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라는 것을 잊어버릴 만큼 아름다운 오브제를 보는 듯 하다. 황금비율에서 오는 형태의 미학은 의자의 인체공학적인 형태와 맞물려 단순히 오브제 이상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어요. 사람의 신체가 닿는 접촉감을 높이기 위해 고급 패브릭의 소재를 사용하고 신체가 닿지 않는 부분은 마치 동물의 딱딱한 등껍질을 보는 착각마저 불러 일이킬 정도의 강렬한 재질감으로 마무리 되었어요. At the Stockholm Furniture Fair 2011, the furniture manufacturer Engelbrechts A/S will present the PLATEAU lounge chair upholstered with fabric from Designers Guild and with a four-star swive..
프랑스 리옹시의 항구 개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오렌지 큐브가 디자인되어 만들어 졌어요. 산업적인 항구도시내에 문화와 상업시설을 삽입하는 도시프로그램에 한 부분이네요. 오렌지 색은 이곳 항구산업을 의미하는 컬러코드로 큐브의 단일 매스의 건물을 더욱 랜드마크화 하고 있어요. 특히 오렌지색과 더불어 외피를 둘러싸고 있는 타공판이 독특한데 더불스킨의 구조로 내부 프로그램의 공간과 반응하여 빛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계산된 구멍들이네요. 바다를 향해 열려 있는 빅홀 부분은 태양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은 동시에 내부 사무실이 적극적으로 외부와 연결되도록 계획되었네요. Jakob + Macfarlane Architects have designed The Orange Cube in Lyon, France. The a..
정원으로 열린 거실로 햇살이 가득들어오는 모습이 너무나 사랑스러운 가족과 어울리네요. 기존건물에서 추가적으로 정원으로 연계된 거실과 주방을 확장하여 계획한 것 같네요. 어른들의 공간이라기보다는 아이를 위한 공간의 배려로 설계되어었어요. 삼면으로 열린 독립적공간은 외부로의 연계성이 좋아 보이네요. 유리와 스틸로도 충분히 따뜻한 분위기 연출이 되는 것 보면 공간은 재료의 사용도 중요하지만 누군가가 사용하는냐에 따라 상당히 분위기 달라지는 것 같아요. antwerp based studio, low architecten, has completed 'tuinkamer', an addition to a single family home located in belgium. the weightless steel and..
북유럽 특유의 감성적이며 심플한 멋이 있네요. 스툴,체어, 램프 적절히 우드와 스틸을 조합하여 구성한 재질감이나 모던하면서도 세련된 색감구성이 돋보이네요. Stockholm 2011: Finnish designer Sami Kallio presents a collection of furniture, including these stools with legs shaped like lolly sticks, as part of the Greenhouse at Stockholm Furniture Fair this week. Other pieces include a wooden chair with twisted steel backrest and a lamp comprising a metal shade hung w..
카지노 그 달콤한 유혹적 형태 스페인 몬테레이 호텔의 역사적인 정원이 확장되어 카지노의 유니크한 입면으로 구현 되었어요. 이 유니크한 입면은 주변환경의 시각적 요소를 끌어들여 일부는 건물내부로 일부는 다시 옥상을 통하여 정원으로 연결시키네요. 건축물과 대지의 경계를 넘나들어 연결방법은 공간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무너뜨려 사이트 전체를 공간으로 확대하는 역활을 해요. The Gran Casino Costa Brava, located in the historic gardens of the Gran Hotel Monterrey in the centre of Lloret de Mar (Girona), is based on a distinctive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pro..
파쇄한 디자인매거진을 다시 가구로 만드는 리사이클링 퍼니쳐네요. 산업디자이너 젠스 프렛은 이전부터 일련의 이와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했네요. 캔,병, 매거진, 골판지등을 적당한 크기로 리사이즈하여 다시 그것을 투명한 레진과 같은 구체로 같이 굳히는 거죠.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디자인매거진의 컨텐츠가 구체적인 퍼니처로 재탄생하는 것이 디자인의 순환구조가 되는 것 같아 재미있는 것 같아요. 패브릭케이션 컴퍼니를 섭외해서 다른 재질로 만들어 봐야 겠네요. Belgian industrial designer Jens Praet who we’ve seen before on Yatzer proves that recycling can be a lot more interesting than stuffing cans, bo..
화이트 모던 하우스 내부 조명이 잔잔히 패브릭 스크린으로 뻗어나와 외부로 확장되네요. 알터톤 회사의 키너씨 The talented design duo’s firm Atherton, Keener landed a spot on the cover of DWELL, a drool-worthy national architecture publication. Atherton and Keener opened the door of their Meadowbrook house in downtown Phoenix for a tour and a discussion on their history and future in architecture. Their house, a cool concrete block-like structu..
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 그리고 베트남 전쟁까지 탄약을 공급하던 캔자스시 내의 군수공장을 친환경 건물로 리뉴얼 했어요. 사람을 죽이는 공간에서 사람을 살리는 공간으로 바꾸는 프로그램,컨셉 자체가 재미있는 프로젝트네요. 지속가능한 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첫번째, 화석연료의 에너지 의존도를 낮춘다. 두번째, 이를 대체하기 위한 에너지를 풍력,태양열 등 친재생에너지로 대체한다. 세번째, 빗물을 용수로의 재활용, 지열펌프 활용등 고효율 설비를 설치한다. 네번째, 공사의 효율성을 높인다. 다섯번째, 제품 공정시 이산화탄소 배출은 줄인 친환경재료를 사용한다. 여섯번째, 자연환기 및 열 관류를 좋게 하는 복층형(내부중정형) 공간 계획을 한다. 지속가능한 건축은 우리가 공존하기 위한 선택사항이 아닌..
1988년 뉴욕에 건립된 영상박물관 리뉴얼 작업이 드디어 끝났네요. 박물관이 가지고 있는 랜드마크 때문에 입구의 파사드 또한 작은 부분만을 리뉴얼 했어요. 영상이라는 특수성의 박물관이다 보니 트랜드의 변화와 영상의 발전속도에 맞추어 리뉴얼을 했어요. 비물질적이며 가장 빠르게 변화,발전하는 영상(미디어)과 가장 더디게 트랜드를 반영하며 구축적인 건축적공간의 만남은 어쩔 수 없이 대응의 폭이 한정적 일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요. 이런 프로그램의 만남 일 수록 건축적 공간을 상당히 플렉시블하게 계획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의 트랜드를 맞추면 결국 몇년안의 다시 예전것이 되어 버리는 현실에서 유니크하며 특수성이 있는 공간은 오히려 영상이라는 프로그램과의 조우에서 트러블을 일으키게 되겠죠. 공간을 균질하며 ..
스타킹 여자를 입다. 위트와 재치 만점인 스타킹 이네요. 또한 상당히 스타일리쉬해서 자신만의 독특한 아이템을 가질 수 있어서 참 재미있네요. 한정생산품이니 생각이 있으신분은 빨리 서두르셔야 겠어요. Les Queues de Sardines, a registered trademark of the m + o studio, is offering an original range of stockings and tights notable for their unconventional and unique graphic style. Add a pinch of narrative humor - the result is a choice of elegant and unusual models that will dress up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