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penroute, an investment consulting firm in seoul, opened its doors as a startup just a few years ago. following a recent business expansion, the firm relocated its offices to a 500sqm space in the upscale neighborhood of chungdahm-dong, and asked minsoo lee, a faculty teacher of the college of design at hanyang university to design them. the spatial expansion reflects the growing list of alpen..
Delvendahl Martin Architects 런던 오피스는 단일 가족을 위해 더블 프론트를 한 새로운 집을 만들기 위해, 옥스포드에 있는 인접한 주택 두 곳을 확장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현존하는 두 개의 빅토리아풍 주택들을 중심 부분에 목재로 만든 층계를 세우고, 파티 월로 수직을 세움으로써 서로 연계되어 있다. 내부적으로는 예전엔 분리된 건물이었지만, 두 개의 층계로 연결했는데, 하나는 어두운 재목으로, 다른 하나는 벽돌로 만들었다 목재로 구성된 계단은 위층의 사무실과 침실들을, 확장시킨 거실과 부엌이 있는 하층과 연결했으며, 벽돌은 집과 뒤편 정원으로 연결된 입구 사이에 변화를 주게 하였다. 부분으로 나눠진 지하층은 통로와 부엌을 접하고 있다. 집은 전체적으로 커스텀화된 가구로 채워졌으며 조명..
ADVANCED DESIGN Since October 2013, Daimler worked in collaboration with the interior design and architecture company anySCALE to develop, design and execute the new Mercedes-Benz Advanced Design Center of China which opened in November 2014 in Beijing. Architects: anySCALE Location: Wang Jing Dong Lu No. 6, Intern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Park Design Team: Andreas Thomczyk, Kari..
덴마크의 건축회사인 3XN은 한때 기우뚱 기울여졌던 오랜 보트 하우스를 150명의 사원을 수용할 수 있는 자사를 위한 사무실로 변화시켰다. 3XN는 이전 사무공간이 3층 규모로 직원들이 나눠 근무했었는데, 최근 2천 평방미터 규모의 새로운 스튜디오인 “캐논 보트 하우스”로 이전하게 되었다. 이 오래된 캐논 보트하우스는 1800년대 중반 군사용 보트들을 수리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되었다. 건물의 바닥 층은 인접한 운하 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져 있는데, 이는 보트 제작업체가 물 쪽으로 보트들을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동쪽 뱃면은 운하를 향하고 있고, 전체 창문과 문들로 전체를 채웠다. 3XN의 설립자인 Kim Herforth Nielsen는 시니어 디자이너에서부터 인턴에 이르기까지 모든..
스위스 바젤에 한 때 수년에 걸쳐 이벤트 공간으로 사용되었던 부르크하르트 기계공장의 본강당은 다기능의 작업환경을 갖추면서도, 임대형 주거공간을 새롭게 더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작 업의 목적은, 수많은 가능성을 제공하는 공간의 창조였다. 여기에는 협력작업, 일반 사무공간, 자유로우면서도 문화적인 활동들, 그리고 워크샵을 포함하면서도 더 큰 규모의 이벤트도 가능한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본 강당은 나무 구조의 '집 안의 집'이란 구조로 구성된다. 그 가운데에서도 리셥션 공간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래서, 강당의 주입구에 이를 구성했다. 유동성의 극대화를 1층에 부과하기 위해 대부분의 건설은 목재 빔 위에 지지대고 올라가게 하였으며 여기에는 작은 비닐모양의 지하로 내려가는 층계를 접하고 있다. 위층에는 ..
웨스트메드 밀레니엄 연구소는 웨스트메드 병원 캠퍼스에 걸쳐 총 6곳의 건물에서 온 스탭들을 한자리에 모이게 한다. 차분한 약속의 단독 공간 안에 각기 다른 연구 그룹을 재정리하기 위함이다. 차분한 결의적 감각에도 불구하고 유동성이 있으며 심지어는 미완결된 건물의 느낌을 주어, 수많은 시간을 거쳐 마치 그 형태나 수용 능력이 변화할 것처럼 이용과 적응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 서비스 공간들은 현재와 미래가 요구되는 엔지니어의 거대한 배열을 통합하고 있으며 많은 공간들은 확장할 수 있는 이용시설로써 사무실이 연구실로 바뀔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안에 논리들은 분명함을 복잡함에 더하고, 다목적 기능을 부과한다. 빛과 외부로의 접근은 내부와 연구실, 사무실과 그 통로 공간 사이에 동일하게 제공하고 있다...
건축사무소, 유연한 사무공간. 필요에 의한 최소한의 디자인을 한다. 이를 위한 생산은 하지 않는다. 다만 기존 오브제 및 가구들이 공간에 맞도록 재활용 될 뿐이다. 그렇게 공간은 사람에게 맞추어 진다. Kiruna’s first architecture studio, An Architecture Office is a platform for White Arkitekter to engage the community of Kiruna as the city is replanned and relocated east. The city must move because the continuous extraction of iron ore on the western border of the city (which began ..
폴란드에 위치한 비펑키 오피스의 시작은 기존 인더스트리얼 웨어하우스 (산업용 창고)를 개조, 회사 이미지에 부합하는 인테리어 디자인과 효율적인 비즈니스 환경구현을 목표로 진행됩니다. 3,000sqf, 열린 오피스 환경내 컨퍼런스 룸, 위스크 라운지, 주방과 미팅구역이 배치됩니다.창의적인 영감에 동기를 부여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은 카메라 조리개를 기본컨셉으로 비펑키 로고 일부분이 합성된 패턴을 사용합니다. 컨퍼런스와 라운지를 구분하는 우드스크린과 천장 주요한 구조체를 연결하는 천장 구조물에 사용됩니다. 백색공간을 바탕으로 패턴화된(구조화된) 우드 프레임워크 매치로 열린 공간은 고유한 캐릭터를 구현합니다.reviewed by SJ,오사 BeFunky, located in an industrial bow tru..
조금은 특이한 오피스가 건립됩니다. 다양한 바닥 레벨, 정형화되지 않은 벽과 평면구성, 그리고 이러한 각 공간들을 막힘없이 연결하는 오픈플랜(일반적인 벽식 또는 가구식과는 차별화된)이 펼쳐집니다.일본 나고야 외곽, 대규모 개발 사업이 진행되는 지역에 자리한 오피스는 이러한 도시환경과는 별개로 고유한 지향점을 건축공간에 투영합니다. 직원들 사이에 풍부한 의사소통 확보와 이를 실현하는 (평범하지 않은) 목조기둥를 제안합니다. 여기에는 3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합니다. 첫번째, 30개의 목조기둥을 통해 (벽에 한정되지 않은) 지유로운 평면계획, 여기 사용되는 벽은 비내력벽으로 사용됩니다. 두번째, 직원들의 작업환경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이 가능한 바닥의 위치와 높이. 세번째, 전형적인 클래식 입면 ..
유럽 최대, 지속가능한 오피스 환경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가 벨기에 브뤼쉘에서 시작됩니다. 19세기 교통의 요충지로 사용되었던, 일명 'Tour & Taxis'로 불리우는 대지 위에 자리한 오피스 빌딩은 이 지역을 포함하는 거대한 도시 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새롭게 조성된 운하와 부둣가에 마주한 매력적인 장소로 제공됩니다. 브뤼셀 환경보호국을 위한 건물의 지속가능한 건축환경은 이러한 장소성을 표현하는 주요한 매개체 역활을 수행하게 됩니다. 사람들에게는 그것보다 토스터기를 닮은 형상이 더 재미있게 다가오는지, 벌써 부터 '토스터기'라는 닉네임이 생겼습니다.지속가능한 오피스 시작 공간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센트럴 아트리움은 각 층의 시야와 환경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물리적인 연결과 쾌적성을 보장합니다. 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