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난징 서쪽, 라오산기슭에 위치한 주거단지 계획은 총 4개의 공용건축물과 20호의 주거로 구성된다. 그중 4번째 '블록하우스'는 좁은 계곡과 직교를 이루는 대지에 위치하며 4개의 큐빅 플로어가 적층된 큐빅형태로 계획된다. -건축을 자연위에 최소한의 면적으로 올려 놓는다.- 블록하우스의 컨셉은 중국의 전형적인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것으로 외부와의 최소한의 접점만을 허용한다. 작은 크기의 다양한 펀칭 오프닝, 패턴과 각 층마다 수평-수평 속에 내부의 개실과의 관계를 반영한 라운드 형태가 계획된다.-으로 연속된 슬릿한 오프닝으로 구성된다. 그라운드 레벨에 위치한 거실 및 식당은 수평의 파노라마뷰를 내부로 유입을, 옥상에 위치한 테라스 및 옥상정원은 탁트인 전망과 더불어 주거 주위를 둘러싼 나무들과 앙상블을..
일본건축가 겐조쿠마의 신작 '스톤 스케이프'는 대나무, 석재, 물을 이용하여 절제된 어반 랜드스케이프를 제구성한다. 겐조쿠마의 스톤스케이프는 현대 도시생활의 다양성 복잡성을 일본 전통의 정원조경방식의 현대적인 재해석으로 한다. 내부공간을 휘감아 도는 굴곡진 스톤의 형태는 지형의 등고선을 연상시키며 때로는 작은 연못을, 때로는 작은 분지 속 대나무 숲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적 재구성은 거대한 빌딩 속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자연에 대한 노스텔지아를 형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람과 자연을 재연결하는 장치로 제안 될 것이다. reviewed by SJ In the spectacular skyline of Porta Nuova Varesine in Milan, on the occasio..
도시 동맥을 연결한다. 2년의 공사기간, 약 90밀리언 유로의 예산 그리고 도시의 교통수단을 환승, 연결하는 교통의 허브. 이러한 설명은 최근 완공된 그라즈시에 복합환승센터 '골든 아이'를 일컫는 말이다. 중장기적인 도시개발 사업 중 하나인 환승센터는 기존 거대한 광장에 위치, 매력적인 유선형태의 캐노피와 라운드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승객들의 안전한 탑승 및 환승을 위한 플랫폼은 매력적인 캐노피 '골든 아이'로 덮이며 이곳 환승센터를 랜드마크화 하는 강렬한 디자인 요소로 작용한다. 장소, 환승센터의 성격상 많은 사람들의 유입을 허용하는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캐노피의 미려한 디자인은 매력적이다. reviewed by SJ After a construction period of 2 years and an in..
스웨덴 키루나에 위치한 로켓스쿨은 기존 십자가형태의 공간을 리뉴얼 하며 주변 자연환경을 흡수, 투영하는 고유한 캐릭터로 디자인된다. 건축물의 파사드는 기존에 검은색으로 채색된 징크 판넬과 블랙과 화이트 외벽 그리고 수직으로 빛나는 우드판넬로 구성된다. 여기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좁고 높게 지어진 빌딩의 출입구는 스틸 기둥과 외부의 스틸케이블로 서포트하며 스쿨을 기존 건축물과 차별화시키는 랜드마크 요소로 작용한다. 이와는 반면 교실 파사드를 구성하는 원형창문은 레드 및 오렌지 컬러로 외부환경으로 부터 내부교실을 보호하는 기밀한 요소로 사용된다. 이러한 건축환경의 구축은 지속가능한 건축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저절감 에너지사용을 위한 고효율 유틸리티 계획으로 보강된다. reviewed by SJ Swedis..
자연, 효율성 그리고 유니크를 생각합니다. BIQ는 생물반응을 이용한 파사드를 장착한 최초의 건축물로 미래 건축에 대한 스탠다드로 제시된다. 투명한 글래스-마치 얇은 수족관 같다.- 내부에 삽입, 양식되는 미세조류를 통한 바이오 스킨은 에너지 생산 및 빛 조율이 가능한 쉐이딩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미래지향적인 건축재료는 공간의 다양성, 친환경을 구축하는 재료로써 건축환경을 더욱더 풍부하게 한다. reviewed by SJ Natural, efficient and unique: the BIQ is setting new standards as the first building in the world to have a bioreactor façade. Microalgae are cultivated in..
독일 다뉴브강가에 새롭게 제안되는 바바리안 뮤지엄은 포루투칼 디자인 스튜디오 ooda와 제데스 데캄포스에 제안된다. 강과 직교를 이루는 뮤지엄은 병렬로 연속되는 지그재그 톱니형태의 지붕으로, 독일인의 영광스러운 역사와 함께한 알프스 산맥을 재현한다. 퍼블릭 스페이스, 지상층을 포함하는 3개층의 뮤지엄은 대형 전실 및 이벤트 공간, 카페, 쇼룸 그리고 주출입구로 구성된 저층부와 바바리안의 역사를 재현, 디스플레이하는 영구전시장과 임시전시장, 교육실을 포함하는 중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최상층은 각각 쇄기형태 지붕으로 디자인된 개별 영구전시장으로 구성된다. 뮤지엄의 아이텐티한 디자인 성향을 표출하는 톱니형태의 디자인은 내부공간의 기능적 프로그램을 반영하는 동시에 비쥬얼적인 다이나믹함으로 바바리안 뮤지엄을 특..
도시의 틈새를 재구성한다. 자신의 밀도를 견디지 못하고 서서히 붕괴되는 상하이, 그 틈새 속에 자리 잡은 스플릿 하우스는 새로운 도심형 주거로 제안된다. 현대 도심생활이 투영된 주거공간은 기존 싱글주거공간에서 공동주거형태로 탈바꿈하며 주거 내부에 위치한 대형 계단실 겸 홀로 수직 연속된다. 이렇게 3개층에 걸쳐 위치한 주거공간은 계단실을 기점으로 스킵플로어 구조로 3개의 독립적인 주거유닛으로 개별화 된다. 도로에 면한 내부공간은 주거의 공용공간-리빙스페이스-으로 도시를 투영하는 거대한 천창 파사드로 디자인, 여기에 반층 올려진 후면공간에는 각 주거의 프라빗 룸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각 주거의 욕실은 계단실에 위치된다. 도시의 틈새, 주거 또는 스튜디오로 재구성된다. reviewed by SJ Rethin..
The birds inside this cuckoo clock by London design studio BERG are programmed to poke their heads out to announce Twitter messages, retweets and new followers #Flock, which was commissioned from BERG by social networking service Twitter, was built using BERG Cloud, the design studio's operating system for network-connected products. Using a wirelessly controlled Arduino microcontroller, the thr..
Upon the announcement of the winner of the 2013 Mies van der Rohe Award — the Harpa Concert Hall in Reykjavík, by Olafur Eliasson, Henning Larsen Architects and Batteriid Architects — Olafur Eliasson shares with the readers of Domus his statement. The Harpa Concert Hall was featured in Domus 950, alongside a video by Pedro Kok which captures the building's atmosphere. Read Eliasson's statement b..
건축언어의 적극적인 수용에서 프랑스에 위치한 공동주거의 디자인은 시작된다. 기하하적인 볼륨과 하늘이 투영된 파사드 패턴은 여기 공동주거에 계획된 어반 테라스-마치 테트리스의 조각처럼 주변 랜드스케이프와 짝을 이루며 동기화된다. 1960년대부터 이 지역의 특징적인 디자인 스타일로 공간을 강조하는 동시에 건축물의 캐릭터를 정의한다. 여기 생동감있는 컬러로 채색된 커팅볼륨은 이러한 디자인 흐름을 재현, 연장한다.- 와 맞물리면서 외형을 더욱더 드라마틱? 기하학적인 형상을 갖게 한다. 글래스 파사드는 여름철 태양열로 부터 내부공간을 보호하는 동시에 자연환기를 유도하는 장치로 디자인된다. 그렇게 지역적 환경이 반영된 두가지 형태론은 저층부에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공간 확보를 위한 필로티공간과 공동주거의 디자인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