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만나는 접점에 위치한 가로환경의 재구성은 어반컨텍스트의 일부분으로 주민들에게는 쉼표를 도시에게는 다양한 야외활동을 제공하는 구두점을 선물한다. 작은 쌈지공원과 도로변 가로환경 재정비는 차량으로 부터 안전한 보행로 확보를 위해 유연한 선형으로 랜드스케이프되는 조경공간과 주민들의 다양한 야외활동;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쌈지공원의 디자인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쌈지공원에 자리 잡은 거대한 빨대 조형물은 아이들에게는 재미난 놀이터로 어른들에게는 장소에 대한 회상을 떠올리는 기념비로 제공되며 장소의 성격을 부여한다. reviewed by SJ,오사 Hapa Collaborative and Vancouver Park Board consulted with Mount Pleasant residents..
가든을 디자인하는 영감은 아라비아 반도의 고유한 자연과 문화환경으로 부터 파생된 모래언덕, 지역의 전통적인 관개시스템, 오아시스, 베두인의 직물 및 아랍 에미리트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헤자를 모티브로 사용한다. 눈물방울 형태의 랜드스케이프는 지역의 마이크로 기후 조절 기능과 중심상업지역내 거주자들의 다양한 커뮤니티 및 휴게공간 제공을 위한 아웃도어 스페이스; 척박한 기후로 부터 지역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자연공간, 정원의 일부분으로 자리한다. 주변환경의 관계를 반영한 유기적인 배치, 그리고 유기적인 랜드스케이프로 내외부 건축환경을 완성한다. reviewed by SJ,오사 Sowwah Square is the first development within the larger Sowwah Island mas..
어반플라자는 칠드런 케어 센터, 인근에 위치한 축구장을 위한 공용 욕실 그리고 경기장 사이에 위치,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야외횔동을 지원하는 퍼블릭 어반 스페이스로 제공된다. 콘크리트 오브제, 우드 데크 그리고 지역 식물이 식재된 플랜트 박스는 리니어한 야외공간에 연속되며 차량과 인도를 구분짓는 짙은 컬러의 바닥포장과 함께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동선을 유도한다. 다양한 야외활동의 필연적 발생으로 입지적 특징은 앞서 말한 플라자를 구성하는 요소에 스며들어 활동을 지원한다. 특히 낮은 둔턱으로 연속된 콘크리트 오브제는 스케이트 보더를 위한 플레이 그라운드로 산책을 즐기는 보행자에게는 잠시 쉬어가는 벤치로 식생보호와 주차공간의 독립적인 공간을 구획하는 요소로 사용된다. reviewed by SJ The pl..
클래식을 재구성하다. 연방정부내 중정 디자인은 기존공간에 대한 이해와 존중에서 시작되며, 이를 통해 재현되는 랜드스케이프는 클래식이 추구하는 가치불변를 지향하게 된다. 규칙과 정렬, 기존 랜드스케이프을 구성하는 다양한 법칙; 식재, 분수, 좌석배치, 페이빙의 중정을 구성하는 디자인 법칙은 공간과 공간을 연결, 사람과 공간을 연결,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자로 사용된다. 특히 평면적인 공간구성에서 엘리베이션 디자인, 즉 3차원 오브제의 디자인 접목은 공간의 깊이와 질감을 살리는 풍부한 공간감으로 이곳 중정을 새롭게 한다. 더욱이 한정적인 재원 내에 효과적인 시퀀스 연출을 위해 모듈화된 제품을 시리즈로 복사, 배치 그리고 재활용된 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함으로써 이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 한다. review..
중국, 첨단산업개발 단지 정저우에 새롭게 조성되는 어반가든은 지역주민들을 위한 퍼블릭 스페이스 제공을 위해 계획된다. 첨단산업단지의 장소적 의미가 투영된 랜드스케이프 디자인은 포스트-인더스트리얼을 모토로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의 식생을 포함하는 주변자연환경을 재구성한 도시정원으로 조성된다. 보행로를 따라 연속된 랜드스케이프는 도시도로에 면하는 광장으로 부터 유입된 큰 흐름을 따라 조닝, 연속된다. 아이들의 놀이공간이 포함된 드라이 파운데이션과 광장 그리고 다양한 랜드스케이프는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이벤트와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퍼블릭스페이스로 제안된다. reviewed by SJ Located in the Advanced Technology Industries Development Zone of Zhengz..
놀이를 통한 공감대 형성은 단순히 정보전달의 차원을 넘어선 자연스러운 소통공간을 형성시킨다. 네덜란드 중부, 아른헴시내 중심부에 새롭게 들어선 놀이공원은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이자 어른들의 다양한 소통을 보장하는 퍼블릭 스페이스로 제공된다. 이번 놀이공원의 가장 특징적인 대형 설치물-Partyaardvark-은 주변 랜드스케이프를 투영한 인공 지형물로 아이들의 다양한 놀이; 뛰기, 오르기, 미끄럼,...를 보장한다. 거대한 코끼리? -상상 속의 동물인 것 같다-는 30미터의 길이로 놀이공원을 가로 누워 아이들을 대지와 소통시킨다. 그렇게 놀이와 소통을 지향한다. reviewed by SJ A former wasteland in the city-centre of Arnhem is transformed to ..
캠퍼스 마스터플랜은 열린공간들의 연속된 시퀀스의 집합들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이러한 집합체는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며 서로의 버퍼를 형성, 조닝된다. 여기 WU비엔나 캠퍼스는 건축이라는 오브제; 컨텍스트와 외부환경이 형성하는 다양한 오픈스페이스와의 합성으로 전체 마스터 플랜을 완성한다. 이러한 관계성은 각기 다른 포지션에 위치한 건축물들이 형성하는 바운더리의 교집합, 합집합에서 만들어지는데, 이는 이웃한 건축물 또는 오픈스페이스와 내부 프로그램과의 절충된 합의점에서 발현되는 합리적인 배치를 기준으로 서로 간의 접점 안에서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완성된 캠퍼스 마스터플랜은 배움과 연구를 위한 다양한 시퀀스가 발생하는 유기적인 공간이 된다. reviewed by SJ The campus is a seque..
레이크우드 공동묘지의 새로운 연못은 영혼의 심연을, 주변 자연환경을 흡수, 투영하는 매개로 정원의 중심부에 자리한다. 거대한 화강석 파빌리온 주위로 새롭게 조성된 랜드스케이프는 머무는자 -죽은자-를 기리는 장소이자 그들을 추모하기 위해 모이는자, 움직이는자 -산자-의 중첩된 이미지를 공간 속에 표현한다. 장소가 주는 엄숙함은 여기 풍부한 자연환경과 새로운 랜드스케이프 안으로 흡수되어 안정감 있는 휴식공간으로 변화한다. 죽은자를 위한 공간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향휴의 몫은 산자의 것이다. 필수불가결하게 생성되어야 하는 장소의 당위성을 인지하면서도 배척하는 아이러니한 행위를 하지 말고 우리 삶의 일부분으로 겸허히 받아 들여야 되지 않을까? 그것이 이번 프로젝트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reviewed by..
장소의 기억을 회복하다. 차량에게 잠식 당했던 폴란드 그단스크에 위치한 역사적 광장은 이제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어반 퍼플릭스페이스로 변모한다. 도시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는 이번 프로젝트는 GDYBY group가 제안하는 어반글래스랜드로 광장에 일정크기의 잔디구획을 각 개인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설치된 잔디구획은 이곳을 향휴하는 이용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점유, 사용되어 지며 각기 다른 형태의 에너지, 공간을 형성한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각 개인의 방과 같이, 누군가에게는 일광욕을 즐기는 장소로 누군가에는 담소를 나누는 휴식공간으로, 장소는 공간으로 구획되어지고 한정되며 그로 인해 커다란 공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렇게 공용은 개인에서 시작된다. 한정된 예산에서 고유한 장소..
Initiated by IBA Hamburg 2013, this urban and architectural project offered to LAN the occasion to update a vernacular typology and proved to be a social experience. In October 2008, LAN won first prize in an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design and building organized by IBA Hamburg 2013, an international construction exposition first held in 1901. IBA Hamburg is more than just an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