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북부 Uckermark라는 작은 마을에 있던 커다란 헛간은, 독립적인 아파트를 둔 컨트리 하우스로 탈바꿈되었다. 헛간은 140년 전에 지어진 벽돌과 목재로 이루어진 건물이었다. 그러나 이 헛간이 팔린 후에는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2가구의 가족과 가축을 위한 공간이면서도 절반쯤만 서로 붙어있는 형태의 집이 되었다. 절반은 토마스 크뤠거라는 건축가에 의해 젊은 가족을 위한 건물로 재설계되었는데 기존의 집이 가진 언어 자체를 이용하면서도 새롭게 스스로를 채장초하는 자신만의 방식과 규칙을 적용하였다. 헛간이자 소를 키우던 우사였던 이 곳은 두꺼운 돌로 이뤄진 벽을 한 매우 안정적인 건물이었으며 작은 창문들이 존재하는 위층과 커다란 나무 문이 아래층에 존재했다. 천연 그대로인 프레임이 지닌 고유의 아름다움과..
인테리어&건축 디자인 스튜디오, 하오디자인의 최근작, 큐포트 헤어살롱은 타이완 가오슝의 오래된 다층건물을 리뉴얼, 현대적인 상업공간과 거주공간을 합성한 복합주거 형태로 제안된다. 시간과 장소가 꼴라쥬된 인테리어 디자인의 특징은 강렬한 색체, 파이프라인, 비행기 엔진의 오브제, 그리고 콘크리트가 건축주의 개인 아트컬렉션과 앙상블을 이루며 생성하는 빈티지 이미지를 통해 발현된다. 이는 현대생활공간을 위한 헤어살롱과 하우스 내부를 더욱더 풍부하게 만드는 동시에 이곳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주요한 디자인 매개체로 별도의 마감과 장식이 없는 건축은 이를 위한 캔버스로 제공된다.reviewed by SJ,오사 Interiors and architecture studio HAO Design has transformed..
맨하튼 랜드마크 트리베카 지역에 위치한 캐비어공장(지붕층)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외부로 열린, 아늑한 거주공간 확보를 목표로 진행된다. 새롭게 추가된 메자닛(중층)은 상부 그린루프 가든과 내부 글래스박스로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확보, 선큰 인테리어 코트(옥상정원의 시점에서 볼때 하부로 내려가는 공간 디자인)를 완성한다. 이러한 건축의 제스쳐는 주생활 공간 속으로 외부공간을 삽입하는 동시에 자연채광과 환기를 유도하는 기능적 역활을 수행한다. -야간시 글래스박스는 거대한 랜턴으로 변신한다.- 여기에 기존 산업문화에 대한 투영은 과거 재료에 대한 복원 및 재활용을 통하며 현대적인 디자인 요소(모던 재료의 사용)와의 병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reviewed by SJ, 오사 in manhattan’s landm..
레드닷 호텔의 지향점은 간단하다. 대지의 특성; 오래된 도시구역이 갖고 있는 시간의 흔적들을 현재의 생활 공간 속에 잘 버무려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숙박공간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디자인팀은 도시구역 내 좋은 재료로 지어진 엘레강스한 건물을 찾아 새로운 도전을 적용한다. (이렇게 선택된) 갤럭시 호텔의 리노베이션은 기존 호텔이 가지고 있던 평범한 재료와 요소를 활용, 최소한의 리터치를 통한(현대 생활 및 기능에 맞도록) 컴템퍼러리 거주공간을 완성한다. 무엇보다 시간의 흔적이 새겨진 재료(때묻은 적벽돌, 우드플로링 등의 사용은 지역적 컨텐츠가 반영될 결과물로 지역환경과도 연속성을 띈다.)와 이와 같은 시간을 보낸 빈티지 요소 및 가구들의 매치는 이곳만의 캐릭터를 배가 시키는 중요한 디자인 적용..
오래된 창고 리뉴얼 프로젝트의 주안점은 기존 공간에 대한 존중으로 부터 시작된 시간의 켜를 현대생활공간 속에 거스름없이 투영시키는 것과 거추장스러운? 부차적인 디자인을 추가하지 않으며 실용적이면서 안락한 거주공간을 확보하는데 있다. 2개층 높이의 층고의 장점을 십분 활용, 주 생활공간을 중심으로 건물내부 측면에 2층 높이로 또다른 거주공간-개인공간-을 설계하며 거주공간을 풍성하게 하는데서 이번 하우스 프로젝트는 시작된다. 우드플로링과 헥사곤 타일 패턴이 만나는 생활공간의 중심, 식당과 거실이 배치되며 펀칭메탈과 플라잉 스텝으로 디자인된 계단실을 따라 2층에 배치된 가족실이 벽난로와 함께 배치 그리고 그 후면부로 개인 침실이 배치된다. 각 공간들은 다음과 같은 각기 다른 특징으로 디자인, 구성된다. 먼저 ..
과거의 시간을 현재의 공간에 투영하는 일은 즐겁다. 여기 이탈리아 캐쥬얼 브랜드 MSGM의 새로운 헤드쿼터 오피스 프로젝트는 기존 대장간의 오래된 벽돌과 녹슨 창문을 고스란히 이용, 현재의 감각적인 인테리어 요소와 접목,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을 완성한다. 새롭게 재구성된 기존공간, 대장간의 공간적 특징을 고스란히 연속시키는 디자인은 공정별로 구분되었던 내부공간을 현재의 작업실, 사무공간, 미팅룸, 자료실 등의 각 공간으로 구분지어 동치시킨다. 그리고 또한 쾌적한 비즈니스 환경 구축을 위해 큰 창문, 높은 천장고를 유지 자연광을 유입시키며 거주환경을 확보한다. 항상 생각하고 느끼는 점이지만 가장 중요한 점은 공간의 지속력이다. 이곳과 같이. reviewed by SJ,오사 Architect Fabio..
여기 베니스르 만나는 특별한 방법 하나. 지역적 문화, 역사를 경제적인 금액? 에서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생성하는 것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을까? 이러한 의문점에서 시작한 제너레이터 호스텔은 과거의 시간들이 현재의 공간 속에 투영된 다면적인 공간을 연출한다. 시간과 장소의 스펙트럼이 함축된 공간은 호스텔의 입지적 조건과 공간적 특징을 통해서 구현되며, 여기에 감각적인 현대적 디자인이 접목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갖는 숙박시설로 완성된다. 수변가에 위치, 다리 하나로 산 마르코 가까이에 위치한 입지적 특징과 17세기 곡물창고를 개조; 베니스의 산업문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내외장재를 현재 공간 속에 노출, 복원 함으로써 이곳 호스텔만의 캐릭터를 구현한다. 유럽의 각도시마다 시리즈로 연계되는 제너레이터 호..
담배공장 그리고 그 이전 텍스타일 공장이었던 역사적인 건물은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구성된 호텔로 리노베이션 된다. 50년대, 60년대 레트로 디자인으로 부터 영감을 얻은 인테리어 디자인은 기존 공장 -제품 생산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건만을 충족한 기능적 공간, 효율적 공간, 우리는 이를 통해 모던건축이 지향하는 지점을 찾아 볼 수 있다.- 이가 지닌 텍스쳐를 바탕으로 비비드한 컬러가 접목, 공간의 다양성과 산업문화의 절제된 기능주의가 한데 버무러진 퓨전스페이스로 완성된다. 기존 산업문화의 자취를 대표하는 노출된 적벽돌, 노출콘크리트와 대비를 이루는 글로시 또는 매트한 백색 마감재가 조화를 이룬다. 여기에 주요한 공간의 캐릭터를 정의하는 과감한 컬러는 호텔룸, 공용부위에 스틸그레이를 바탕으로 비비드 블루,..
아이스크림 가게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팀버튼 감독의 영화 '찰리와 초코릿 공장'에서 모티브를 받은 요소들을 재구성하며 시작된다. 구식? 레트로한 공장의 단편을 회화한 아이스크림 기계는 pvc파이프에 사선으로 감긴 빨간색 띠테이프가 민트맛 막대사탕을 표현하듯이 사랑스러우며 아기자기한 디자인 캐릭터를 보여준다. 최고급 천연재료를 이용, 최고의 아이스크림 맛을 내는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맛으로 유명해진- 아이스크림 샵에 부여된 새로운 캐릭터는 현대적이며 감각적인, 하지만 모던함에 치우져 차갑자 않은 감성적인 공간으로 유쾌하며 즐거운 공간으로 영화의 단편을 따라 표현된다. 공간이 즐거워야 한다는 점을 때로는 우리는 잊고 있을때가 많다. reviewed by SJ The Oompa-Loompa and Charli..
기존 주택에서 확장된 오피스는 크게 미팅영역, 사무영역 그리고 외부 전면 버퍼스페이스로 구획된다. 이전 공간의 장소성을 연결하는 미팅영역은 리셉션과 작품전시를 위한 구역으로 인포메이션과 기능적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새로운 공간 이외에 기존 공간의 흔적을 최대한으로 보존한다. 새로운 백색공간은 이전공간, 적벽돌과 깨어진 돌무더기와 낯설은 이종접합을 통하여 시공간을 함축시킨다. 그리고 이 함축된 공간 속에서 프로젝트의 컨셉이 적나라하게 표출된다. 미팅영역을 지나 뒷편, 새롭게 증축한 사무영역은 2개층 높이의 작업공간과 사장 및 임원을 위한 임원실을 2층에 위치 시킨다. 또한 미팅영역과는 대조적으로 합리적인 작업활동과 플렉서블한 작업공간을 보장하는 오픈스페이스로 계획된다. reviewed by SJ When ..