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smartphones and tablets become the dominant work equipment, the waytools ‘textblade’ transforms the typing capabilities on these devices through a lightweight and compact keyboard. using patented multitouch key technology, the product, weighing just 42.5 grams and a third of the size of an iPhone 6, is the slimmest full QWERTY design to date and can easily fit into a pocket. comfort and the e..
Beiersdorf AG 기업의 이미지를 연장한다. Hamburg-Eimsbüttel, 바이어스도르프의 작은 도시내 직원들을 위한 (그들의 자녀들을 위한) 2층 높이의 영유야 데이케어 센터는 철저히 아이들의 눈높이로 디자인된다. 극도로 절제된 사각형태, 구조중심부에 자리한 다목적실을 기점으로 다양한 놀이공간과 이벤트공간을 확보한다. 디자인의 모티브는 기업의 역사로 부터 시작, 약상자를 연상시키는 아기자기한 패턴을 구현한다. 이 선반같은 스트럭쳐 파사드는 다양한 기능과 요구조건을 수용하는 동시에 내부공간의 쾌적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대형 윈도우 포맷은 밝고 투명한 분위기를 생성하는 동시에 놀이와 교육을 위한 최상의 환경 완성으로 건축물의 캐릭터를 확장한다. 그러는 동안 내부공간은 흥미로운 요소 및 공간..
과거의 기억은 현재의 생활공간을 위한 단초로 제공되며 풍부한 자연환경과 밀착되는 건축으로 확장된다. 오스트리아 도른비른, 숲속의 나즈막한 언덕위에 4명의 거주자를 위한 하우스가 재탄생한다. 이웃한 기존 하우스들과는 차별화되는 건축은 델타강, 보덴호의 전망 및 풍부한 자연환경 유입을 위한 거주환경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경량팀버 스틱 구조를 이용, 모던 팀버 스트럭쳐의 장점을 구현한다. -높은 패브릭케이션 레벨, 신속한 시공, 지속성, 그리고 지역기후에 대응하는 건축환경 구현- 여기에 목재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마감된 외장재는 내마모성 확보를 위한 코팅과 (선박에서 사용하는) 숲과 대조적인 균형미를 이루는 검은색으로 채색, 하우스를 마무리 한다. reviewed by SJ,오사 Haus Hohlen was ..
아르헨티나 고도바에 위치한 파이브 하우스는 (두개가 쌍으로 이루어진) 언덕을 따라 배치, 길게 뻗은 형상들을 통해 리드믹컬한 시퀀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치는 최상의 뷰와 채광을 위한 건축적 방법론과 주어진 대지;자연을 최소한으로 훼손하는 지속성을 바탕으로 진행되며 공중으로 부양하는 듯한 볼륨들을 통해 유쾌한 공간을 생성한다. 하나의 뿌리로 부터 갈라진 두개의 이란성 쌍둥이 하우스는 기본 모듈을 바탕으로 동일한 건축적 특징을 보이지만 (지형에 순응한) 대지에 반응하며 자신들을 유니크화 한다. 지붕형상 또한 두쌍이 유사하게 박공과 경사지붕으로 이루어 진다. 하우스의 외부는 벽체, 지붕, 바닥까지 전체 백색으로 마감, 돌출 처마나 창틀 또한 배제된 미니멀 디자인으로 건축 자체가 전달하는 미학적 쾌락보다 주어..
멕시코 산 페드로 추룰라 페브라에 위치한 솔25 하우스는 싱글 훼밀리를 위한 거주공간으로 인접한 자연보호지역, Cerro Zapotecas의 풍부한 자연환경을 투영한다. 풍부한 자연환경과의 조화, 투영 속에 거주자를 위한 생활공간은 한정적인 대지 위 건축을 심플, 담백한 그리고 솔직한 공간으로 이끈다. 공간구성의 시작, 건축 레이아웃은 지역 건축을 따라 지면에 차고와 로비를 위치시키며, 손님들을 위한 두개의 침실을 자리시킨다. 이번 하우스의 메인 생활공간, 2층은 오픈플랜을 바탕으로 메인 침실과 주방이 위치하며 거대한 전창으로 풍부한 자연환경을 조망할 수 있는 뷰포인트를 확보한다. 여기에 중층(3층, 2층 전면창으로 자리한 주 생활공간은 2개층 높이로 계획, 후면부 주방 상부를 메자닛으로 활용한다.)은 ..
익히 들어 이미 유명한 크리스탈, 더 씨티홀은 폭넓은 소셜활동과 보다 확장된 그린환경 구축을 위한 아이콘 프레임으로 경제적 에너지 운영이 가능한 지속가능한 건축환경을 목표로 한다. 1단계로(2014년도 완공) 13,500sqm 면적의 시민 서비스센터가 완공되며, 2단계로 25,000sqm 면적의 오피스, 컨퍼런스 시설, 퍼블릭 그라운드 플로어와 룬드시내를 조망하는 그린루프 테라스가 조성될 예정이다. 그럼 이번 1단계로 완공된 빌딩을 살펴보자.먼저 빌딩 볼륨은 밝고 다양한 그리고 유용한 공간 창출을 위해 주름진 w형태로 디자인된다. 이러한 평면으로 부터 공간을 구성하는 입면은 다면체-각 입면마다 각기 다른 지향점으로 디자인된 면의 집합체-로 디자인된다. 다운스케일하는 솔리드 판넬과 글래스의 연속적인 변화는..
Buthaina Al Mazrui 와 Alamira Noor Bani Hashim 의 공동투자로 만들어진 디너클럽,No.57은 멥버쉽으로 운영되는 럭셔리 소셜 스페이스를 목표로 한다. 이번 아부다비에 오픈한 디너클럽은 이전 팝업 디너의 배타적 성향과 폐쇄적인 운영에 반하는 다이나믹하며 창의적인 게다가 비범하기까지한 소셜 스페이스를 목표로 리뉴얼 된다. 이러한 공간구현을 인테리어 디자인은 재료의 단순함 그리고 고유한 물성을 재정의하는 조합들로 꾸며진다. 카레라 마블, 오크우드, 콘크리트 그리고 블랙파우더 코팅처리된 메탈의 조합은 코지한 분위기를 조성, 각 테이블마다 올려진 파인애플과 선인장처럼 특색있는 인테리어 아우라를 생성한다. 여기에 새로운 부띠크 카페 또한 씨크릿 다이닝 룸의 연장선 상에 위치, 고객..
빌라 G의 건축환경은 Pavilniai Regional공원의 마스터플랜과 함께 한다. 주변 자연환경과의 긴밀한 관계 유지를 위해 빌라는 단층으로 이루어진 두개의 부메랑 형태가 유연한 곡선형태로 접합된다. 이는 지면을 따라 연속된 곡면 지붕; 팀버 파골라로 부터 확장된 건축어휘의 연장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정의하는 주요한 건축적 방법론이자 전체 외형을 결정 짓는 요소로 적용된다. 빌라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오두막, 차고, 주방, 창고, 보일러실, 세탁실을 비롯한 각종 유틸리티 시설이 북측에 배치되는 동안 4개의 침실과 욕실은 동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빌라의 공용공간은 남서측에 식당, 레크레이션 및 액티비티 존으로 구성된다. 주거 깊숙히 유입된 자연은 공간을 풍부하게 하는 건축을 풍부하게 하는 선물로 거주..
planches de Madine은 건축, 도시, 조경이 한데 어우러진 유니크한 포털 디자인을 지향한다. 건축과 광장 그리고 이를 주변 자연환경과 연결하는 산책로는 대지의 지형을 따라 완만한 곡선으로 대지를 가로지른다. 아니 흐른다. 이 유동적 흐름 속에 안내건물과 설치물 그리고 다양한 쉼터를 제공하는 스트리트 퍼니쳐가 보행자를 위해, 이곳을 찾는 방문객을 위해 제공된다. 땅을 위한 모던한 랜드스케이프, 호수를 위한 아이텐티 디자인. 이를 만족시키는 포털 디자인은 자연과 사람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제공될 뿐이다.reviewed by SJ,오사 The ‘planches de Madine’ are a unique architectural, urban and landscaping object in total h..
어두움과 침묵(정적)은 이곳 테라파 센터를 구성하는 주요한 디자인 컨셉으로 내외부 경계없는 연속적인 공간 흐름 속에 깊숙히 삽입된다. 이러한 건축환경, 인테리어 환경을 구현하는 매개체는 재료들간의 오버레이 속에 발현되는 관계성, 그리고 조화 (건축가는 이를 재료간에 불투명성의 조합으로 풀고 있다.)를 통해 디자인된다. 특히 내외부에 테라피 센터 디자인의 아이텐티를 표출하는 펀칭메탈 패턴은 이곳을 상징하는 여가, 자유, 조화, 그리고 관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디자인 요소로 삽입된다. -디지털 시뮬레이션된 이미지를 픽셀화 그리고 이를 다시 드릴을 통해 펀칭, 패브릭케이션한다.- 각 재료간의 관계성 속에 조화롭게 발현되는 내부공간은 공간을 연속적으로 이끌어 가는 빛과 그림자를 따라 움직이거나 정지하며 치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