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위에 또하나의 자연을 만든다. 유서깊은 조르주 뒤랑 맨션의 수집품을 위한 전시공간, 베트루 뮤지엄센터는 다양한 종의 동식물 표본전시와 교육을 목표로 건립된다. 뮤지엄의 취지에 걸맞는 건축방법론은 친자연적인 소재의 사용과 자연의 훼손을 최소한으로 하는 건축구축으로 이곳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에게 유니크한 장소에 대한 경험을 제공한다. -지속가능한 건축은 주변환경의 배려로 부터 시작, 건축물을 지면으로 부터 분리, 부양시킨다.(이곳 연못에 서식하는 개구리와 왜가리를 비롯한 습지 동식물을 보호하며, 대지를 최소한으로 훼손한다.) 여기에 우리의 볏짚을 이용한 초가와 같은 재료로 건축을 마감한다. 기존 역사적인 조르주 뒤랑 매션과 나란히 이웃한 뮤지엄센터는 장소에 대한 새로운 정의로 건축물의 아이텐티를 배가 시킨..
시드니 외곽에 위치한 포니 레스토랑의 가장 특징적인 인테리어디 디자인은 마굿간으로 부터 영감을 얻어 재구성된 형상과 텍스쳐가 주는 포근함과 안락함이다. 말굽 또는 말의 유연한 형태를 닮은 블랙 스틸 립은 레스토랑 내부를 20미터의 길이로 굽이쳐 흐르며 공간의 아이텐티를 정의한다. 이러한 다이나믹한 요소와 빈티지 재료 -노출된 벽돌, 거친 스틸 마감..- 의 만남은 공간을 더욱더 풍부하게 만들며 이곳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맛있는 음식은 물론 맛있는 공간을 맛보게 한다. reviewed by SJ The first Pony restaurant outside Sydney has opened on Brisbane’s Eagle Street Pier, with Woods Bagot’s interiors centr..
무심히 쌓여 있는 듯한 4개의 솔리드 박스, 그위에 또 무심히 올려져 있는 글래스 박스. 건축 드로잉을 위한 박물관의 외형은 메시브한 강한 인상을 시티스케이프에 새긴다. 극도로 절제된 미니멀함과 자유분방함에서 오는 다양성 및 다이나믹함은 건축물의 실루엣을 형성하는 파사드 요소들-각 레벨 공간의 정형화된 박스-을 밀고 당기고 돌리는 이유가 된다. 어쩌면 이러한 계기는 이웃한 건축물 -베를린에 위치한 유서깊은 하우스-과의 자유로운 관계성에서 기인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기에 다양한 건축 스케치가 새겨진 컬러콘크리트는 주변환경 속에서 박물관의 아이텐티를 완성하는 최종 요소로 사용, 4개층에 걸쳐 적층된 솔리드 박스를 두드러지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온다. reviewed by SJ he private Museum..
여기 파리시 외곽 한적한 시골마을에 은퇴자들을 위한 공동주거가 제안된다.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고급주거환경을 구축한다. 4층 높이의 Y자 형태의 평면구성은 Y자로 연결되는 두개의 출입동선을 형성, 배달, 서비스, 상주 직원들의 출입동선을 위한 북측 출입구와 프라빗 공원으로 열린 남측 출입구로 계획된다. 그리고 중앙의 코어를 기점으로 각 개실과의 연계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평면계획은 주위환경이 투영된 컴팩트하며 합리적인 설계에서 시작되며 거주자에게 생활공간과 활동공간에서 아름다운 뷰 확보와 동시에 질 높은 주거환경을 제공한다. 시베리아산 낙엽송으로 마감된 입면과 일정한 패턴으로 오픈된 개구부는 건축물의 파사드 디자인을 정의하는 수단인 동시에 앞서 말한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는 또하나의 ..
디자인 뮤지엄의 어셈블리를 위한 파빌리온은 6개의 모듈 조각을 이용하여 육각형의 볼륨으로 구축된다. CNC 커팅 머신을 이용한 싱글레이어 생산시스템은 생산단가를 낮추는며 효율적인 대량생산의 이점을 갖고 있다. 언리미티드 에디션 파빌리온은 이러한 구축적 특징을 잘 살리며, 플라이우드, 케이블 타이, 가죽끈의 재료로 조형적이며 구축적인 구조체를 구체화 한다. reviewed by SJ Designer in Residence 2012 Commission at the Design Museum Lawrence Lek is a sculptor and architect who experiments with processes of natural growth and industrial fabrication through..
아메리칸 스튜디오 필롯//웨이브의 최신작 폴딩체어는 비사용시 벽의 언듈레이션 라인을 따라 거치됩니다. 디자인의 방향은 소규모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수납과 디자인을 보여주는 시스템으로 30미터 벽에 수직으로 60개의 의자를 거치하게 됩니다. 특히 이러한 유니크한 수납방법은 가구로써의 의자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조형물로써 제안됩니다. 각 의자는 비치플라이우드와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관절다리를 자유자재로 접었다 폈다 하면서 의자와 설치물의 경계를 넘나 듭니다. 가구와 설치물의 경계물을 넘나드는 폴딩체어 시스템은 식당, 리테일, 이벤트 스페이스 등의 공간에 다양하게 활용 될 것입니다. reviewed by SJ These collapsible chairs by American design studio Pi..
쌍파울로 빌라 마다레나 지역의 막다른 도로에 위치한 공동주거는 매우 분명한 건축적 특징을 갖고 진행되었습니다. 그것은 층마다 위치한 2개의 티피컬 유닛이 각각 균등하게 태양빛에 노출되는 동시에 쌍파울로의 아름다운 습지대 조망 또한 균등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여기에 두개의 메탈릭 그릴은 공동주거 파사드를 이루는 두번째 스킨으로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적절히 차단함으로써 내부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필터링재 역활과 건축적 형태의 아이텐티를 동시에 구축합니다. reviewed by SJ In a land lot located in an dead-end street, in the district of Vila Madalena, São Paulo, the project for this resident..
'콘'은 장소성 인지를 화두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컴템퍼러리 아트 프로젝트 입니다. 프로젝트는 도심속에 자리한 기념비적인 로컬 포인트를 새롭게 현대 공간 속에 재구성함으로써 이전 역사적인 장소를 현재 도시공간 속에 어반노드점으로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의 심도 있는 고민을 담고 있습니다. 그것의 시작은 16세기 터키사우나 내에 우드 플로링을 이용하여 나선형태로 디자인한 템퍼러리 설치물 디자인에서 살펴 볼 수 있습니다. 거대한 돔 내부에 꼭 맞쳐진 듯한 방사형태로 휘감아 올라가는 형태 구축론은 이전 공간, 장소가 갖고 있는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돔이 하늘과 이야기하는 공간적 특징을 적나라하게 함축적으로 투영시킨 결과 입니다. 템퍼러리 설치물은 다음과 같이 현대예술작품에 대한 책을 전시 및 보관하는 공간으로써 ..
셀프-포드는 개인 서재 리뉴얼 프로젝트로, 건축주의 방대한 이슬람 역사 관련 서적을 소장 및 전시하기 위하여 시작됩니다. 효과적으로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축가는 소나무 보드를 이용한 격자구조 형태의 선반을 디자인합니다. 그리고 이 격자선반은 다음과 같은 치수(높이:360mm/ 너비&폭:300mm)로 제작되어 인테리어 디자인을 이루는 건축적 스케일의 척도로 활용되어 내부의 각각 요소들을 조화롭게 매치 시킵니다. -이 기준으로 계단, 창문, 책상, 의자 등이 제작됩니다.- 또한 혁신적인 격자시스템은 단순히 많은 양의 책을 보관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레벨공간으로 이루어진 거주 환경속의 플렉시블한 활동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활을 수행함으로써 공간의 연속성을 보장, 끊임없는 거주활동을 보장합니..
집 속에 집. 외부에서 바라보는 누들하우스의 첫모습은 흡사 산업적인 한장면이 연상됩니다. 창고 슬라이딩 도어와 유사 해보이는 출입구가 이러한 분위기를 만드는 것 같습니다. 다시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들어온 내부공간 속에는 작은 마을이 펼쳐집니다. 각각의 좌석을 아늑하게 감싸고 있는 작은 집모양의 미니멀한 설치물은 소인국을 연상시키는 분위기로 누들하우스를 정의합니다. 정갈하지만 차갑지 않은 인테리어 디자인은 그렇게 따뜻한 감성의 나무의 사용과 상부에 매달린 펜던트 타입의 조명으로 공간을 완성합니다. reviewed by SJ Noodle style For this noodle restaurant in Osaka, Ietsugu Ohara of Stile Space Industrial Arts+ comple..
최근 샌프란시스코에 메디컬 센터를 위한 주차타워가 신축되었습니다. 627대를 동시 주차 할 수 있는 10층 높이의 주차타워는 이곳 메디컬센터를 찾는 방문객들의 효율적인 교통운영체계를 수립 및 지원하기 위해 신축되었습니다. 보행, 자전거, 자동차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지원합니다. 무엇보다 주차타워에서 가장 인상 깊은 점은 주차타워를 감싸고 있는 아노다이징 알루미늄 루버 시스템입니다. 이 버티컬 루버는 열림과 닫힘을 통한 간극조정과 방향조정으로 내외부의 자연환기와 자연채광을 조절하는 동시에 야간시 주차타워를 드라마틱한 오브제로 변환시키는 시각적 연출장치로 활용됩니다. reviewed by SJ In San Francisco, WRNS Studio has recently completed a new 10-st..
지하 1층 지상 3층 레벨을 하나로 묶는 미디어센터의 휘어진 공간은 주위환경과의 밀접한 관계속에서 형성됩니다. 먼저 대지가 가지고 있는 포텐셜과 주변상황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서 프로젝트는 시작됩니다. 이곳 프랑스 론드소니에 지역에 부족한 문화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새롭게 계획된 미디어센터는 거침없이 주변환경의 컨텍스트를 흡수 및 투영시킴으로써 도시공간 속으로 밀착되어 집니다. 이러한 밀착도는 미디어센터의 독창적인 외형이 잘 나타나는 남측 파사드에 적나라하게 구현됩니다. 남측에 위치한 교회 경사지붕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인하여 휘어진 곡면 형태로 나타나게 된 남측 파사드는 거리를 사이를 두고 교회와 미디어센터를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시퀀스를 만들어 내는 동시에 미디어센터의 인상적인 볼륨형태를 만들어 냅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