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ed at the 2015 saint etienne biennale, the ‘INKO’ iPad keyboard and cover, from alexandre echasseriau, uses bare conductive electric paint and combines the craftsmanship of a leather worker and a tattooer. the idea behind the project was to incorporate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the deep texture of the hide, in order to create an electrical connection. acting just like a keyboard, yet p..
벽돌을 통해 건축의 캐릭터를 구축하다. 슬로베니아 수도, 류블랴나에 위치한 공동주거 프로젝트는 지역건축가,dekleva gregorič arhitekti가 지향하는 건축환경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프로젝트에 사용된 재료의 물성은 대지의 이전 기억; 벽돌공장에 대한 장소성을 참조한다. 그러는 동안 프로젝트의 건축환경을 특별하게 하는 파사드 디자인이 추가된다. 이를 위해(재료의 물성을 발현하기 위해) 건축물의 볼륨은 내부로 커팅된(각 세대 발코니) 볼륨과 함께 캐릭터 구현을 위한 바탕으로 제공된다. 내부적으로, 185세대 구성을 위한 명쾌한 건축구조는 17개의 객실타입(각 타입은 실구성과 사이즈에 따라 구분된다.)으로 발전, 조직된다. 여기에 구조 시스템 또한 각 세대의 유연한 공간활용(가변성)을 위해 일정한..
자연으로 부터 찾아 오다. 히로미사에 위치한 채플의 아름다운 설치물은 나무를 모티브로한 기모노 패턴을 차용한다. 이 거대한 우드판넬은 조상 뿌리에 대한 존중과 다음세대의 번영을 표현하는 '플라워 파워'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자인의 바탕에는 (기모노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하여 얻어진) 일본전통 기모노 패턴이 자리하며 다양한 꽃과 식물의 재현을 충실히 수행한다. 실질적인 구현에는 총 100개의 우드판넬이 사용된다. 각 유닛은 3feet by 6feet 크기로 모듈화한 하프-인치 두께의 일본 사이프러스 우드 판넬을 사용하며 수작업으로 커팅된 패턴이 새겨진다. 이러한 복잡한 패턴(곡선)이 생성하는 공간감은 일본에서도 전례가 없는 스케일의 우드 돔 채플을 완성하며 조명(빛)과 어우러져 무성한 숲(자연)의 이미지를..
Knarvik교회가 지향하는 건축은 외형적 특징만큼이나 간단명료하다. 균형있는 조화 그리고 이를 통한 성스러운 공간 창출; 신을 만나기 위한 공간 제공에 있다. 이는 중요한 지점에 위치한 교회의 실질적인 목표로 정의된다. 지역문화의 구심점, 기독교의 메신저로써 본분, 주말 다양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공간구현의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지형-경사지-을 따라 주변환경을 따라 건축물을 배치한다. 그리고 이웃한 주변환경; 식생, 지형, 공간적 퀄리티와 관계를 맺고 자신만의 캐릭터를 구축한다. 완성된 교회는 지역 커뮤니티의 구심점 역활과 지역문화활동 보장을 위한 토대로 예술 및 각종 음악활동을 지원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종교건축의 상징성은 물론 지역을 통합하는 건축의 힘이 느껴지는 프로젝트이다.re..
칠드런홈은 어린이들의 열린교육 및 막힘없는 소통, 사회관계형성을 위한 장으로 제안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활동공간; 교육공간과 아이들의 개인적인 거주공간을 확보한다. (유아실은 도로로부터 이격, 내부 정원과 놀이터에 연접한다. 이와 반대로 청소년실은 최 외곽부에 위치, 도로 및 외부와 연접된다.) 먼저 안락하고 포근한 집과 같은 공간 연출을 위해 덴마크 내 전형적인 주거를 모티브로 하는 박공지붕 및 지붕창을 연속시킨다. 기본 프로파일의 리드믹컬한 디자인 구성은 각 공간에 대한 채광 및 전망확보를 위한 건축적 장치로 활용되며 여기 케어센터를 캐릭터화하는 주요한 디자인 요소로 표현된다. 특히 다양성과 기능성을 확보한 플렉서블 스페이스는 폭넓은 응용공간을 창출한다. 독서, 영화감상, 숙제를 위한 작업실, 미술..
캐나다 온타리오, 조지안 베이에 사우나가 설치된다. 그림같은 호수를 비롯한 풍부한 자연환경은 사우나, 그로토 존재의 이유를 설명한다. 밀착된 내외부는 거대한 암석으로 삽입된 외형과 주변지형의 다양한 곡선을 투사한 내부의 오가닉한 공간으로 구현된다. 경제적이며 효용성이 있는 컨트롤이 가능한 두개의 고효율 오븐이 탑재된다. 그리고 내부 구조체의 부식방지 및 곰팡이 제거를 위해 통기관 및 팬과 같은 설비 시스템이 적용된다. -계절에 따라 적절한 환기를 유지시켜 주며, 공조를 기본 시스템으로 구축된다.- 여기에 사용된 단열재는 단순히 내부공간 보호차원을 넘어서 빠른 히팅 및 쿨링을 지원하는 요소로 적용, 효율적인 에너지 운영을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특별히 선별된 내부 마감재; 나무 및 삼나무는 내부 부식..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시의 정비구역 가운데 한 곳에 위치한 새로운 스피링어 공원의 외곽에 건설된 더 아키텍트- The Architect(De Bouwmeester)는 색과 모양, 그리고 재료를 통해 눈에 띄는 건물이다. 더 아키텍트의 빛나는 황금색 금속으로 된 독창적인 둥근 모서리들과 계단식 볼륨 및 물결모양의 발코니는 주변의 조용한 주택가나 암스테르담-라인 운하를 따라 위치한 산업건출물들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더 아키텍트는 일만제곱미터 규모의 기능적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 규모는 따뜻한 색감의 벽돌 기둥 위에 세워져 있고, 하나의 뜰 주위를 감싸고 있다. 가장 낮은 건물 높이는 2층이며, 가장 높은 층은 공원 가에 위치하고 있는데 7층 높이다. 각 "계단"은 주변..
모든이를 위한 오픈 하우스, 독일 뮌헨에 신축된 "얼리 엑셀런트 센터"는 아이들, 부모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가족을 위한 공간으로 정규교육과정과는 차별화되는 열린 교육을 지향한다. 무엇보다 자연과의 친밀한 경험을 위한 건축환경은 적극적인 외부환경 유입을 위한 다양한 장치로 120명 가량의 아이들에게 쾌적한 교육환경을 제공한다. 먼저 내부에 자리한 각 실은 남측에 위치한 정원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중복도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각실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하도록 사이사이에 공용공간을 삽입한다. 이를 통해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원활하게 유도한다.- 그리고 중복도의 지붕에 3개의 독특한 천창을 설치, 자연환기와 채광을 유도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내부 공간은 이 지역의 나무를 가공한 외장재 -버티컬 우드 바-..
파인애플 케잌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샵의 독특한 외형은 일본 전통의 목조 결구방식의 재해석을 통하여 구현된다. -대나무 바구니 같기도 하고, 거대한 구름 덩어리 같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두개의 부재가 결구되면 2방향의 공간값이 갖는다. 하지만 여기 30도 각도로 결구된 부재는 3개의 방향을 갖으며 공간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아이디어로 부터 시작된 샵의 외형 디자인은 60x60 리니어한 나무부재를 이용, 아오야마 주거단지 내 거대한 구름 한덩어리로 구현된다. 기존 콘크리트 박스와는 확연히 구분, 차별화되는 세밀하면서도 소프트한 감성공간은 도시와 건축간의 새로운 앙상블을 만들며 도시공간을 건강하게 만든다. reviewed by SJ This shop, specialised in selling pinea..
클래식에 대한 재고. 여기 방문자 센터는 중국 전통 목조건축에 대한 재고의 장소로 제안된다. 센터를 구조화하는 쇼케이스 스트럭쳐는 현재 중국문화에 적응 가능한 현대적인 재료의 사용과 기술의 혁신을 통한 역사적인 목조건축의 선례를 재현한다. 건축재료로써 나무의 대두는 지속가능한 건축의 큰 테두리 안에서 친자연적이며, 재생가능한 디자인 요소로의 접근에서 시작된다. 그러한 목적은 이곳 방문자센터를 구성하는 주요한 3가지 포인트에서 구현된다. -중국 전통목조 건축의 구축방식, 돌로 이루어진 기단부, 주춧돌과 그 위에 세워진 나무 기둥 그리고 주변 자연경관을 닮은 곡선형 지붕- 센터를 만나는 도입부; 주출입구, 고객 대응 판매 서비스 구역, 커피 바, 이렇게 내부를 구성하는 주요한 공간은 대지의 형상에 따라 자연..
자연의 단면을 훔치다. 덴마크 북서부의 풍부한 자연환경을 소개, 전시하는 전시장과 이를 관광하기 위한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센터, RebildPorten는 독특한 외형으로 주변의 시선을 사로 잡는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천혜의 자연경관을 지닌 유틀란트 북부 지역의 자연보호 지역을 소개하는 인포메이션 센터는 자연의 단면; 울창한 숲속, 그리고 그 숲을 가득 채우는 나무들, 그 나무길을 따라 연속된 오솔길을 투영하는 건축물의 외형은 블러프 팀버를 이용 크로스된 구조물로 구체화 된다. 건축적 어휘로 재해석된 자연의 단면들은 마치 숲속 나뭇가지들이 교차하는 시퀀스를 유도함으로써 숲속의 산책, 자연과의 동기화를 유도한다.특히 이곳을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들의 휴게공간으로써 캔틸레버 하부공간은 주요한 공간적 특..
자연에서 차용한 디자인 요소는 건축물 내부를 보호하는 건축요소이자, 건축물을 아이텐티화하는 요소로 사용된다. 전원의 풍부한 자연환경을 건축어휘로 함축시킨 수직 줄무늬 우드 휀스는 여름철에는 뜨거운 직사광선을 차단, 겨울철에는 내부 열에너지를 보호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요소로 사용된다. 거기에 외부의 소음으로 부터 내부 공간을 차단시키는 효과와 인공적인 건축물을 자연풍경 속으로 사라지게 하는 효과도 가져오게 한다. 이렇게 휀스-파사드는 건축과 자연을 밀착시키며 동기화 시킨다. 아무런 충격없이, 아무런 소음없이, reviewed by SJ The site dedicated to the project hold a strong agricultural identity typical of the rural lo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