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의 시작은 60년 건립된 사무공간에 추가적인 업무공간 확보와 이를 기존 공간과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건축적 기능 구축을 첫번째로 합니다. 여기에 회사의 새로운 이미지 및 캐릭터 창출이 더해집니다. 소통을 위한 열린 비즈니스 플랜 건축환경 개선작업은 임직원들의 소통을 확충하는 프로그램 구성과 확장된 엑세스(연결성)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에 중요한 시크리트(보안성)을 보장합니다. 다수의 공유 및 전용 미팅공간은 이러한 소통을 위해 각 작업장(업무공간)에 편집된 동선과 함께 재 배치됩니다. 물론 지속가능한 사무공간 확보를 위해 자연채광은 새로운 파사드를 통해 필터링되며 균등한 조도환경을 구현합니다. 지속성을 위한 선택 기존 커튼월의 부정적인 측면 (유리상자로 인한 온실효과)에 대한 대안으로 재조정된 입면 ..
유쾌한 사무공간을 지향하다. 커뮤얼 코-워킹 오피스의 작업공간과 휴식, 여가활동을 포함한 공용공간은 별도의 구분점이 없다. 기존 공간에서 확장된 이번 리노베이션은 기존 코-워킹 공간의 장점을 연장, 부족한 시설을 확충한다. 미팅룸, 대형주방과 식당, 도서관, 그리고 보다 많은 워킹스페이스를 기존 거주공간과 (이전 공간에 버려진) 데드스페이스를 통해 확보한다.플레이 & 워크 공간의 컨셉은 간단하다. 워크 앤 플레이 (일과 놀이가 수평으로 연결된 공간). 이미 실리콘 밸리내 수많은 벤처기업을 포함한 신생 기업들의 비즈니스 플랜으로 자리 잡은 오피스환경은 획일화된 작업공간에서 탈피, 작업과 휴식, 여가를 수평적으로 합성함으로써 직원들의 쾌적한 업무공간 보장은 물론 효율적인 생산성까지 확보한다. -우리나라, 어..
뭐하나 특이할 것 없이 지루한 박스형 사무실을 건물전용으로 바꾸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건물의 건축가적 디자인은 다음 4개의 주요한 목표로 나눌 수 있다. 오피스 디자인의 4가지 방향 첫 째, 의뢰인의 수수께끼같은 브랜드를 담을 것, 둘째, 그 산업이 지닌 심미학적 미를 포용할 것, 셋째, 전략적으로 자연채광을 외벽의 구멍들을 통해 끌어들일 것, 마지막으로는 자재의 잘 세분화되면서도 적절한 사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사무실 익명성 보장 사무실 개조를 의뢰한 업체는 건물에 대한 "익명성"을 요구했기에 이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는 근처 고속도로에 면하는 조용하면서도 모호한 컨셉을 제공하고, 풍화작용을 막기위한 얇은 피형철관이 절제된 대담하게 외부를 감싸며, 이는 건물의 자주성을 표현하기 위해..
수산업 협동조합 사무공간을 위한 건축. 효율적인 비즈니스 환경 구현을 위해 건축은 처음부터 구조와 공간, 외부와 내부, 그리고 업무와 소통을 긴밀하게 연결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먼저 메시브한(투박하며 거대한) 콘크리트 박스를 전체 빌딩의 주요한 지점에 배치, 빌딩을 지지하는 구조체 역활과 외부 환경으로 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버퍼존 역활을 동시에 수행한다. (역설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이 통로는 내외부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활을 수행한다. 필요에 의해 막거나, 열어 공간을 확장한다.) 덕분에 (구조적으로 해방된) 바닥과 천장은 우드 슬래브를 사용, 구조적 비용 절감은 물론 콘크리트와 우드 팀버의 조화로운 구조미를 완성한다.적절히 잘 조화된 재료의 사용은 지속가능한 사무공간이 지향하는 '안락과 안전'을 만족..
바닥에서 천장까지 연속된 창문 넘어 자동차, 벽돌이 주는 공간에 따스함까지, 새로운 오피스 리노베이션이 시작된다. 벽돌로 이루어진 기존 인더스트리얼 빌딩의 비효율적인 공간구성; 필요이상으로 큰 차고와 사무실로 사용하기에 너무 작은 개실을 오피스를 위해 개선, 확장한다. 여기에 기존 것들은 버려지지 않는다. 단지 재구성될 뿐, 현대적인 공간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기존 차고의 절반이 내부로 귀속되는 동시에 기존 벽은 철거, 확장된다. reviewed by SJ,오사 Floor-to-ceiling glazing permits views across rooms and into the garage of this renovated Chicago office, where the owner's limit..
기존 창고건축물(웨어하우스)의 리노베이션 방향은 호주 항구도시, 프리맨틀의 투영과 직원들 간의 긴밀한 소통 및 코업환경을 제공하는 오피스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한정적인 예산 내에 현실 가능한 구축 또한 함께 진행된다. 도시환경으로부터 영감은 지속가능한 거주환경을 위해 가공되지 않은; 자연소재를 사용과 여전히 유효한 기존 웨어하우스 스트럭쳐를 함께 사용한다. 기업의 젊은 캐릭터 또한 유효하다.재료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별도 유지관리가 필요없도록 사전에 마감처리된 콘크리트 패널-지역에서 생산되는 플라이우드 패널-기존 바닥재 재사용-노출된 철골보-리셉션 공간을 위한 해양 컨테이너 reviewed by SJ,오사 The brief for this job was to repurpose an existing ..
코업 비즈니스 환경을 위한 오픈 오피스. 효율적인 업무공간은 물론 심미적인 아름다운 공간을 통한 업무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비즈니스 환경의 첫번째 조건은 막힘없는; 장애없는 소통공간과 기존 장소가 투영된 재료의 지속성에 있다. 그리고 업무에 집중 할 수 있는 그룹환경과 주방, 옷장, 욕실 및 샤워실과 같이 공용기능의 명쾌한 기능 및 쾌적성에서 두번째 조건을 찾을 수 있다. 8개의 독립적인 그룹공간과 중첩된 요소를 제거한 기능적인 공용공간은 건축가 igor kuznetchov, marina rasponomareva, vitalii kodgevnicov of esthet를 위한 협업 오피스로 완성된다.reviewed by SJ,오사 the open office format is heralded just as ..
델프트 기술박물관 리뉴얼 시작 이 시설은 이동성 개선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네덜란드 내 기업 및 단체들이 유기적으로 네트워크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현지의 비영리기업인 Ateliers for Connekt에 의해 설계되었다. 프 로젝트에 앞서, Ateliers는 Connekt의 사무실을 재탄생 시키는데 넓은 시야에서 조망하라는 요구를 받았는데, 우선 편한 네트워크를 할 수 있도록 그 규모에 상관없이 예약없이 회의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요청을 받았다. 기존 공간에 대한 이해 이 시설은 처음 1905년에 건설되었는데, TU Delft를 위한 기계공학 연구실을 갖추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동시에 MVRDV와 Richard Hutten이 2009년에 다시, 밝은 오렌지색의 연구 시설로 재탄생시켰던..
인더스트리얼 빌딩을 리노베이션한 스마트폰 제조회사, 페어폰의 암스테르담 오피스가 추구하는 건축환경은 회사의 방향; 지속가능한 생산, 생태환경을 목적으로 한다.기업가치는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제작을 위한 윤리적인 재료(소스) 사용과 사용자(소비자)가 직접 수리, 복원이 가능하도록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모듈 디자인 제작을 원칙으로 한다. -회사의 가치추구가 지금 스마트폰 시장을 주름잡는 애플, 삼성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이러한 환경 조성(지속가능한 생태환경)는 새로운 워크스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인테리어에 적용되며, 1884년 건립된 암스테르담 북부, 웨어하우스를 지금의 오피스 환경으로 변화한다.한정적인 예산과 구축기간은 최대한 기존 구조물 및 요소를 존치, 복원하는 방향으로 (원래 기업 가치추구와 같이) 대..
전통적인 알프스 지역, 작업장(workshop) 개선 사업은 전체 개선 공사 및 워크샵 일부 변경을 포함한다. 기존 전통 건축공간에 대한 건축주, 조각가, 예술가의 재고는 다량의 채광을 유도하는 건축어휘를 적용, 건축물에 고유한 캐릭터를 부여한다.공간의 구성 기존 구조물로 이루어진 대형홀은 평행한 두개의 벽으로 구분, 3개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중심부에 자리한 공용창고를 기점으로 양끝단에 각각 작업장이 자리하며 각 공간은 긴 계단실을 통해 상부 2층과 연결된다. 새로운 선반은 기존 바닥재(나무)를 재활용, 각 공간을 구분짓는 파티션 역활을 함께 수행한다.워크샵 캐릭터의 재구성 워크샵의 메인 캐릭터는 남측 입면에 자리한 윈도우 3개와 서측에 위치한 도어를 새롭게 디자인한 대형 오프닝 '라이트 캐쳐' 2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