지한 감성이 한껏 묻어 난다. 나무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중량과 견고함은 일반적인 스틸 자전거를 뛰어 넘는 내구성 및 이동성으로 사용자의 안락한 라이딩을 확보한다. 11kg 중량,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하는 팀버프레임과 싱글기어로 구성되며, 핸들바를 포함한 앞 바퀴스포크와 바디부분으로 구분된다.디자이너의 말처럼 임시방편을 위한 수단으로써 나무가 아닌 자연이 선물한 유일한 구조체로 나무(여기서 나무는 구조체로 적합한 강성을 지닌 견고한 나무를 의미)의 쓰임은 지금 우리생활에도 유효하다.reviewed by SJ,오사 made from solid ash and without any veneer..
싱롱 방문자센터는 장소에 새겨진 지역의 기억들을 정제된 건축적 제스쳐를 통해 공간에 재현한다. 작은 어촌마을에서 해변가 리조트로의 변신과정은 이곳 방문자 센터의 디자인과 건축환경 속에 고스란히 전달된다. 대대로 낚시를 통해 생계를 유지한 주민들의 삶과 지역의 아열대기후 그리고 지역 식생은 지그재그 빌딩 속에 다양한 편린들로 삽입, 재구성된다.도시로 진입하는 초입부 길다란 삼각형 대지위에 지그재그 형태로 자리한다. 그리고 대지 중심부에 가급적 건축물의 볼륨이 집중되도록 배치한다. 상대적으로 건축물의 양끝단은 가벼워지고(경량화 구조) 주변 속으로 흩어진다.(주변 랜드스케이프와 합병된다.) 그러는 동안 건축물의 볼륨은 도로로 부터 후퇴하며 가로에 면한 긴광장을 생성; 세미-인클로저 오픈스페이스(반 외부공간)을..
모던하우스의 지향점은 자연에 접한 여러 건축들과 다르지 않다.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 외부환경의 적극적인 내부 유입 등 주어진 조건들을 충분히 공간에 담고자 노력한다. 여기 마운틴 모던 하우스 또한 장중한 랜드스케이프를 따라 수평성이 강조된 디자인과 자연훼손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건축환경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주변산세와 나란히 평행하게 연속되는 건축공간을 구성한다. 퍼블릭 룸, 스터디룸, 그리고 서측의 아름다운 풍경을 향해 열려 있는 마스터룸을 연속적으로 배치한다. (게스트룸은 마스터룸의 반대방향, 동측에 배치한다.) 이와 맞은편에 자리한 갤러리는 건물의 우측에 설치된 스톤벽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내부 벽, 바닥, 천장은 블랙월넛으로 마감되며, 외부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샌드스톤과 스토코트로 마감된다...
자연에 응답하다. 온타리오 조지아 베이, 아름다운 섬들이 펼쳐진 낭만적인 장소에 프라빗 보트 하우스가 자리한다. 건축주의 여유로운 여가 생활을 위한 이곳은 주변 자연풍경과 하나되는 레져공간을 목표로 지역문화 및 자연환경에 응답하도록 디자인 된다. 먼저 견고한 암석지반에 위치, 팀버 스트럭쳐를 통해 메인 골격을 자리잡는다. 그리고 거주자의 레져를 위한 각종 편의시설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배치된다. 먼저 삼나무데크와 플로팅 독, 브릿지, 여기에 카약과 카누 및 윈드서핑을 보관하는 창고와 식료품 보관창고가 배치된다. 그리고 어두운 색체의 스테인이 채색된 삼나무 보트하우스(보트 창고)로 부터 길게 뻗은 경량 스틸 스트럭쳐가 캔버스와 함께 안락한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또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수평..
캠퍼스 빌딩의 지향점은 단순하다. 합리적인 건축을 통해 효율적인 교육공간 창출은 물론, 건축물 자체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캐릭터 구축에 건립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단순화된 건축물의 외형과 배치는 연속적인 클래스룸 조닝을 위해 리니어한(중복도 형태로 연속된) 공간적 형태와 균질한 패턴으로 입면을 완성된다. 외부 가로 패턴과 함께하는 호르젠탈바(창문에 설치된 수평루버)는 내부 직사광선을 조절하는 동시에 외형의 균질함을 연속시키는 요소로 적용된다. 단순함 속에 자신의 고유한 캐릭터를 구축하는 빌딩의 지향점에는 진부함을 넘어서는 건축적 제스쳐가 숨겨져 있다.reviewed by SJ,오사 A major gesture is not always needed. In further developing a camp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